목차
ꊱ 머리말
ꊲ 통합 교육의 이론
1.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와 통합
2. 장애를 보는 관점
3. 통합의 주체로서의 개인
ꊳ 통합 교육의 실천
1. 교수-학습의 방향 및 원리
2. 교육과정의 수정 및 조절
3. 통합수업에서의 협력교수
ꊴ 맺는 말
ꊲ 통합 교육의 이론
1. 포스트모더니티 사회와 통합
2. 장애를 보는 관점
3. 통합의 주체로서의 개인
ꊳ 통합 교육의 실천
1. 교수-학습의 방향 및 원리
2. 교육과정의 수정 및 조절
3. 통합수업에서의 협력교수
ꊴ 맺는 말
본문내용
때까지 특정한 집단만 책임을 진다.
대안교수(Alternative Teaching)
학습집단을 대집단과 소집단으로 나눈다. 주로 대집단은 교육수준이 거의 비슷한 동질의 학습집단이 되고 소집단은 그 시간의 활동에서 매우 뛰어나거나 매우 저조한 유아들로 구성된 이질집단이 되기 쉽다.
맺는 말
한국 통합 교육의 실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가능성들은 1970년대 초반 초등학교 특수학급이 설립되기 시작하던 시기부터 싹트고 있었다. 현재까지도 한국의 특수학급 제도는 장애학생의 일반학급 배치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하지만 교육부의 특수교육 행정기반이 통합 교육에 있고, 특수학급의 통합 교육으로의 전환에 대한 노력을 계속하며, 일선 학교에서도 특수학급을 분리된 특수교육 차원에서 통합 교육 서비스 전달체제의 주요한 방안으로 탈바꿈하는 현 시점이고 보면, 한국의 통합 교육이 머지않아 학교교육과 사회를 변화시키고 그것이 개인에게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특수교육은 이제 더 이상 특수교육 캠프만의 몫이 아니라 모든 교육계가 함께 생각하고 책임져야 할 일이요 그 때가 무르익고 있다. 통합이 개인의 통합능력을 그 에너지 근원으로 여긴다면 학교현장은 통합능력을 가진 개인을 길러내는 환경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것을 위하여 학습자간의 협력과 교육자간의 협력이 그 전제조건이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통합은 곧 통합능력을 갖춘 개인을 길러내는 가장 가까운 길이요 우리가 추구해야할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지일 것이다.
※참고문헌
1. 심성보(1993). 포스트모던 교육학과 교육철학적 위상. 교육철학, 제11호, 12월. 117-150.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2. 김성애(2002). 통합교육. 유아특수교육개론. 서울: 학지사. 129-160.
3. 최정웅(1994).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론. 사회과학연구집 제3집, 79-94.
4. Dreher(2002). Inclusion-Provocation for the 21st Century Or: Are we afraid of 5. another "Trojanian Horse"?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두뇌한국21 특수교육 교육/연구단, 2002 국제학술대회 세미나 자료집 “탈산업사회와 특수교육”. 35-49.
6. Feuser, G.(1982). Integration: Die Gemeinsame Taetigkeit am gemeinsamen Gegenstaend/Produkt in Kooperation der behinderten und nichtbehinderten Menschen. Behindertenpaedagogik, Zeitschrift 21. Jg., 2, 86-105.
7. Reiser, H.(1991). Wege und Irrwege zur Integration, in: A. Sander/P. Raid(Hrsg.): Integration und Sonderpaedagogik, S.13-33. St. Ingbert.
대안교수(Alternative Teaching)
학습집단을 대집단과 소집단으로 나눈다. 주로 대집단은 교육수준이 거의 비슷한 동질의 학습집단이 되고 소집단은 그 시간의 활동에서 매우 뛰어나거나 매우 저조한 유아들로 구성된 이질집단이 되기 쉽다.
맺는 말
한국 통합 교육의 실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가능성들은 1970년대 초반 초등학교 특수학급이 설립되기 시작하던 시기부터 싹트고 있었다. 현재까지도 한국의 특수학급 제도는 장애학생의 일반학급 배치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하지만 교육부의 특수교육 행정기반이 통합 교육에 있고, 특수학급의 통합 교육으로의 전환에 대한 노력을 계속하며, 일선 학교에서도 특수학급을 분리된 특수교육 차원에서 통합 교육 서비스 전달체제의 주요한 방안으로 탈바꿈하는 현 시점이고 보면, 한국의 통합 교육이 머지않아 학교교육과 사회를 변화시키고 그것이 개인에게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특수교육은 이제 더 이상 특수교육 캠프만의 몫이 아니라 모든 교육계가 함께 생각하고 책임져야 할 일이요 그 때가 무르익고 있다. 통합이 개인의 통합능력을 그 에너지 근원으로 여긴다면 학교현장은 통합능력을 가진 개인을 길러내는 환경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것을 위하여 학습자간의 협력과 교육자간의 협력이 그 전제조건이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통합은 곧 통합능력을 갖춘 개인을 길러내는 가장 가까운 길이요 우리가 추구해야할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지일 것이다.
※참고문헌
1. 심성보(1993). 포스트모던 교육학과 교육철학적 위상. 교육철학, 제11호, 12월. 117-150.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2. 김성애(2002). 통합교육. 유아특수교육개론. 서울: 학지사. 129-160.
3. 최정웅(1994).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론. 사회과학연구집 제3집, 79-94.
4. Dreher(2002). Inclusion-Provocation for the 21st Century Or: Are we afraid of 5. another "Trojanian Horse"?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두뇌한국21 특수교육 교육/연구단, 2002 국제학술대회 세미나 자료집 “탈산업사회와 특수교육”. 35-49.
6. Feuser, G.(1982). Integration: Die Gemeinsame Taetigkeit am gemeinsamen Gegenstaend/Produkt in Kooperation der behinderten und nichtbehinderten Menschen. Behindertenpaedagogik, Zeitschrift 21. Jg., 2, 86-105.
7. Reiser, H.(1991). Wege und Irrwege zur Integration, in: A. Sander/P. Raid(Hrsg.): Integration und Sonderpaedagogik, S.13-33. St. Ingbert.
추천자료
[원격교육][원격교육사례][교수학습방법]원격교육의 정의, 특징과 원격교육의 발달, 원격교육...
수준별학습(수준별수업, 교육과정)의 정의와 의의, 수준별학습(수준별수업, 교육과정) 도입과...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학습(수업,교육과정)의 개념과 의의,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학습(수업,교...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국어교육)의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지도중점...
국어과(국어교육)의 수준별학습, 국어과(국어교육)의 협동학습, 국어과(국어교육) ICT(정보통...
수학지도(학습, 수학교육) 목적, 이론, 관점, 수학지도(학습, 수학교육)와 자기주도적 학습, ...
구성주의학습(구성주의교육이론) 원칙과 특성, 구성주의학습(구성주의교육이론) 교수학습원리...
국어과(국어교육) 특성과 교육중점,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운소지도, 초등학교 국어과(...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ICT, 국어과(...
도덕과(학습, 교육) 성격, 도덕과(학습, 교육) 원칙, 도덕과(학습, 교육) 교과서, 도덕과(학...
구성주의교육이론(구성주의학습)의 정의와 특징, 구성주의교육이론(구성주의학습) 사회적 배...
사회과(사회수업, 사회과교육)의 성격과 목표, 사회과(사회수업, 사회과교육)의 교육중점과 ...
[가정과][가정과교육][가정과(가정과교육) 교수학습방법]가정과(가정과교육)의 성격, 가정과(...
[음악감상교육]음악감상교육(음악감상수업, 음악감상학습)의 의미와 실제, 음악감상교육(음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