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ꊱ 사이버 문화의 전개와 특징
ꊲ 사이버문화의 특성과 대안
A. 특성
B. 대안
ꊲ 사이버문화의 특성과 대안
A. 특성
B. 대안
본문내용
그냥 가져다 쓰는데 크게 죄의식도 없고, 그것을 훔치고 잇다는 생각은 더욱 없다. 바로 이것이 정보와 사이버스페이스가 가지는 특징다. 더구나 과거에 값비싸게 주고 거래되는 지식이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얼마든지 이용할 수 있다. 소유, 거래 따위의 개념이 크게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정보사회를 보다 깊이있게 이해하기 위해서 많은 조사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어느정도 정보사회의 특징적인 면모가 드러나서 우리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인터넷의 특징
상호작용적이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네트워크
- 인터넷의 출현은 정보산업사회에서 정보의 생산과 유통 그리고 소비의 차원이 크게 달라짐을 예고
- 정보자체가 유통
- 물질의 그릇에 담지 않고 유통 즉, 전혀 다른 형태의 정보를 담는 것이 만들어진 것
인터넷선상에서 정보는 특정한 유형적 매개체에 담겨있지 않기 때문에 마치 바다속의 고기를 낚는 것과 같고, 산 속에 들어가서 야생의 동물을 수렵하고, 식물을 채집하는 것과 같다. 누구에게 속하지 않는 그러면서도 누구에게도 속한, 상태로 떠돌아 다니는 고기, 동물, 식물을 채집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수렵채집경제상태로 우리는 돌아갔다고도 볼 수 있다. 수렵채집의 경제에서 사람들은 소유의 개념이 달랐다. 모든 재화를 공유하고, 그것을 골고루 분배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개인의 능력만큼 잡고, 채집하여서 그것을 한군데 풀어서 공동체 사람들이 골고루 나누었다.
현재 정보수렵채집사회에서의 차이는 분배의 문제에 있다. 누구에게도 속하지 않은, 누구에도 속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개인의 능력에 딸린 것이다.
정보의 특징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재화이다. 열려진 재화에 접근하는 것은 마치 바다에 나가서 자유롭게 다니고 있는 고기를 잡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단지 그 기술을 익히기만 하면 우리도 당장 고기를 잡을 권리가 있다. 그 바다의 고기가 특정한 나라에, 특정한 지역에 소유권이 있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정보 역시 취하는 사람에게 그 소유가 있는 것이다. 많이 낚기를 원하는 사람은 바다에 대한 지식, 조류와 물고기의 흐름에 대한 지식 그리고 그것을 낚는 기술을 연마한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그 기술이 필요한 것이지 다른 어떤 조건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think about
우리는 수렵채집사회에서의 교훈을 얻어내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정보를 자연상태에서 떠돌아 다니는 무형의 자산을 이용하여 자신의 것으로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가 평등하고, 또 그것을 골고루 나누어 줄 수 있다면 분배에 있어서 평등한 사회가 된다. 계층의 구별이 없어지고, 누구든 특성에 맞는 것을 자신의 자리에서 해낼 때 민주와 평등이 구현되는 사회가 된다. 이러한 사회는 이상적인 사회이고, 이것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가능할 수도 있다. 다만, 이상과는 달리 실제운용에 있어서 나타나는 문제들이 아직도 산업사회의 틀에서 머물러 있고, 그 가치관이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것을 벗어나려면 일정한 시간과 훈련, 넓게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지금까지 정보사회를 보다 깊이있게 이해하기 위해서 많은 조사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어느정도 정보사회의 특징적인 면모가 드러나서 우리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인터넷의 특징
상호작용적이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네트워크
- 인터넷의 출현은 정보산업사회에서 정보의 생산과 유통 그리고 소비의 차원이 크게 달라짐을 예고
- 정보자체가 유통
- 물질의 그릇에 담지 않고 유통 즉, 전혀 다른 형태의 정보를 담는 것이 만들어진 것
인터넷선상에서 정보는 특정한 유형적 매개체에 담겨있지 않기 때문에 마치 바다속의 고기를 낚는 것과 같고, 산 속에 들어가서 야생의 동물을 수렵하고, 식물을 채집하는 것과 같다. 누구에게 속하지 않는 그러면서도 누구에게도 속한, 상태로 떠돌아 다니는 고기, 동물, 식물을 채집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수렵채집경제상태로 우리는 돌아갔다고도 볼 수 있다. 수렵채집의 경제에서 사람들은 소유의 개념이 달랐다. 모든 재화를 공유하고, 그것을 골고루 분배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개인의 능력만큼 잡고, 채집하여서 그것을 한군데 풀어서 공동체 사람들이 골고루 나누었다.
현재 정보수렵채집사회에서의 차이는 분배의 문제에 있다. 누구에게도 속하지 않은, 누구에도 속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개인의 능력에 딸린 것이다.
정보의 특징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재화이다. 열려진 재화에 접근하는 것은 마치 바다에 나가서 자유롭게 다니고 있는 고기를 잡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단지 그 기술을 익히기만 하면 우리도 당장 고기를 잡을 권리가 있다. 그 바다의 고기가 특정한 나라에, 특정한 지역에 소유권이 있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정보 역시 취하는 사람에게 그 소유가 있는 것이다. 많이 낚기를 원하는 사람은 바다에 대한 지식, 조류와 물고기의 흐름에 대한 지식 그리고 그것을 낚는 기술을 연마한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그 기술이 필요한 것이지 다른 어떤 조건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think about
우리는 수렵채집사회에서의 교훈을 얻어내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정보를 자연상태에서 떠돌아 다니는 무형의 자산을 이용하여 자신의 것으로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가 평등하고, 또 그것을 골고루 나누어 줄 수 있다면 분배에 있어서 평등한 사회가 된다. 계층의 구별이 없어지고, 누구든 특성에 맞는 것을 자신의 자리에서 해낼 때 민주와 평등이 구현되는 사회가 된다. 이러한 사회는 이상적인 사회이고, 이것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가능할 수도 있다. 다만, 이상과는 달리 실제운용에 있어서 나타나는 문제들이 아직도 산업사회의 틀에서 머물러 있고, 그 가치관이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것을 벗어나려면 일정한 시간과 훈련, 넓게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추천자료
사이버 범죄와 일탈의 개념,유형,원인,영향
사이버공간에서 익명성의 문제와 그 해결방안
사이버 성폭력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사이버 공간과 새로운 글쓰기
사이버공간의 여론 형성 과정 조사
사이버폭력의 실태와 사례 그리고 대응방안
사이버폭력의 실태와 사례 및 대응방안
[경찰행정] 사이버범죄의 실태와 양상 및 사이버수사대의 활동
정보화 문제 - 유형 및 현황, 사이버 일탈행위의 원인, 사이버 일탈이론, 정보화문제 해결을 ...
사이버와 아리스토텔레스
사이버 공간의 성문제
[잠재력][IT잠재력][정보기술잠재력][사이버공간잠재력][관광지개발잠재력][웰빙산업][영재교...
사이버 공동체 팬클럽에 관하여
사이버 세대 청소년의 행복 추구와 문제점 대책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