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군정의 교육정책
2. 미군정하에서의 학교 교육
2. 미군정하에서의 학교 교육
본문내용
진로, 입학시험등이었다. 새로운 대학의 특징은 a. 종합대학교와 단과대학으로의 구분, b. 대학의 교육과정을 필수와 선택으로 나누고 필수과정에는 일반 교양과 전문과목을 둠, c. 교수의 지위를 교수, 부교수, 조교수, 전임강사로 구분함, d. 학위는 학사, 석사, 박사, 명예박사의 4종으로 함 등이었다.
미군정은 고등 교육에 대한 효율적 통제를 위해 1946년 7월 13일에 소위 국립서울대학교설립 계획을 발표하였다. 많은 학생, 교원, 사회단체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8월 22일에 법령 제102호로 이 계획이 정식 공포됨으로써 이른바 국대안을 둘러싼 미군정하에서의 최대 교육 혼란이 시작되었다. 고등교육기관은 물론 중등교육기관까지 포함한 전국적인 규모의 동맹 휴학으로 이어져 한 때 동맹휴학 학교가 400여교에 이르렀다. 결국 법령 102호중 이사회의 구성등에 관한 부분 수정, 제적 학생의 복교 조치등을 거쳐 국립서울대학교는 9개 단과대학과 1개 대학원 체제로 출범을 하였다.
고등교육 부문 또한 양적인 측면에서는 대단한 성장을 이루었으나 질적으로는 교수의 부족, 교육 시설과 교재의 부족, 국대안 파동으로 인한 혼란등으로 인해 큰 발전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미군정은 고등 교육에 대한 효율적 통제를 위해 1946년 7월 13일에 소위 국립서울대학교설립 계획을 발표하였다. 많은 학생, 교원, 사회단체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8월 22일에 법령 제102호로 이 계획이 정식 공포됨으로써 이른바 국대안을 둘러싼 미군정하에서의 최대 교육 혼란이 시작되었다. 고등교육기관은 물론 중등교육기관까지 포함한 전국적인 규모의 동맹 휴학으로 이어져 한 때 동맹휴학 학교가 400여교에 이르렀다. 결국 법령 102호중 이사회의 구성등에 관한 부분 수정, 제적 학생의 복교 조치등을 거쳐 국립서울대학교는 9개 단과대학과 1개 대학원 체제로 출범을 하였다.
고등교육 부문 또한 양적인 측면에서는 대단한 성장을 이루었으나 질적으로는 교수의 부족, 교육 시설과 교재의 부족, 국대안 파동으로 인한 혼란등으로 인해 큰 발전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