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방언 조사 (동물원 조련사 언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사회방언 대상
2. 제 보 자
3. 조 사 자
4. 들어가는 말

Ⅱ. 본 론
ⅰ. <원숭이 학교>와 서울대공원 원숭이에 대하여
ⅱ. 질문과 답변

Ⅲ. 결 론
ⅰ. 맺음말
ⅱ. 소 감

본문내용

표준어는 단지 질서를 부여하는 언어이지 우수한 언어가 아니라는 것이다. 반면 방언은 소수에게 적용되는 우수한 언어로서 소집단에게 매우 유용한 언어임에 틀림이 없다. 이번 조사를 통해서 방언에 대한 관심이 커졌으며, 소소한 사람들의 방언에도 귀를 기울이는 버릇을 같게 되었다. 우리말을 더욱 풍부하게 해 주는 방언의 연구가 후대에 더욱 깊이 연구되도록 디지털 방식의 기록이 연구에 많이 쓰여야 할 것이다.
▲ 4학년
국문학을 전공하는 학생이라고는 하지만 정말 짧고 얕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느꼈다. ‘방언학’이라는 과목을 처음 접하고 ‘방언조사’라는 과제를 부여 받았을 때 난 단지 지역방언 곧 사투리만이 방언에 해당되는 것으로만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조는 ‘사회방언’ 조사하기를 주장하였다. 사실, 지역방언만을 인식하고 있었던 나였기에 사회방언 조사는 별 의미가 없을 뿐 더러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 여겼다. 하지만 언어조사를 하고 있다고 부탁을 드릴 수 있던 그 자체부터가 나에게는 큰 의미의 시작이었다. 너무나 친절히 응해주신 제보자의 말소리 하나, 하나에 귀를 기울일 땐, ‘언어라는 것이 이렇게까지도 쓰일 수도 있구나!’ 라는 것과 더불어 ‘이렇게까지 쉽게 이해가 안되는 은어도 있구나!’ 하는 것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조금은 부족한, 두서없는 조사였던것 같아 아쉬움도 많이 남고 반성도 된다. 하지만 직접 발로 뛰고 땀 흘릴 수 있었던 방언조사가 나의 얕은 지식에 많은 도움이 된 것 같아 뿌듯한 마음 또한 갖고 있으려 한다.
▲ 3학년
이번 방언조사를 통한 현장 실습을 하면서 국어에 대한 이해가 어려움을 깨달았다. 말로써 쉽다고 느꼈던 우리 말이 그 표기에 있어서나 어떤 전문성, 사회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방언학>과 관련하여 새로운 호기심을 자극하였다.
조사에 임할 때부터 그 절차과정을 마무리 짓는 과정까지 체계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해 아쉬움이 많으나 성의 것 조사에 응해주신 <원숭이학교> 조련사 분과 그 외 관계자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가지고 있다. 또한 김동언 교수님께도 국문학도로서의 좁은 학문적 견해를 넓힐 기회를 주셨음에 감사한 마음을 갖는다.
▲ 3학년
이번 방언조사는 시작부터 부담이 되었다. 그 이유는 우리 조는 사회방언이기 때문에 질문지를 우리가 직접 만들어야 했기 때문이다. 조원들이 머리를 맞대고 질문지를 만들었는데 막상 현장에 가보니 불필요한 질문도 있고 추가할 질문들도 많이 있었다.
그리고 조사를 갔을 때에는 왠지 다들 우리를 피할 것 같고, 귀찮아 할 것 같았는데 원숭이 학교 사람들이 의외로 반겨주며 조사에 적극적으로 대해주셔서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이에 원숭이 학교 사람들에게 감사한다. 그리고 부족한 나 자신을 채워준 조원들에게도 감사하며, 우리에게 사회방언을 조사할 기회를 주신 김동언 교수님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동물원에서도 우리말 사랑에 앞장서는 데 국어국문학도로서 나도 우리말을 더욱 아끼고 사랑하며, 보다 열심히 공부를 해야겠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5.14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4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