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방언의 의미
2. 부산 방언의 구역 설정
2.1. 지세
2.2. 행정구역
2.3. 경제적 교류
3. 부산 방언의 어휘 및 문법
3.1. 명사
3.2. 동사
3.2.1. 마침법의 의문형
3.2.2. 마침법의 청유형
3.2.3. 마침법의 명령형
4. 부산방언 조사
5. 맺음말
2. 부산 방언의 구역 설정
2.1. 지세
2.2. 행정구역
2.3. 경제적 교류
3. 부산 방언의 어휘 및 문법
3.1. 명사
3.2. 동사
3.2.1. 마침법의 의문형
3.2.2. 마침법의 청유형
3.2.3. 마침법의 명령형
4. 부산방언 조사
5. 맺음말
본문내용
보여.
<부산방언> 선희는 너무 몸이 얘비가꼬, 연약해 보인다.
7) 새거럽다
"새거럽다"라는 말은, 부산에서는 "시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표준어> 이 귤, 정말 시다. 눈물이 다 나올려고 그래.
<부산방언> 이 귤, 진짜로 새거럽다. 눈물이 다 나올라꼬 그란다.
9) 깰밧다
"깰밧다"라는 말은, 부산에서는 "게으르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표준어> 사람이 부지런해야 성공하지, 게으르면 아무것도 못해.
<부산방언> 사람이 부지런해야 성공하지, 깰밧으면 암꺼도 못한대이.
10) 묵재이
"묵재이"라는 말은, 부산에서는 "먹자"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표준어> 친구들 오면 다같이 먹자.
<부산방언> 친구들 오면 다같이 묵재이.
5. 맺음말
부산 방언을 조사하면서 많은 재미와 흥미를 느꼈다. 그동안 몰랐던 부산의 방언들을 알아보면서 처음듣는 말들도 있었고 친숙한 말들도 접해보면서 방언의 묘미를 알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부산지역에 대한 관심과 그 지역의 문화도 어느정도 배울 수 있었던 계기로 생각된다.
우리나라는 이렇게 방언이 참 구성지다. 이는 부산뿐만이 아니라 다른 지역의 방언들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우리의 방언을 연구하고 조사함으로써 방언이 가지고 있는 독특함을 이해한다면 우리 언어에 대한 잘못된 인식도 많이 고쳐지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박지홍(1974) "부산방언의 연구", 부산교대 연구보고 10-1, 부산교육대학
김형규(1964) "경상남북도 방언연구 논문집 제10집 ; 인문사회과학편, 서울대학교
김영송(1977) "경남 방언의 음운", 한글, 159, 한글학회, 서울
<부산방언> 선희는 너무 몸이 얘비가꼬, 연약해 보인다.
7) 새거럽다
"새거럽다"라는 말은, 부산에서는 "시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표준어> 이 귤, 정말 시다. 눈물이 다 나올려고 그래.
<부산방언> 이 귤, 진짜로 새거럽다. 눈물이 다 나올라꼬 그란다.
9) 깰밧다
"깰밧다"라는 말은, 부산에서는 "게으르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표준어> 사람이 부지런해야 성공하지, 게으르면 아무것도 못해.
<부산방언> 사람이 부지런해야 성공하지, 깰밧으면 암꺼도 못한대이.
10) 묵재이
"묵재이"라는 말은, 부산에서는 "먹자"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표준어> 친구들 오면 다같이 먹자.
<부산방언> 친구들 오면 다같이 묵재이.
5. 맺음말
부산 방언을 조사하면서 많은 재미와 흥미를 느꼈다. 그동안 몰랐던 부산의 방언들을 알아보면서 처음듣는 말들도 있었고 친숙한 말들도 접해보면서 방언의 묘미를 알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부산지역에 대한 관심과 그 지역의 문화도 어느정도 배울 수 있었던 계기로 생각된다.
우리나라는 이렇게 방언이 참 구성지다. 이는 부산뿐만이 아니라 다른 지역의 방언들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우리의 방언을 연구하고 조사함으로써 방언이 가지고 있는 독특함을 이해한다면 우리 언어에 대한 잘못된 인식도 많이 고쳐지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박지홍(1974) "부산방언의 연구", 부산교대 연구보고 10-1, 부산교육대학
김형규(1964) "경상남북도 방언연구 논문집 제10집 ; 인문사회과학편, 서울대학교
김영송(1977) "경남 방언의 음운", 한글, 159, 한글학회, 서울
추천자료
[사회복지론]지역사회복지 욕구조사의 필요성 및 자원개발 방안
[지역사회복지론] 대방동 지역의 욕구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복지론]부산 동구지역 조사 및 분석/인터뷰
[지역사회복지론]도-농 복합지역 기장군 조사
[지역사회복지론]부산 안창마을 지역 조사
현대 한국어의 대우법과 방언에서 나타나는 청자대우법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실천 사례조사 및 평가
[지역사회복지론]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에 대한 조사 : 지역사회문제의 해결방안 (...
지역사회내 노인들의 욕구조사를 할 경우 그에 맞는 사회조사는 무엇이 적합한지에 대해 서술...
현재 속해있는 지역의 지역사회복지기관에 대해 조사해 보고, 본인이 생각하는 보완점, 개선...
지역사회의 욕구조사방법과 내용을 서술하고 방법에 따른 사례도 함께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