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해 보여.
<부산방언> 선희는 너무 몸이 얘비가꼬, 연약해 보인다.
7) 새거럽다
\"새거럽다\"라는 말은, 부산에서는 \"시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표준어> 이 귤, 정말 시다. 눈물이 다 나올려고 그래.
<부산방언> 이 귤, 진짜로 새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산의 방언어휘
1. 어휘의 됨됨이
부산방언의 어휘를 살펴보면 그 속에는 서울 방언과 현저히 다른 것이 나타나는데, 말의 됨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파생말
서울 방언과 현저히 다른 것에 <애이>로 끝나는 말때가 발견되는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주 방언(지역어, 사투리), 목포 방언(지역어, 사투리), 거문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무주 방언(지역어, 사투리), 부산 방언(지역어, 사투리), 창원 방언(지역어, 사투리), 천안 방언(지역어, 사투리) 분석
Ⅰ. 나주 방언(지역어, 사투리)
1. 평서
방언 사투리, 지역어 부산방언, 방언(지역어, 사투리), 거문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무주 방언(지역어, 사투리), 부산 방언(지역어, 사투,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상남도 음운 특징
가. 모음체계
나. 자음체계
다. 성조
라. 경상남도 방언에서 ‘ㅊ’음절말음을 가진 명사가 사라지는 현상
마.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 가 합쳐질 때의 현상
사. 동사 어간과 ‘-아’가 합쳐질 때의 음운현상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과 부산 방언의 마찰음에 대한 음향학적 특성 비교. 음성과학, 9(3), 223-235.
임석규 /Lim Seok-kyu.(2014).성조 현상을 토대로 한 방언구획론을 위하여.방언학,(19),5-40.
손일권. (2016). 어휘 성조의 세대별 차이. 언어과학연구, 79(), 175-195.
차윤정.(201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