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나주 방언(지역어, 사투리)
1. 평서형 어미
1) 높임형
2) 중간형
3) 반말형
4) 낮춤형
2. 의문형 어미
1) 높임형
2) 중간형
3) 반말(해체)형
4) 낮춤(해라체)형
3. 명령형 어미
1) 높임형
2) 중간(같음)형
3) 반말(해라체)형
4) 낮춤(해라체)형
4. 청유형 어미
1) 높임형
2) 중간(같음)형
3) 반말(해체)의 어미형
4) 낮춤(해라체)형
Ⅱ. 목포 방언(지역어, 사투리)
1. 개웅
2. 거룽
3. 굴렁굴렁
4. 굴렁굴렁하다
5. 귀얇다(기얍다)
6. 깔따구
7. 꼬작
8. 꼽사댕이
9. 늦손
10. 닥드리
11. 닥드리하다
12. 대통만하다
13. 더둥개질
14. 더우가심
15. 두담박질
16. 땅꼬작
17. 몬지자락
18. 무ː다
19. 반섞이
20. 보리테
21. 보초없이
22. 빛감(빗감)
23. 삿참하다
24. 솔랑솔랑
25. 시뜨갑다
26. 시르르
27. 시심사심
28. 시어주다
29. 썸쩍
30. 아래대미
31. 아심찮다
32. 아심찮이
33. 옴니암니
34. 옴스론ː이
35. 유가시
36. 유가시하다
37. 잉
38. 자그르
39. 자끌대
40. 작자글
41. 전ː작
Ⅲ. 거문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Ⅳ. 무주 방언(지역어, 사투리)
1. ‘-지’
2. ‘-냐’ 계열의 어미
3. ‘-(으)깨미’ 계열의 어미
4. ‘-다냐’ 계열의 어미
5. -장
6. -게2
7. ‘-장게’ 계열의 어미
Ⅴ. 부산 방언(지역어, 사투리)
1. 어휘의 됨됨이
1) 파생말
2) 합성어(서울 방언에는 없는 말)
2. 어휘와 음운변화
1) 옛꼴을 지니고 있는 낱말들
2) 서울 방언과 완전히 달리 바뀐 말들
3) 어휘의 말밑
3. 이름씨(명사)
1) 풀이씨
2) 서울 방언과 말밑이 다른 것 같으나, 음운 변화나 변동으로 살펴보면 그 말밑이 같은 경우
Ⅵ. 창원 방언(지역어, 사투리)
1. 창원 방언에 남아 있는 옛말의 음운
1) 어중 /ㅂ/ 음의 유지
2) 어중 /ㅅ/ 음의 유지
3) 어중 /ㄱ/ 음의 유지
2. 창원 방언에 남아 있는 어휘
1) 가리 늦가(<가리 늦게) : 갈라(갈라져, 따로) 늦게(창원).
2) 가악 중에(<가() 중에) : 갑자기
3) 가죽다(<가다) : 가깝다
4) 갋다(<다) : 상대하다, 대적하다
5) 널쭈다(<널다) : 떨어뜨리다
6) 대다(<다히다) : 도살하다(통영, 창원)
7) 도장(=도장) : 쌀을 쌓아 놓은 곳.(통영)
8) 디신하다(*-디시 다) : 비슷하다, -인 듯하다
9) 물물이 : 때때로, 이따금(창원)
10) 보듬다, 보둠다(<븓안다) : 안다
11) 부섞, 부섴(<부섭) : 아궁이
12) 산다구/싼다구(<혀다기) : 비위(脾胃)(창원)
13) 씸지 뽑다(<심지 뽑다) : 제비 뽑다
14) 아래(=아래) : 그저께, 전에
15) 엥구다리, 앵고다리(<에굽(은) 다리) : 굽은 다리(曲脚)
16) 이적지(<아직디히) : 여태껏, 이때까지
Ⅶ. 천안 방언(지역어, 사투리)
1. ‘어→으’의 모음상승
2. 모음상승과 어간 재구조화
3. 모음상승과 형태론적 제약
4. 모음상승과 역사적 정보
참고문헌
1. 평서형 어미
1) 높임형
2) 중간형
3) 반말형
4) 낮춤형
2. 의문형 어미
1) 높임형
2) 중간형
3) 반말(해체)형
4) 낮춤(해라체)형
3. 명령형 어미
1) 높임형
2) 중간(같음)형
3) 반말(해라체)형
4) 낮춤(해라체)형
4. 청유형 어미
1) 높임형
2) 중간(같음)형
3) 반말(해체)의 어미형
4) 낮춤(해라체)형
Ⅱ. 목포 방언(지역어, 사투리)
1. 개웅
2. 거룽
3. 굴렁굴렁
4. 굴렁굴렁하다
5. 귀얇다(기얍다)
6. 깔따구
7. 꼬작
8. 꼽사댕이
9. 늦손
10. 닥드리
11. 닥드리하다
12. 대통만하다
13. 더둥개질
14. 더우가심
15. 두담박질
16. 땅꼬작
17. 몬지자락
18. 무ː다
19. 반섞이
20. 보리테
21. 보초없이
22. 빛감(빗감)
23. 삿참하다
24. 솔랑솔랑
25. 시뜨갑다
26. 시르르
27. 시심사심
28. 시어주다
29. 썸쩍
30. 아래대미
31. 아심찮다
32. 아심찮이
33. 옴니암니
34. 옴스론ː이
35. 유가시
36. 유가시하다
37. 잉
38. 자그르
39. 자끌대
40. 작자글
41. 전ː작
Ⅲ. 거문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Ⅳ. 무주 방언(지역어, 사투리)
1. ‘-지’
2. ‘-냐’ 계열의 어미
3. ‘-(으)깨미’ 계열의 어미
4. ‘-다냐’ 계열의 어미
5. -장
6. -게2
7. ‘-장게’ 계열의 어미
Ⅴ. 부산 방언(지역어, 사투리)
1. 어휘의 됨됨이
1) 파생말
2) 합성어(서울 방언에는 없는 말)
2. 어휘와 음운변화
1) 옛꼴을 지니고 있는 낱말들
2) 서울 방언과 완전히 달리 바뀐 말들
3) 어휘의 말밑
3. 이름씨(명사)
1) 풀이씨
2) 서울 방언과 말밑이 다른 것 같으나, 음운 변화나 변동으로 살펴보면 그 말밑이 같은 경우
Ⅵ. 창원 방언(지역어, 사투리)
1. 창원 방언에 남아 있는 옛말의 음운
1) 어중 /ㅂ/ 음의 유지
2) 어중 /ㅅ/ 음의 유지
3) 어중 /ㄱ/ 음의 유지
2. 창원 방언에 남아 있는 어휘
1) 가리 늦가(<가리 늦게) : 갈라(갈라져, 따로) 늦게(창원).
2) 가악 중에(<가() 중에) : 갑자기
3) 가죽다(<가다) : 가깝다
4) 갋다(<다) : 상대하다, 대적하다
5) 널쭈다(<널다) : 떨어뜨리다
6) 대다(<다히다) : 도살하다(통영, 창원)
7) 도장(=도장) : 쌀을 쌓아 놓은 곳.(통영)
8) 디신하다(*-디시 다) : 비슷하다, -인 듯하다
9) 물물이 : 때때로, 이따금(창원)
10) 보듬다, 보둠다(<븓안다) : 안다
11) 부섞, 부섴(<부섭) : 아궁이
12) 산다구/싼다구(<혀다기) : 비위(脾胃)(창원)
13) 씸지 뽑다(<심지 뽑다) : 제비 뽑다
14) 아래(=아래) : 그저께, 전에
15) 엥구다리, 앵고다리(<에굽(은) 다리) : 굽은 다리(曲脚)
16) 이적지(<아직디히) : 여태껏, 이때까지
Ⅶ. 천안 방언(지역어, 사투리)
1. ‘어→으’의 모음상승
2. 모음상승과 어간 재구조화
3. 모음상승과 형태론적 제약
4. 모음상승과 역사적 정보
참고문헌
본문내용
추천자료
지역어(사투리, 방언) 정의, 지역어(사투리, 방언) 가치, 지역어(사투리, 방언) 연구, 지역어...
방언(사투리, 지역어) 정의와 종류, 방언(사투리, 지역어)에 대한 태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강원도 방언(사투리,지역어), 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
제주도와 경기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사례, 강원도와 충청도 방언(지역어, 사투리) 사례, ...
전라도 사투리(방언,지역어) 사례, 평안도 사투리(방언,지역어) 사례, 황해도 사투리(방언,지...
강원도 지역어(방언, 사투리)사례, 경상도 지역어(방언, 사투리)사례, 제주도 지역어(방언, ...
사투리(방언, 지역어) 특성, 사투리(방언, 지역어) 분화, 사투리(방언, 지역어) 수집, 사투리...
전라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제주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강원도 지역어(사투리, 방언), ...
방언(지역어, 사투리)의 의미, 방언(지역어, 사투리) 특징, 방언(지역어, 사투리) 연구, 방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