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방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상방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기

1. 경상북도 음운 특징
가. 모음체계
나. 자음체계
다. 성조
라. 구개음화 현상
마. 움라우트 현상
바. 전설모음화 현상
아. e > i 현상
자.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2. 경상남도 음운 특징
가. 모음체계
나. 자음체계
다. 성조
라. 경상남도 방언에서 ‘ㅊ’음절말음을 가진 명사가 사라지는 현상
마.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 가 합쳐질 때의 현상
사. 동사 어간과 ‘-아’가 합쳐질 때의 음운현상

본문내용

을, 닭을 닿을·닥을·달을, 흙을 흥을·흑 을·흘을
마.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 가 합쳐질 때의 현상
서남지역에서는 어간이 '-아'의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지만 두 음절이 넘을 때에는 언제나 '-아-'만 실현
받아도, 보아도, 믿어도, 얻어도, 묻어도, 어듭아도, 무겁아도
중부 및 동북지역에서는 어간 모음이 음성이나 중성인 경우도 '-아'의 모음조화는 보이지 않음.
'(물을) 부아도(부어도)', '종이를 주아도(주어도)', '믿아도', '잇아도', '부끄럽아도'
사. 동사 어간과 '-아'가 합쳐질 때의 음운현상
1) 어간의 마지막이 'ㅔ 또는 ㅐ'로 끝나면 'ㅔ 또는 ㅐ+ㅏ'는 'ㅔ , ㅐ 나 ㅔ+ㅏ 또는 ㅐ' 가 된다. 앞의 것은 어간이 한 음절일 때, 뒷것은 두음절일 때 나타남
깨+아도 깨 도, 만내+아도 만내도
2) 어간 마지막이 'ㅡ, ㅓ'로 끝나면 'ㅡ 또는 ㅓ+ㅏ'는 'ㅡ 또는 ㅓ'가 된다.
서+아도 서도, 크+아도 커도
3) 어간 마지막이 'ㅜ'로 끝나면 'ㅜ+ㅏ'는 'ㅗ'나 'ㅏ'로 실현된다. 앞의 것은 어간이 한 음 절일 때 나타나고 뒷것은 그것이 두 음절일 때 나타난다.
주+아도 조 도, 배우+아도 배아도, 바꾸 +아도 바까 도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4.19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6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