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기
1. 경상북도 음운 특징
가. 모음체계
나. 자음체계
다. 성조
라. 구개음화 현상
마. 움라우트 현상
바. 전설모음화 현상
아. e > i 현상
자.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2. 경상남도 음운 특징
가. 모음체계
나. 자음체계
다. 성조
라. 경상남도 방언에서 ‘ㅊ’음절말음을 가진 명사가 사라지는 현상
마.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 가 합쳐질 때의 현상
사. 동사 어간과 ‘-아’가 합쳐질 때의 음운현상
1. 경상북도 음운 특징
가. 모음체계
나. 자음체계
다. 성조
라. 구개음화 현상
마. 움라우트 현상
바. 전설모음화 현상
아. e > i 현상
자.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2. 경상남도 음운 특징
가. 모음체계
나. 자음체계
다. 성조
라. 경상남도 방언에서 ‘ㅊ’음절말음을 가진 명사가 사라지는 현상
마.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 가 합쳐질 때의 현상
사. 동사 어간과 ‘-아’가 합쳐질 때의 음운현상
본문내용
을, 닭을 닿을·닥을·달을, 흙을 흥을·흑 을·흘을
마.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 가 합쳐질 때의 현상
서남지역에서는 어간이 '-아'의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지만 두 음절이 넘을 때에는 언제나 '-아-'만 실현
받아도, 보아도, 믿어도, 얻어도, 묻어도, 어듭아도, 무겁아도
중부 및 동북지역에서는 어간 모음이 음성이나 중성인 경우도 '-아'의 모음조화는 보이지 않음.
'(물을) 부아도(부어도)', '종이를 주아도(주어도)', '믿아도', '잇아도', '부끄럽아도'
사. 동사 어간과 '-아'가 합쳐질 때의 음운현상
1) 어간의 마지막이 'ㅔ 또는 ㅐ'로 끝나면 'ㅔ 또는 ㅐ+ㅏ'는 'ㅔ , ㅐ 나 ㅔ+ㅏ 또는 ㅐ' 가 된다. 앞의 것은 어간이 한 음절일 때, 뒷것은 두음절일 때 나타남
깨+아도 깨 도, 만내+아도 만내도
2) 어간 마지막이 'ㅡ, ㅓ'로 끝나면 'ㅡ 또는 ㅓ+ㅏ'는 'ㅡ 또는 ㅓ'가 된다.
서+아도 서도, 크+아도 커도
3) 어간 마지막이 'ㅜ'로 끝나면 'ㅜ+ㅏ'는 'ㅗ'나 'ㅏ'로 실현된다. 앞의 것은 어간이 한 음 절일 때 나타나고 뒷것은 그것이 두 음절일 때 나타난다.
주+아도 조 도, 배우+아도 배아도, 바꾸 +아도 바까 도
마.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 가 합쳐질 때의 현상
서남지역에서는 어간이 '-아'의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지만 두 음절이 넘을 때에는 언제나 '-아-'만 실현
받아도, 보아도, 믿어도, 얻어도, 묻어도, 어듭아도, 무겁아도
중부 및 동북지역에서는 어간 모음이 음성이나 중성인 경우도 '-아'의 모음조화는 보이지 않음.
'(물을) 부아도(부어도)', '종이를 주아도(주어도)', '믿아도', '잇아도', '부끄럽아도'
사. 동사 어간과 '-아'가 합쳐질 때의 음운현상
1) 어간의 마지막이 'ㅔ 또는 ㅐ'로 끝나면 'ㅔ 또는 ㅐ+ㅏ'는 'ㅔ , ㅐ 나 ㅔ+ㅏ 또는 ㅐ' 가 된다. 앞의 것은 어간이 한 음절일 때, 뒷것은 두음절일 때 나타남
깨+아도 깨 도, 만내+아도 만내도
2) 어간 마지막이 'ㅡ, ㅓ'로 끝나면 'ㅡ 또는 ㅓ+ㅏ'는 'ㅡ 또는 ㅓ'가 된다.
서+아도 서도, 크+아도 커도
3) 어간 마지막이 'ㅜ'로 끝나면 'ㅜ+ㅏ'는 'ㅗ'나 'ㅏ'로 실현된다. 앞의 것은 어간이 한 음 절일 때 나타나고 뒷것은 그것이 두 음절일 때 나타난다.
주+아도 조 도, 배우+아도 배아도, 바꾸 +아도 바까 도
추천자료
언어 예절-표준어와 방언
성별 차이에 따른 사회 방언 리포트
사회방언학 요약
영국영어와 미국영어-미국영어의 보수성과 쇄신성,단어 선택의 차이, 미국영어어휘의 영국영...
문법 교육 - 표준어와 방언
국어방언론 - 방언학 조사방법 PPT 발표자료
지역방언의 특징
표준어와 방언의 공존 방안
5학년2학기 말듣쓰.표준어와 방언(세안)
표준어와 방언
국어 방언론- 간판조사
20세기의 이단 논쟁의 신학적 쟁점인 은사종료론 _ 기적종료주의를 반대하는 학자들, 방언의 ...
[표준어와 방언] 언어 불평등 문제 - 언어 불평등의 심각성과 해결방안
언어와생활 - 통신언어의 사용실태, 통신 언어의 특성, 통신어휘의 ‘반’ 사회방언적 특성, 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