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소평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등소평의 생애
(2)등소평의 정책
(3)등소평의 리더십의 한계 - 6․4 천안문 사태

3.결론

본문내용

척결하려 했으나 해묵은 뿌리깊은 부패는 뽑힐 줄을 모르고 있다. 지금 중국에는 벼락부자가 1억 명이라는 속설이 있다. 그들은 벤츠 같은 고급 승용차를 타고 호의호식하지만 내륙으로 갈수록 가난의 정도가 심해서 빈부 격차는 미국을 따라가는 듯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중국에 개혁과 개방을 바람을 불어넣고 새로운 질서를 세웠으며, 중국의 경제성장을 이룩한 등소평은 우리 나라의 경제성장을 이룩한 박정희 대통령과 비견할 수 있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한다. 박정희 대통령도 헐벗고 굶주리던 우리 나라를 최소한 먹고 입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되게 만들었다. 그러나 그의 집권시기에 많은 민중운동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 등소평도 그의 최대의 오점인 천안문 사태를 막지는 못했다. 역사에서 서로 라이벌이 되는 인물(항우-유방, 유비-조조 등등)들을 비교해 보는 것도 흥분되는 일이지만, 서로 비슷한 길을 간 인물들을 비교해 보는 것도 좋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등소평이나 박정희 같은 인물들은 모두 역사의 격동기에 태어나서 변화의 큰 물결을 겪으면서 그 격동기의 한 가운데서 생을 살다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지금도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지만, 내가 만약에 그러한 혼란기에 태어났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어쨌든 등소평이란 거인은 떠났고, 현재 중국은 그의 사후 흔들림 없이 개혁과 개방노선을 걷고 있다. 그러나 그 사회에서 쌓여가고 있는 모순, 특히 기본적 인권을 억누르는 일이 계속된다면 어떤 저항과 혼란이 일어날지 모른다. 이제 중국 지도부의 과제는 등소평의 사회주의가 환부를 도려내고 생산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만드는 일인 것이다.
▣ 참고 문헌
박찬식 譯編, 『등소평』, 두레 , 1979.
등용, 『나의 아버지 등소평 1,2권』, 삼문 , 1993.
바라치 디네스, 『덩샤오핑 鄧小平傳』 , 신서원 , 1990.
김영화, 『등소평의 리더십과 중국의 이해』, 문원 , 1995.
Uli Franz 著한영택 譯,『등소평 전기』, 시사영어사 , 1989.
코지마 신지마루야마 마츠유끼 공저, 『중국근현대사』, 지식산업사, 1986.
하빈, 『등소평 사후의 중국』, 연암 , 1995.
허남정 옮김, 『등소평 시대』, 거름, 1984.
김영준, 『모택동 사상과 등소평의 사회주의』, 아세아문화사, 1985.
한산벽, 『작은 거인 등소평』, 인문출판사 , 1996.
진동일, 『붉은별 등소평 상,하』, 대림기획, 1995.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5.10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