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소련붕괴의 원인
Ⅲ. 소련의 사회주의가 남긴 것들
Ⅳ. 결론
Ⅱ. 소련붕괴의 원인
Ⅲ. 소련의 사회주의가 남긴 것들
Ⅳ. 결론
본문내용
따라서 한 사회의 이데올로기가 유지 될 수 있는냐? 없는냐? 는 결정되는 것 같다. 비록 고르바초프는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디노스트를 완수 하지 못하고 퇴진을 했지만, 고르바초프가 소련을 붕괴시키려고 했던 정책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체제의 변화에 맞게 새로운 소련사회주의를 건설하려 했던것 뿐이다 성태규, “사회주의와 냉전”, 20세기로 부터의 유산 (사회평론, 2001), 267p
. 단지 고르바초프는 자신이 가지고 있던 것을 너무 늦게 시행하였기에 “때를 놓쳤다“ “고르바초프, 다시 쓰는 개혁이야기”, 세계를 움직이는 사람들 (KBS-VOD, 2002)
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소련의 유산들이 남긴 것으로 인해서 지금의 중국의 중국식 사회주의를 새롭게 건설하는 것 같다고 생각하면서 글을 마치고자 한다.
. 단지 고르바초프는 자신이 가지고 있던 것을 너무 늦게 시행하였기에 “때를 놓쳤다“ “고르바초프, 다시 쓰는 개혁이야기”, 세계를 움직이는 사람들 (KBS-VOD, 2002)
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소련의 유산들이 남긴 것으로 인해서 지금의 중국의 중국식 사회주의를 새롭게 건설하는 것 같다고 생각하면서 글을 마치고자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