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국내 공연예술 시장 현황
1. 공연장 운영 형태
2. 공연 예술 단체 및 재정 현황
3. 국내 공연예술 시장의 규모
◎ 공연예술계의 이단아 ‘난타‘
1. 난타의 정의 및 제작 배경
2. PMC 프로덕션 CEO 송승환 난타 기획 마인드
3. 난타의 공연 정보
1) 기 획
2) 개 요 및 연 혁
◎ 마케팅 분석
1. 내적 환경 분석
2. 외적 환경 분석
3. SWOT 전략 분석
4. SWOT 믹스 활용
- SO ․ ST ․ WO ․ WT 전략
5. STP 전략 분석 - 경쟁 대비 포지셔닝 맵 분석 포함
6. 4 P 전략 분석
◎ 난타의 성공 요인 정리
◎ 난타상품의 성과 및 시사점
◎ 참고 문헌
[ 별첨 자료 ] PMC 프로덕션 재무제표
1. 공연장 운영 형태
2. 공연 예술 단체 및 재정 현황
3. 국내 공연예술 시장의 규모
◎ 공연예술계의 이단아 ‘난타‘
1. 난타의 정의 및 제작 배경
2. PMC 프로덕션 CEO 송승환 난타 기획 마인드
3. 난타의 공연 정보
1) 기 획
2) 개 요 및 연 혁
◎ 마케팅 분석
1. 내적 환경 분석
2. 외적 환경 분석
3. SWOT 전략 분석
4. SWOT 믹스 활용
- SO ․ ST ․ WO ․ WT 전략
5. STP 전략 분석 - 경쟁 대비 포지셔닝 맵 분석 포함
6. 4 P 전략 분석
◎ 난타의 성공 요인 정리
◎ 난타상품의 성과 및 시사점
◎ 참고 문헌
[ 별첨 자료 ] PMC 프로덕션 재무제표
본문내용
NON-VERBAL PERFORMANCE)
- FUSION 문화제품
한국의 사물놀이 + 서양의 퍼포먼스
타악공연(리듬) + 사실주의 연극(드라마)
- 대중극
내용
대형주방을 무대로 네 명의 요리사가 등장하여 결혼 피로연을 위한 요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각종 주방기구를 이용하여 사물놀이를 연주하는 내용
관람객
100만 돌파 (국내 1760회 + 국외 512회 공연/2002년 3월 기준)
수익률
당기순이익 25억원
(총매출액 85억원/-2001년 6월말)
기타
2005 코스닥 상장 추진
② 연 혁
*1997 * 10월 10일-11월 3일 호암아트홀 난타 초연
*1998 * 1월 10일 난타 `98 출연자 공개 오디션
1월 19일 기초 훈련 시작(NANTA 2개팀을 구성키로 함)
1월 27,28,29일 1 차 수정작업
2월 4일 NANTA 해외 공연 STAFF 회의
2월 5일 \"세계의 NANTA \" 토론회 개최 (참가자 : 평론가,기자 및 NANTA STAFF)
2월 10일 2 차 수정작업 SET 디자인 1 차 수정작업
2월 16일 3 차 수정작업 완료 (최종 대본 완성)
2월 18일 SET 디자인 2 차 수정작업 (최종안 확정)
3월 제4회 한국뮤지컬대상(스포츠조선 주최) 특별상 수상
*1999 * 바른손 위즈와 난타 캐릭터 개발 완료
8월 영국 에딘버러 프린지 페스티벌 참가
2000 * 4월 우먼플러스닷컴 CF출연 (서추자, 이현진)
5월 쇼닥터 마샤 닷지와 함께 업그레이드 작업 (오리씬 추가)
6월 김치 cf 출연 (블루팀)
6월 9일 아이 솔루션과 아케이드 게임 난타 2000 사업 제휴
7월 1일 정동 경향신문사 1층에 난타 전용극장 오픈 (2년간 임대조건)
7월 훼스탈CF 출연 (블루팀)
7월 19일 이희호 여사 장애아 초청 \"난타\"공연 관람
10월 12일 난타 공연 1000회 돌파
11월 한국 관광 대상 \"난타\" 선정, 국내 최초로 문화산업 벤처 기업 인정
12월 국회 대중문화-미디어-과학기술상 수상
* 2001 * 2월 리처드 프랭클 프로덕션과 북미(55개도시순회)투어공연 계약 체결
(미니멈 개런티 4백만달러와 러닝개런티)
4월 난타 팀 개편(네퓨 이범찬, 섹시가이 윤정열 그만둠)
-블루팀 :이창직, 김원해, 서추자, 류승룡, 홍상진
-화이트팀 : 김람호, 이성민, 추현옥, 김영아, 설호열, 이형준
-레드팀 : 배성호, 김문수, 이현진, 윤돈선, 김병호
-블랙팀 : 김강일, 유승수, 이승준, 강지원, 조혜순, 정형석, 천성진
-그린팀 : 매니저 박기산, 주방장 최성우, 최창환, 이지연, 오지숙, 이지희, 양순기, 김두영
4월 2001 서울 제36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CF출연
5월 14일 대우아파트 CF 출연
6월 9일 피메일 조혜순 그만둠
7월 2일 전용극장 오픈 1주년 기념 공연
7월 26일 \'어린이 난타\' 초연 (그린팀)
8월 일본 아사히TV에 소개
9월 23일 테러로 인해 보스톤 공연을 끝으로 미주투어 잠정적 연기
9월 27일 세계 일류상품으로 선정
10월 A석 없어짐
10월 26일 드럼 페스티벌 난타 출연
*2002 * 1월 네티즌이 뽑은 올해 최고의 뮤지컬「난타」
1월 30일 팀개편 블랙: 배성호, 이성민, 추현옥, 설호열, 김병호
블루: 이창직, 김원해, 서추자, 류승룡, 장석현
그린: 유승수, 최성우, 이현진, 정형석, 김영훈
레드: 김강일, 이승준, 강지원, 오지숙, 양지욱, 이주원, 이형준
화이트: 박기산, 김문수, 김영아, 노재혁, 홍상진
3월 15일 블루팀 일본프로모션차 \"다케시 쇼 출연\"
3월 19일 난타관객 100만명 돌파
* 2003 * 4월 난타 극장 이전(서울시 중구 정도 15-5번지 정동 A&C)
*출처 : www.nanta.co.kr
◎ 마케팅 환경 분석
1. 내적 환경 분석
1) 송승환씨의 기획마인드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명제를 부정
시장에 대한 고민 ->해외 진출 모색 => \'보편적인 엔터테인먼트 + 한국적인 것‘
대학로 공연계의 엘리트주의가 거부하는 \'상업성\'을 좋은 뜻에서 걸러내고자 함
-> 작가만 이해하는 연극이 아닌 관객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연극 추구
2) 공동대표 이광호씨
충남방적 전무 시절 송대표와 지금의 PMC프로덕션을 차림.
PMC의 공동대표로서 기획과 경영을 나눠 맡는 투 톱 시스템으로 시너지 효과
3) PMC PRODUCTION
Performance, Music, Cinema 를 기획, 제작하는 문화벤처 기업
비언어극(Non-verbal performance)인 \'난타\'를 기획, 제작
2000년에는 국내에 NANTA 전용극장을 개관 국내 최초로 10년 장기공연에 돌입
한국을 찾은 외국인에게 우리나라의 우수한 공연문화를 선보이기 위해 노력
4) PMC 엔터테인먼트 USA
난타의 미국공연 국내 공연 수출 브로드웨이 공연 수입
5) 작품에 대한 믿음과 투자
제작팀은 국내의 성공에 만족하지 않고 외국으로 가져가겠다고 결단함
브로드웨이 연출가들을 한 달씩 데려다가 4번이나 작품을 고쳤다.
세계인이 이해할 수 있는 코드의 웃음과 감동을 만들어냈다.
2. 외적 환경 분석
1) 90년대 비언어극 유행
2) 연도별 연극계 현황 - 자료 별첨
3) 우리나라의 해외공연 형태와 난타
- 교포들을 대상으로 하는 위문공연
- 정부지원으로 한국의 전통문화를 소수의 사람들에게 소개하는 공연
- 난타의 해외공연 형태
현지 프로모터에게 돈을 받고 작품을 팔아서 현지 사람들에게 정식적인 관람료를 받고 돈을 버는 공연을 처음으로 시작함
4) 에딘버러축제(http://www.eif.co.uk/)
5) 세계 공연예술의 흐름
뮤지컬과 함께, 댄스와 서커스의 합성적인 댄커스 유행
전세계적으로 수십 개의 댄커스 단체가 있음
말로 들려주는 딕션 위주의 공연은 사양길
각자 원하는 바를 온 몸으로 느끼라는 식의 공연의 인기는 가히 폭발적임
PMC는 댄커스(댄스+서커스) 퍼포먼스 UFO를 8월부터 11월까지 대학로 동숭홀공연
6) 국내 공연예술의 흐름 (뮤지컬을 중심으로 난타의 경우 비언어극이라고 볼수 있다. 그러나 문예연감에 의거한 국내 공연예술장르 분류에서는 ‘뮤지컬’로 분류되기
- FUSION 문화제품
한국의 사물놀이 + 서양의 퍼포먼스
타악공연(리듬) + 사실주의 연극(드라마)
- 대중극
내용
대형주방을 무대로 네 명의 요리사가 등장하여 결혼 피로연을 위한 요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각종 주방기구를 이용하여 사물놀이를 연주하는 내용
관람객
100만 돌파 (국내 1760회 + 국외 512회 공연/2002년 3월 기준)
수익률
당기순이익 25억원
(총매출액 85억원/-2001년 6월말)
기타
2005 코스닥 상장 추진
② 연 혁
*1997 * 10월 10일-11월 3일 호암아트홀 난타 초연
*1998 * 1월 10일 난타 `98 출연자 공개 오디션
1월 19일 기초 훈련 시작(NANTA 2개팀을 구성키로 함)
1월 27,28,29일 1 차 수정작업
2월 4일 NANTA 해외 공연 STAFF 회의
2월 5일 \"세계의 NANTA \" 토론회 개최 (참가자 : 평론가,기자 및 NANTA STAFF)
2월 10일 2 차 수정작업 SET 디자인 1 차 수정작업
2월 16일 3 차 수정작업 완료 (최종 대본 완성)
2월 18일 SET 디자인 2 차 수정작업 (최종안 확정)
3월 제4회 한국뮤지컬대상(스포츠조선 주최) 특별상 수상
*1999 * 바른손 위즈와 난타 캐릭터 개발 완료
8월 영국 에딘버러 프린지 페스티벌 참가
2000 * 4월 우먼플러스닷컴 CF출연 (서추자, 이현진)
5월 쇼닥터 마샤 닷지와 함께 업그레이드 작업 (오리씬 추가)
6월 김치 cf 출연 (블루팀)
6월 9일 아이 솔루션과 아케이드 게임 난타 2000 사업 제휴
7월 1일 정동 경향신문사 1층에 난타 전용극장 오픈 (2년간 임대조건)
7월 훼스탈CF 출연 (블루팀)
7월 19일 이희호 여사 장애아 초청 \"난타\"공연 관람
10월 12일 난타 공연 1000회 돌파
11월 한국 관광 대상 \"난타\" 선정, 국내 최초로 문화산업 벤처 기업 인정
12월 국회 대중문화-미디어-과학기술상 수상
* 2001 * 2월 리처드 프랭클 프로덕션과 북미(55개도시순회)투어공연 계약 체결
(미니멈 개런티 4백만달러와 러닝개런티)
4월 난타 팀 개편(네퓨 이범찬, 섹시가이 윤정열 그만둠)
-블루팀 :이창직, 김원해, 서추자, 류승룡, 홍상진
-화이트팀 : 김람호, 이성민, 추현옥, 김영아, 설호열, 이형준
-레드팀 : 배성호, 김문수, 이현진, 윤돈선, 김병호
-블랙팀 : 김강일, 유승수, 이승준, 강지원, 조혜순, 정형석, 천성진
-그린팀 : 매니저 박기산, 주방장 최성우, 최창환, 이지연, 오지숙, 이지희, 양순기, 김두영
4월 2001 서울 제36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CF출연
5월 14일 대우아파트 CF 출연
6월 9일 피메일 조혜순 그만둠
7월 2일 전용극장 오픈 1주년 기념 공연
7월 26일 \'어린이 난타\' 초연 (그린팀)
8월 일본 아사히TV에 소개
9월 23일 테러로 인해 보스톤 공연을 끝으로 미주투어 잠정적 연기
9월 27일 세계 일류상품으로 선정
10월 A석 없어짐
10월 26일 드럼 페스티벌 난타 출연
*2002 * 1월 네티즌이 뽑은 올해 최고의 뮤지컬「난타」
1월 30일 팀개편 블랙: 배성호, 이성민, 추현옥, 설호열, 김병호
블루: 이창직, 김원해, 서추자, 류승룡, 장석현
그린: 유승수, 최성우, 이현진, 정형석, 김영훈
레드: 김강일, 이승준, 강지원, 오지숙, 양지욱, 이주원, 이형준
화이트: 박기산, 김문수, 김영아, 노재혁, 홍상진
3월 15일 블루팀 일본프로모션차 \"다케시 쇼 출연\"
3월 19일 난타관객 100만명 돌파
* 2003 * 4월 난타 극장 이전(서울시 중구 정도 15-5번지 정동 A&C)
*출처 : www.nanta.co.kr
◎ 마케팅 환경 분석
1. 내적 환경 분석
1) 송승환씨의 기획마인드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명제를 부정
시장에 대한 고민 ->해외 진출 모색 => \'보편적인 엔터테인먼트 + 한국적인 것‘
대학로 공연계의 엘리트주의가 거부하는 \'상업성\'을 좋은 뜻에서 걸러내고자 함
-> 작가만 이해하는 연극이 아닌 관객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연극 추구
2) 공동대표 이광호씨
충남방적 전무 시절 송대표와 지금의 PMC프로덕션을 차림.
PMC의 공동대표로서 기획과 경영을 나눠 맡는 투 톱 시스템으로 시너지 효과
3) PMC PRODUCTION
Performance, Music, Cinema 를 기획, 제작하는 문화벤처 기업
비언어극(Non-verbal performance)인 \'난타\'를 기획, 제작
2000년에는 국내에 NANTA 전용극장을 개관 국내 최초로 10년 장기공연에 돌입
한국을 찾은 외국인에게 우리나라의 우수한 공연문화를 선보이기 위해 노력
4) PMC 엔터테인먼트 USA
난타의 미국공연 국내 공연 수출 브로드웨이 공연 수입
5) 작품에 대한 믿음과 투자
제작팀은 국내의 성공에 만족하지 않고 외국으로 가져가겠다고 결단함
브로드웨이 연출가들을 한 달씩 데려다가 4번이나 작품을 고쳤다.
세계인이 이해할 수 있는 코드의 웃음과 감동을 만들어냈다.
2. 외적 환경 분석
1) 90년대 비언어극 유행
2) 연도별 연극계 현황 - 자료 별첨
3) 우리나라의 해외공연 형태와 난타
- 교포들을 대상으로 하는 위문공연
- 정부지원으로 한국의 전통문화를 소수의 사람들에게 소개하는 공연
- 난타의 해외공연 형태
현지 프로모터에게 돈을 받고 작품을 팔아서 현지 사람들에게 정식적인 관람료를 받고 돈을 버는 공연을 처음으로 시작함
4) 에딘버러축제(http://www.eif.co.uk/)
5) 세계 공연예술의 흐름
뮤지컬과 함께, 댄스와 서커스의 합성적인 댄커스 유행
전세계적으로 수십 개의 댄커스 단체가 있음
말로 들려주는 딕션 위주의 공연은 사양길
각자 원하는 바를 온 몸으로 느끼라는 식의 공연의 인기는 가히 폭발적임
PMC는 댄커스(댄스+서커스) 퍼포먼스 UFO를 8월부터 11월까지 대학로 동숭홀공연
6) 국내 공연예술의 흐름 (뮤지컬을 중심으로 난타의 경우 비언어극이라고 볼수 있다. 그러나 문예연감에 의거한 국내 공연예술장르 분류에서는 ‘뮤지컬’로 분류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