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측정 단위
■ 폐에 관계된 기호, 약어, 대표치
■ 약어 및 원명(Symbols and Abbreviations)
■ 용어해설
■ 폐에 관계된 기호, 약어, 대표치
■ 약어 및 원명(Symbols and Abbreviations)
■ 용어해설
본문내용
action(특이 역학 작용, SDA) : 음식물의 소화에 관련 하는 신진 대사율의 증가
Specificity(특수성) : 거짓 음성 반응이 최소화된 진단적 운동 테스트의 특성, 즉 음성적 운 동 테스트와 양성적 혈관 조형도
Specificity(특수성, 전문성) : 컨디셔닝이란 말은 훈련에 직접 관련된 적절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무산소적 파워 같은 것은 스프린트와 같은 짧고 높은 강도의 훈련 프로그램과 직결되며 중거리 달리기로 구성된 프 로그램은 무산소적 측면을 기대할 수 없다.
Speed play(파트렉) : 빠른 질주와 느린 질주를 자연적 지형에서 교행적으로 행하는 운동프 로그램, 인터벌 트레이닝 시스템의 전신이다.
Spot reduction(부분적인 감소) : 신체의 특정 부위를 운동시키면 그 부위의 지방이 현저히 감소된다는 이론
Sprint trainining(스프린트훈련<무산소적 훈련>) : 무산소적 시스템의 능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컨디셔닝으로 짧은 시간 높은 강도의 파워 운동(스프린트)을 요한다.
Steroid(스테로이드) : 남성화를 일으키는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유도물질
Stimulants(흥분제) : 신체의 유지에 필요한 기능을 증진시키는 물질
Stimulus(자극) : 세포의 활동을 수정시키는 환경적 변화
Stitch in the side(측부통증) : 옆구리 또는 늑간의 찌르는 듯한 통증
Strength(근력) : 근육 또는 근육군의 최대 견인력
Stroke volume(1회 박출량 : SV) : 좌측 또는 우심실에서 펌프되는 혈액량으로 한 번박출시 유출되는 혈액량
Subcutaneous fat(피하지방) : 피부 밑의 축적된 지방
Submaximal edercise(최대하 운동) : 운동시 최대 산소섭취량보다 적게 이것을 요구하는 정 도의 운동
Submaximal test(최대항 운동 테스트) : 피험자가 극도의 피로에 달하기 전 또는 최대의 생 리적 값이 얻어지기 전에 운동을 종료시키는 운동 테스트
Sympathetic nervous system(교감신경계) : 경계심, 심박수, 혈류 혈압, 대사작용을 조절하 는 자율신경계의 일부분
Synapse(시냅스) : 뉴런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데 도움을 주는 해부학적 단위
Syncitium(합포세포) : 심장의 근섬유와 같은 세포의 몰입
Thermogenesis(열생성) : 생리적 과정에 의한 열생산
Tidal Volume(1회 호흡량 : TV) : 1회 호흡당 흡식 또는 호식량
Tissue capillary membrance(조직모세혈관막) : 모세혈관과 기관의 중가에 있는 얇은 조직층 (골격근과 같은)으로 여기서 혈액과 조직간의 가스교환이 일어난다.
Torque(토크) : 회전력, 좌력. 예를 들면, 등속성 운동 테스트에서의 각력의 발생
Torr : 수은주(mmHg)로 측정된 기압
Total anaerobic power output(총 무산소적 파워의 출력) : 30초 기간 동안 전체 힘의 생성 과 특별히 관련된 ATP-PC와 젖 산계(lactic acid system)의 작용을 나타내는 무산소적 파워의 출력과 같은 의미이다.
Total lung Volume(총폐용량) : 최대호식 마지막의 폐내공기용적
Transmitter substance(전달물질) : 신경에서 신경으로 (시냅스) 또는 신경에서 근육으로(신 경근접합) 전기적 정보를 연결하는 화학물질(예, 아세틸콜린)
Tricuspid Valve(삼천판) : 우심실로부터 우심방으로의 혈액 역류를 막아주는 조직판
Triglyceride(3글리세라이드) : 유리지방산의 저장형태
Unit conversion(단위 전환) : 단계적 운동 테스트로부터 얻은 생리적 단위를 운동 처방에 이용 가능한 단위로 바꾸는 것
Upper motor neuron(상부운동뉴런) : 보다 높은 센타(뇌)에 위치한 운동뉴런
Vasoconstriction(혈관수축) : 혈관직경의 축소로 혈류를 필요한 부위에 혈액을 보내준다. 이때 혈관 내의 혈액용적은 감소한다.
Vasodilation(혈관확장) : 혈관 직경의 증가로 혈관에 혈액량이 증가한다.
Vena Cava(대정맥) : 조직에서 심장으로 혈액을 환원시키는 신체의 최대 정맥
Ventricular mass(심실 크기) : 좌심실벽의 크기를 말하며, 특정한 형태의 트레이닝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Ventricular volume(심실 용적) : 좌심실간의 크기를 말하며, 특정한 형태의 트레이닝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Vital Vapacity(폐활량) : 일회 최대 흡식 후 최대 호식한 양
Vitamins : 대사 과정을 조절하는 매일 섭취되어야 할 필수적 영양분
Vo2 max(최대 산소 섭취량) : 최대 산소 소비량 또는 유사소 능력을 말한다.
Volume stress(용적 스트레스) : 심장의 1회 심박출량을 증가시키는 자극을 뜻하며, 많은 혈 류량을 요구하는 형태의 트레이닝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Watt : 와트, 힘의 단위
WBGT index(습구체 온도지수) : 태양복사열과 습도(습구체온도)의 영향에 따른 온도범위에 관련된 안정과 스트레스 정도를 알 수 있는 지표. 이지수에서의 높은 온도 중에서는 스트레스가 높아 온도의 제한이 필요함
Work(일) : 근육의 길이를 짧게 하는 근육 수축시 일어나는 신체 운동을 일이라 한다.(W=f×d).
근육의 길이를 늘이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시간이 교려되지 않기 때문에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도(d=0) 일어날 수 있으며, 이를 등척성 힘(isometric force) 이라 한다.
Work inteval(작업인터벌) : 운동으로 구성된 인터벌 프로그램의 부분
Work-relief interval(운동-휴식인터벌) : 인터벌 훈련프로그램에서 작업인터벌 기간의 휴식 인터벌 기간에 대한 비율
Z-line(Z띠) : 근원섬유에서 하나의 근섬유분절의 거리로 정의되는 하나의 단백질 밴드(띠)
Zone of intolerablo cold : 체온 유지가 불가능한 구간
Zone of thermal comfort : 체온이 유지되는 온도 구간 및 관계시니는 기능을 하는 뇌의 일부분
Specificity(특수성) : 거짓 음성 반응이 최소화된 진단적 운동 테스트의 특성, 즉 음성적 운 동 테스트와 양성적 혈관 조형도
Specificity(특수성, 전문성) : 컨디셔닝이란 말은 훈련에 직접 관련된 적절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무산소적 파워 같은 것은 스프린트와 같은 짧고 높은 강도의 훈련 프로그램과 직결되며 중거리 달리기로 구성된 프 로그램은 무산소적 측면을 기대할 수 없다.
Speed play(파트렉) : 빠른 질주와 느린 질주를 자연적 지형에서 교행적으로 행하는 운동프 로그램, 인터벌 트레이닝 시스템의 전신이다.
Spot reduction(부분적인 감소) : 신체의 특정 부위를 운동시키면 그 부위의 지방이 현저히 감소된다는 이론
Sprint trainining(스프린트훈련<무산소적 훈련>) : 무산소적 시스템의 능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컨디셔닝으로 짧은 시간 높은 강도의 파워 운동(스프린트)을 요한다.
Steroid(스테로이드) : 남성화를 일으키는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유도물질
Stimulants(흥분제) : 신체의 유지에 필요한 기능을 증진시키는 물질
Stimulus(자극) : 세포의 활동을 수정시키는 환경적 변화
Stitch in the side(측부통증) : 옆구리 또는 늑간의 찌르는 듯한 통증
Strength(근력) : 근육 또는 근육군의 최대 견인력
Stroke volume(1회 박출량 : SV) : 좌측 또는 우심실에서 펌프되는 혈액량으로 한 번박출시 유출되는 혈액량
Subcutaneous fat(피하지방) : 피부 밑의 축적된 지방
Submaximal edercise(최대하 운동) : 운동시 최대 산소섭취량보다 적게 이것을 요구하는 정 도의 운동
Submaximal test(최대항 운동 테스트) : 피험자가 극도의 피로에 달하기 전 또는 최대의 생 리적 값이 얻어지기 전에 운동을 종료시키는 운동 테스트
Sympathetic nervous system(교감신경계) : 경계심, 심박수, 혈류 혈압, 대사작용을 조절하 는 자율신경계의 일부분
Synapse(시냅스) : 뉴런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데 도움을 주는 해부학적 단위
Syncitium(합포세포) : 심장의 근섬유와 같은 세포의 몰입
Thermogenesis(열생성) : 생리적 과정에 의한 열생산
Tidal Volume(1회 호흡량 : TV) : 1회 호흡당 흡식 또는 호식량
Tissue capillary membrance(조직모세혈관막) : 모세혈관과 기관의 중가에 있는 얇은 조직층 (골격근과 같은)으로 여기서 혈액과 조직간의 가스교환이 일어난다.
Torque(토크) : 회전력, 좌력. 예를 들면, 등속성 운동 테스트에서의 각력의 발생
Torr : 수은주(mmHg)로 측정된 기압
Total anaerobic power output(총 무산소적 파워의 출력) : 30초 기간 동안 전체 힘의 생성 과 특별히 관련된 ATP-PC와 젖 산계(lactic acid system)의 작용을 나타내는 무산소적 파워의 출력과 같은 의미이다.
Total lung Volume(총폐용량) : 최대호식 마지막의 폐내공기용적
Transmitter substance(전달물질) : 신경에서 신경으로 (시냅스) 또는 신경에서 근육으로(신 경근접합) 전기적 정보를 연결하는 화학물질(예, 아세틸콜린)
Tricuspid Valve(삼천판) : 우심실로부터 우심방으로의 혈액 역류를 막아주는 조직판
Triglyceride(3글리세라이드) : 유리지방산의 저장형태
Unit conversion(단위 전환) : 단계적 운동 테스트로부터 얻은 생리적 단위를 운동 처방에 이용 가능한 단위로 바꾸는 것
Upper motor neuron(상부운동뉴런) : 보다 높은 센타(뇌)에 위치한 운동뉴런
Vasoconstriction(혈관수축) : 혈관직경의 축소로 혈류를 필요한 부위에 혈액을 보내준다. 이때 혈관 내의 혈액용적은 감소한다.
Vasodilation(혈관확장) : 혈관 직경의 증가로 혈관에 혈액량이 증가한다.
Vena Cava(대정맥) : 조직에서 심장으로 혈액을 환원시키는 신체의 최대 정맥
Ventricular mass(심실 크기) : 좌심실벽의 크기를 말하며, 특정한 형태의 트레이닝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Ventricular volume(심실 용적) : 좌심실간의 크기를 말하며, 특정한 형태의 트레이닝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Vital Vapacity(폐활량) : 일회 최대 흡식 후 최대 호식한 양
Vitamins : 대사 과정을 조절하는 매일 섭취되어야 할 필수적 영양분
Vo2 max(최대 산소 섭취량) : 최대 산소 소비량 또는 유사소 능력을 말한다.
Volume stress(용적 스트레스) : 심장의 1회 심박출량을 증가시키는 자극을 뜻하며, 많은 혈 류량을 요구하는 형태의 트레이닝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Watt : 와트, 힘의 단위
WBGT index(습구체 온도지수) : 태양복사열과 습도(습구체온도)의 영향에 따른 온도범위에 관련된 안정과 스트레스 정도를 알 수 있는 지표. 이지수에서의 높은 온도 중에서는 스트레스가 높아 온도의 제한이 필요함
Work(일) : 근육의 길이를 짧게 하는 근육 수축시 일어나는 신체 운동을 일이라 한다.(W=f×d).
근육의 길이를 늘이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시간이 교려되지 않기 때문에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도(d=0) 일어날 수 있으며, 이를 등척성 힘(isometric force) 이라 한다.
Work inteval(작업인터벌) : 운동으로 구성된 인터벌 프로그램의 부분
Work-relief interval(운동-휴식인터벌) : 인터벌 훈련프로그램에서 작업인터벌 기간의 휴식 인터벌 기간에 대한 비율
Z-line(Z띠) : 근원섬유에서 하나의 근섬유분절의 거리로 정의되는 하나의 단백질 밴드(띠)
Zone of intolerablo cold : 체온 유지가 불가능한 구간
Zone of thermal comfort : 체온이 유지되는 온도 구간 및 관계시니는 기능을 하는 뇌의 일부분
추천자료
마라톤시 나타나는 생리학적 현상
2012년 1학기 인체생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인체생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3년 동계계절시험 인체생리학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인체생리학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인체생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인체생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인체생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인체생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인체생리학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동계계절시험 인체생리학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인체생리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