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평판법에 의한 순수배양의 분리
액체배지에서 순수배양의 분리
이원배양
2. Reference
평판법에 의한 순수배양의 분리
액체배지에서 순수배양의 분리
이원배양
2. Reference
본문내용
실에서 쉽게 배양할 수 있다. 예컨대 섬모충류, 아메바 및 점균류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경우에 연관성은 절대적인 것이 못 된다. 왜냐하면 이 군에 속하는 몇몇 대표적인 종에 관한 영양학적 연구에서 이들이 순수배양으로 자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지 때문이다. 그러나 때때로 원생동물의 영양요구성은 너무나 복잡하여 순수배양의 유지를 위한 배지의 조제는 어렵고 또한 힘들다. 통상의 유지목적 그리고 많은 실험목적에 이원배양은 적절하다.
이원배양의 확립은 2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첫째로 먹이생물의 순수배양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이 일단 성취되면, 포식자 또는 기생체는 다양한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먹이생물의 순수배양에 도입할 수 있다.
배지는 포식자 또는 기생체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먹이생물의 충분한 증식을 허용하여야 하지만, 먹이 생물이 포식자나 기생체보다 더욱 많아지거나 해로운 대사산물을 생산할 만큼 지나치게 많아져서도 안 된다.
2. Reference
- Mark. L Wheeis, 최신미생물학, 아카데미, 1993, pp.34~36
- 미생물학 실험교재 편찬위원회, 미생물학 실험, 월드 사이언스, pp.27~34
이원배양의 확립은 2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첫째로 먹이생물의 순수배양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이 일단 성취되면, 포식자 또는 기생체는 다양한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먹이생물의 순수배양에 도입할 수 있다.
배지는 포식자 또는 기생체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먹이생물의 충분한 증식을 허용하여야 하지만, 먹이 생물이 포식자나 기생체보다 더욱 많아지거나 해로운 대사산물을 생산할 만큼 지나치게 많아져서도 안 된다.
2. Reference
- Mark. L Wheeis, 최신미생물학, 아카데미, 1993, pp.34~36
- 미생물학 실험교재 편찬위원회, 미생물학 실험, 월드 사이언스, pp.27~34
추천자료
미생물과 고등생물의 유전자 재조합
미생물학에 기여한 사람들 (생애와 업적)
미생물의 성장
[과외]중학 과학 2-2학기 기말 04 혼합물의 분리(교사용)
[과외]중학 과학 2-2학기 기말 04 혼합물의 분리
[생물]닭 근위(모래주머니)에서 키틴분해효소의 분리 및 정제 보고서
우리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품에는 단백질이 얼마나 있는지를 측정하고, 단백질을 분리...
[생물] 현미경을 이용한 미생물의 관찰 및 미생물 염색법 실험 보고서
응용미생물학의 정리( 미생물의 발견 부터, 호기발효조까지)
미생물 연습문제(공통교재-미생물학의 이해)
[가축개량][품종개량][지반개량][미생물의 형질개량][개량특허기술][개량 벌통][독일의 개량...
(A+) 극한미생물학 - 초고온성 미생물, 효소의 활용 (더러운 물이 맑은 물이 되고, 머리카락...
[병원미생물학실험] Kirby-Bauer(커비-바우어(의 항생제 감수성 시험 : 항 미생물 활동의 평...
[식품食品미생물학] 미생물의 구조와 기능 - 미생물 세포의 특징,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원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