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세한도에는 문질빈빈(文質彬彬), 즉 형식과 내용의 절대 조화가 있다. 이처럼 세한도를 한국을 대표하는 문인화라고 극찬 하였다.
공자는 <논어>에서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松栢之後彫)”라고 하였다. 날씨가 추워진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듦을 알겠다라는 뜻인데 여기서 세한도가 나온 것이다. 세한도는 권세에 휘둘리지 않고 지조와 의리를 지키는 것이 인간의 도리라고 믿었던 추사가 추운 겨울의 소나무와 잣나무를 이상적에 비유하여 그에게 그려준 그림이다.그의 지조와 의리에 대한 신념과 귀양살이에 대한 고독한 쓸쓸함은 어쩌면 우리 한국민의 사상적 배경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이 세한도란 그림을 보면서 그런 추사의 마음에 공감할 수 있었고 우리나라 송백그림중 가장 으뜸이라고 말 할 수 있다.
공자는 <논어>에서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松栢之後彫)”라고 하였다. 날씨가 추워진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듦을 알겠다라는 뜻인데 여기서 세한도가 나온 것이다. 세한도는 권세에 휘둘리지 않고 지조와 의리를 지키는 것이 인간의 도리라고 믿었던 추사가 추운 겨울의 소나무와 잣나무를 이상적에 비유하여 그에게 그려준 그림이다.그의 지조와 의리에 대한 신념과 귀양살이에 대한 고독한 쓸쓸함은 어쩌면 우리 한국민의 사상적 배경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이 세한도란 그림을 보면서 그런 추사의 마음에 공감할 수 있었고 우리나라 송백그림중 가장 으뜸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