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김정희(金正喜 1786.6.3-185610.10)의 생애

Ⅲ. 김정희의 주요 활동과 작품
1.서예가로서의 김정희
2.김정희의 학문세계
3.화인으로서의 김정희

Ⅳ. 맺음말

본문내용

선란> 등이 있다.
<산심일장란>-김정희의 난초 그림 중 일찍부터 명작으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이 그림을 그의 장년시절의 난초와 비
교해보면 그의 필력이 노년에 와서 얼마나 무르익었나를
알 수 있다.
<불이선란>-김정희의 난초그림이 파격을 넘어 불이선의 경
지에 다다른 불계공졸의 명화이다. 바람을 받은 듯 오른쪽
구석에서부터 꿈틀대며 힘차게 솟아 굽어진 난초를 화면의
중앙에 그려 넣고 그 주변의 여백에 제찬을 써 넣었다. 이
러한 난 그림은 실제의 난이 아닌 난의 이미지를 재구성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글씨는 굵고 가는 획들이 서로 엇갈려
몹시 거칠면서도 힘차다. 난초의 굴곡진 모습이 마치 그의
글씨를 보는 듯 하며, 그의 명성만큼 많은 도장이 찍혀 있
다.
<불이선란(부작란)>
Ⅳ. 맺음말
김정희는 조선 성리학의 폐단이 드러나면서 새로운 학문 사상을 요구하던 19세기 전반에 살았던 인물이다. 그는 조부에게 전통문화를 익히고 스승 박제가를 만나 청의 고증학을 대강 전수 받고 24세에 연경에 다녀왔다. 연경 행은 김정희 생애의 큰 전환점이 된다. 이 때 그는 청의 옹방강, 완원 등 연경 학예인들을 알게 되고 지속적으로 교류를 맺고 학문과 예술세계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김정희는 청의 문물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연구하여 자기화, 토착화시켜 발전시켰다. 김정희는 서예, 문인화, 시, 고증학, 금석학, 실학... 등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게 된다. 그리고 그의 학문과 예술세계는 그의 선˙후배와 제자들을 통해서 조선 후기 사회에 완당 바람이라 불릴 정도로 영향을 끼친다. 그의 학문과 예술 세계가 사회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차지하였을 때 세도정치에 휘말려 제주도로 귀양 가게 된다. 그러나 제주도 귀양살이는 그에게 고통과 슬픔을 주었지만 이를 독서와 서화로 승화시켜 그의 학문과 예술에 있어서는 완성을 가져왔다. 그래서 이 시기에 독특한 자신의 서체인 추사체를 완성하였으며 유명한 <세한도>를 그렸다. 이렇게 그의 삶의 굴곡에 따라 학문과 예술 세계는 변화하였고 발전하면서 서서히 완성되었다. 김정희는 개성적인 글씨체인 추사체뿐만 아니라 실학, 금석학, 고증학, 경학, 불교학, 시, 문장, 문인화 등 여러 분야에서 뛰어난 다재다능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학문과 예술 세계는 ‘나는 70 평생에 벼루 10개를 밑창 냈고 일천 자루를 몽당붓으로 만들었다.’는 김정희의 말과 같이 끊임없는 노력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김정희는 고통 속에서도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서 자신의 학문과 예술 세계를 이루었고 이는 다시 조선 후기 사회에 영향을 끼치게 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유홍준, <완당평전>1-일세를 풍미하는 완당바람, 학고재, 2002
유홍준, <완당평전>2-산은 높고 바다는 깊네, 학고재, 2002
오주석,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1>, 솔 출판사, 1999
안휘준, <한국회화사 연구>, (주)시공사, 2000
이동주, <우리나라의 옛 그림>, 학고재, 1995
이상진, 논문-추사 김정희의 고택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8.03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8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