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아햏햏’의 어원과 뜻
2.1 ‘아햏햏’의 어원
2.2 ‘아햏햏’의 뜻
3. ‘아햏햏’의 생성과 구조
3.1 ‘아햏햏’의 생성
3.2 ‘아햏햏’의 구조
4. ‘아햏햏’의 발음
4.1 ‘아햏햏’의 발음
4.2 ‘ㅎ’ 받침
4.3 발음 방법
4.3.1. 격음화
4.3.2. ㅅ → ㅆ
4.3.3. 묵음
4.3.4. ㄴ
4.3.5. ㄷ
4.4 ‘아햏햏’+조사
5. ‘아햏햏’의 파생어
5.1 ‘아햏햏’의 파생어
5.2 파생어의 발음법
6. 맺음말
2. ‘아햏햏’의 어원과 뜻
2.1 ‘아햏햏’의 어원
2.2 ‘아햏햏’의 뜻
3. ‘아햏햏’의 생성과 구조
3.1 ‘아햏햏’의 생성
3.2 ‘아햏햏’의 구조
4. ‘아햏햏’의 발음
4.1 ‘아햏햏’의 발음
4.2 ‘ㅎ’ 받침
4.3 발음 방법
4.3.1. 격음화
4.3.2. ㅅ → ㅆ
4.3.3. 묵음
4.3.4. ㄴ
4.3.5. ㄷ
4.4 ‘아햏햏’+조사
5. ‘아햏햏’의 파생어
5.1 ‘아햏햏’의 파생어
5.2 파생어의 발음법
6. 맺음말
본문내용
서 자모에 이름에 대해 [히으시], [히으세]라고 발음을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표기의 기본 원칙에 따르면 아햐햐이[아해태디]로 발음해야 하고 히읗이[히으시]와 같은 기준이 적용된다면 [아해태시]로 발음될 수가 있다. [아해태디]/[아해태시] 둘 중 어느 것이 맞다 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 아햐햐 + 조사 발음
가. 아햐햐이 [아핼핼/이] → [아해태디]? [아해태시]?
나. 아햐햐은 [아핼핼/은] → [아해태든]? [아해태슨]?
다. 아햐햐을 [아핼핼/을] → [아해태들]? [아해태슬]?
라. 아햐햐과 [아핼핼/과] → [아해탤꽈]
받침 ㄷ뒤에 연결되는 ㄱ은 된소리로 발음한다는 경음화 원칙에 따라 '아햐햐과'는 [아해탤꽈]로 발음 된다.
5. '아햐햐'의 파생어
5.1 '아햐햐'의 파생어
'아햐햐'이 유행하면서 '아햐햐'에서 유래한 새로운 말이 생겨났다. 햐자, 수햐, 득햐, 소햐, 본햐, 햐력, ... 앞으로 이 말 이외에 '햐'이란 글자가 들어간 많은 말들이 생겨날 것이다. 득햐, 수햐, 햐자 따위는 득행(得幸), 수행(修行), 행자(行者)에서 ㅇ을 ㅎ으로 대체한 말이 아니다. 수햐과 햐자는 수행과 행자와 비슷한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나 득행은 '임금의 남다른 사랑을 받는 것'으로 득햐과 전혀 상관없는 의미를 갖고 있다. 따라서 '아햐햐' 파생어는 ㅇ→ㅎ 공식으로 만들어진 말로 볼 수 없다.
주요 파생어는 아햐햐에서 햐을 따와서 우리말과 한자 조어법에 따라서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생겨났다.
가. 득햐 : 得 + 아햐햐
나. 수햐 : 修 + 아햐햐
다. 햐자 : 아햐햐 + 者
라. 소햐 : 小 + 햐, 햐자 자신을 낮춰 부르는 말. cf) 소인(小人), 소자(小子)
마. 본햐(자) : 본 + 햐(자), 햐자 자신을 일컫는 말. cf) 본인(本人)
5.2 파생어의 발음법
위에 언급한 발음 원칙을 적용하면 '아햐햐'파생어는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 아햐햐 파생어 발음
가. 득햐 [드캔] : ㄱ+ㅎ→ ㅋ
나. 수햐 [수핼]
다. 햐자 [핼짜] : 경음화
6. 맺음말
'아햐햐'발음 논란은 '아햐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우리말과 글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시작되었다. 한글은 표음문자이고 제자원리에 따라 초+중+종으로 다양하게 글자를 생성할 수 있다. '아햐햐'또한 표기할 수 있고 발음할 수 있다. '아햐햐'의 정의를 "아햐햐은 아햐햐이다."라고 한다. 이 새로운 말인 '아햐햐'은 단순한 말이 아닌 그 문화 코드라는 점을 내포하고 있다. 단순한 유행어로만 이 말이 통용된다면 '아햐햐'에 대한 비난만 더 확대시킬 뿐이다. '아햐햐'은 '아햐햐'과 관련된 문화와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
'아햐햐'에 참여하는 사람은 혼자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상상 속에서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다른 잠재적 감상자들과 관계를 맺고 있을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서 '아햐햐'은 알아들었나 못 알아들었나를 따지는 의미의 관계가 아니라, 이미지를 하나의 사물로 승인함으로써 누군가와 관계를 맺게 된다는 참여의 관계로 작용한다. '아햐햐'은 결코 종교적인 우상으로 사용될 수 없는 기호이자 이미지이다. 그렇다면 '아햐햐'이란 현실을 지배하는 경쟁 관계나 위계 질서로부터 벗어나 있는 새로운 시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욕망을 대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도 해본다.
말은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말은 생성-발전-쇠퇴-소멸이라는 부침의 과정을 겪는다. '아햐햐'또한 마찬가지이다. 지금 '아햐햐'이 널리 알려지고 있지만 유행어로 끝날지 문화현상으로 문화의 상징으로 꽃피울지는 알 수 없다. '아햐햐'이란 말의 운명은 이 말을 만들고 사용하는 사람에 달려 있다.
* 아햐햐 + 조사 발음
가. 아햐햐이 [아핼핼/이] → [아해태디]? [아해태시]?
나. 아햐햐은 [아핼핼/은] → [아해태든]? [아해태슨]?
다. 아햐햐을 [아핼핼/을] → [아해태들]? [아해태슬]?
라. 아햐햐과 [아핼핼/과] → [아해탤꽈]
받침 ㄷ뒤에 연결되는 ㄱ은 된소리로 발음한다는 경음화 원칙에 따라 '아햐햐과'는 [아해탤꽈]로 발음 된다.
5. '아햐햐'의 파생어
5.1 '아햐햐'의 파생어
'아햐햐'이 유행하면서 '아햐햐'에서 유래한 새로운 말이 생겨났다. 햐자, 수햐, 득햐, 소햐, 본햐, 햐력, ... 앞으로 이 말 이외에 '햐'이란 글자가 들어간 많은 말들이 생겨날 것이다. 득햐, 수햐, 햐자 따위는 득행(得幸), 수행(修行), 행자(行者)에서 ㅇ을 ㅎ으로 대체한 말이 아니다. 수햐과 햐자는 수행과 행자와 비슷한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나 득행은 '임금의 남다른 사랑을 받는 것'으로 득햐과 전혀 상관없는 의미를 갖고 있다. 따라서 '아햐햐' 파생어는 ㅇ→ㅎ 공식으로 만들어진 말로 볼 수 없다.
주요 파생어는 아햐햐에서 햐을 따와서 우리말과 한자 조어법에 따라서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생겨났다.
가. 득햐 : 得 + 아햐햐
나. 수햐 : 修 + 아햐햐
다. 햐자 : 아햐햐 + 者
라. 소햐 : 小 + 햐, 햐자 자신을 낮춰 부르는 말. cf) 소인(小人), 소자(小子)
마. 본햐(자) : 본 + 햐(자), 햐자 자신을 일컫는 말. cf) 본인(本人)
5.2 파생어의 발음법
위에 언급한 발음 원칙을 적용하면 '아햐햐'파생어는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 아햐햐 파생어 발음
가. 득햐 [드캔] : ㄱ+ㅎ→ ㅋ
나. 수햐 [수핼]
다. 햐자 [핼짜] : 경음화
6. 맺음말
'아햐햐'발음 논란은 '아햐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우리말과 글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시작되었다. 한글은 표음문자이고 제자원리에 따라 초+중+종으로 다양하게 글자를 생성할 수 있다. '아햐햐'또한 표기할 수 있고 발음할 수 있다. '아햐햐'의 정의를 "아햐햐은 아햐햐이다."라고 한다. 이 새로운 말인 '아햐햐'은 단순한 말이 아닌 그 문화 코드라는 점을 내포하고 있다. 단순한 유행어로만 이 말이 통용된다면 '아햐햐'에 대한 비난만 더 확대시킬 뿐이다. '아햐햐'은 '아햐햐'과 관련된 문화와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
'아햐햐'에 참여하는 사람은 혼자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상상 속에서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다른 잠재적 감상자들과 관계를 맺고 있을 것이다. 그들에게 있어서 '아햐햐'은 알아들었나 못 알아들었나를 따지는 의미의 관계가 아니라, 이미지를 하나의 사물로 승인함으로써 누군가와 관계를 맺게 된다는 참여의 관계로 작용한다. '아햐햐'은 결코 종교적인 우상으로 사용될 수 없는 기호이자 이미지이다. 그렇다면 '아햐햐'이란 현실을 지배하는 경쟁 관계나 위계 질서로부터 벗어나 있는 새로운 시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욕망을 대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도 해본다.
말은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말은 생성-발전-쇠퇴-소멸이라는 부침의 과정을 겪는다. '아햐햐'또한 마찬가지이다. 지금 '아햐햐'이 널리 알려지고 있지만 유행어로 끝날지 문화현상으로 문화의 상징으로 꽃피울지는 알 수 없다. '아햐햐'이란 말의 운명은 이 말을 만들고 사용하는 사람에 달려 있다.
추천자료
통신어의 실태와 올바른 해결방안에 대하여
미디어에 나타난 언어오용 실태 분석
신통신 언어(외계어),인터넷언어의 이해
신통신 언어의 이해
언어파괴를 탄핵한다.
언어와 해체주의
전자 언어 어휘에 관한 구조 분석 및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방송언어를 통해 본 연예 오락 프로그램의 문제점
성교육, 옛날이야기교육 교수자료(학습자료), 인성교육,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교수자료...
[커뮤니케이션]구전커뮤니케이션, 조직커뮤니케이션, 연극커뮤니케이션, 관광마케팅커뮤니케...
[외국어교육][외국어수업]외국어교육(외국어수업) 맥락적 언어학습, 외국어교육(외국어수업) ...
청소년기 언어 발달과 신조어 사용 (통신어, 매스컴, 최근 신조어, 신조어 뜻, 신조어 원인, ...
언어파괴를 탄핵한다
[방송통신대 1학년 언어의이해 E 형]인간 의사소통의 특징을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