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근대사학의 태동
2. 역사편찬의 변천
3. 역사서술의 인식변화
2. 역사편찬의 변천
3. 역사서술의 인식변화
본문내용
, 1908년 이후의 초등교과서뿐이었다. 그 외는 모두 신라말이나 고려말까지 서술한 것이다. 그런데 1895년과 1899년의 관찬사서는 편년체 사서이고 실학사서의 수준을 크게 넘지 못한 것이다. 1906년의 『동국사략』은 일본의 하야시의 것을 역술한 것이다. 하야시의 것보다는 민족적인 내용을 담았다고 해서 민족적 의미를 부여하려는 주장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식민사학을 대변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말 사서로서 근대적으로 서술된 최초의 통사는 황의돈의 『대동청사』가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몰론 거기에도 조선후기까지 서술했다든지 서술내용에서 왕실 중심의 정치설화 방식이나 정통론의 잔영이 있는 등의 한계는 있다. 그러나 그러한 한계가 있다고 해도 편년체 서술에서 벗어났으며 정통론도 크게 극복하고 있다. 대외관계를 표준으로 한 것이긴 하지만 나름대로 역사발전을 기준으로 한 시대구분을 시도한 점이나 그에 따른 내용 서술에 노력한 점 등 근대사학에 가까운 통사로 볼 수 있다. 『대통청사』는 신채호의 「독사신론」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 같다. 우리 민족에 대해 부여족의 관점을 지닌 것이나 대외관계에 역점을 둔 것은 「독사신론」이 뜻하는 바와 같다. 한편 정치나 문화현상에 대하여 비교적 자세히 논한 점으로 봐서 문화사학의 관점에 접근하고 있는 특징도 엿보인다.
그렇게 보면 근대사학은 신채호의 「독사신론」과 황의돈의 『대동청사』에 의해서 성립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신채호는 「독사신론」의 사론을 통해서, 황의돈은 통사 서술을 통해서 근대사학을 수립해갔다. 그리하여 1910년대 이후 민족사학의 기초가 되었다고 이해된다.
그렇게 보면 근대사학은 신채호의 「독사신론」과 황의돈의 『대동청사』에 의해서 성립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신채호는 「독사신론」의 사론을 통해서, 황의돈은 통사 서술을 통해서 근대사학을 수립해갔다. 그리하여 1910년대 이후 민족사학의 기초가 되었다고 이해된다.
추천자료
조선시대의 문화
<國內 東洋史關係 論文要目(2001年)>
해방 직후 북한의 근대적 개혁
역사학파 경제 사학 막스베버
전근대집단심성, 망탈리테
허균연구 -허균의 생애와 근대적 사회로의 지향-
[일본][영화][방송][문학]일본의 영화산업(일본영화의 역사, 주제와 일본영화의 영향력), 일...
[홍익인간사상][통일교육]신홍익인간의 의미와 통일교육적 의의, 홍익인간사상과 남북한 교육...
[한국근대사 과제] 갑오농민전쟁 연구의 성과와 비판 - 이영호의 『동학과 농민전쟁』과 조경...
조선 중기 역사인식 개관과 홍여하
[사학과 레포트][천문학사]15세기 최고의 천문학자 이순지에 대한 고찰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교육사]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