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진단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임신진단의 가정증후 (presumptive evidence)

2. 임신진단의 추정증후(probable evidence)

3. 임신의 확정증후 (positive signs)

4. 임신의 일반 증상

5. 초산부와 경산부의 감별

6. 자궁내 태아사망의 진단

본문내용

uncle).
· 자궁경관 : 손가락 하나 통과가능.
6. 자궁내 태아사망의 진단
태아사망의 50%에서 원인이 없다.
1) 임신초기에는 자궁내 태아사망의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2) 초음파검사
- 임신 10-12주에 초음파상 태아심박동이 없으면 진단.
- 반복검사로 자궁크기 관찰 → 작아지거나 변화없으면 진단.
- 보조적 진단소견 : scalp edema, maceration등이 특징.
3) 진찰소견 (Physical examination)
- 청진상 태아 심박동이 안 들린다.
- 자궁의 크기가 그대로이거나, 커지지 않는다.
- 열린 자궁경부에서 collapsed 된 태아의 두부가 만져진다.
4) 임신반응 호르몬검사
→ 진단의 지표가 되지는 않는다.
→ hCG는 태아사망후 수 주일까지도 검출가능.
5) 태동
→ 임신후반기에 태동이 없으면 진단 가능.
6) 양수의 변화
→ 태아사망 수일-수주후 변화
→ red to brown, turbid amniotic fluid: 특징적 소견은 아님.
7) 방사선 검사 : 자궁내 태아사망의 특징적 소견
- 태아 두개골의 중첩 영상 (Spalding's sign): 뇌의 액화로 인하여 발생
→ overlap of skull bone.
→ 사망 수일 후에 보인다.
- 태아척추의 심한 굴곡소견(Exaggerated curvature of the fetal spine)
: 척추인대가 약화되어 발생.
→ 사망 수일 후에 보인다.
- 태아 체내에서 가스 존재 (demonstration of gas in the fetus).
→ 태아 사망의 가장 신빙성이 높은 소견.

추천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5.2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9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