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신진단의 가정증후 (presumptive evidence)
2. 임신진단의 추정증후(probable evidence)
3. 임신의 확정증후 (positive signs)
4. 임신의 일반 증상
5. 초산부와 경산부의 감별
6. 자궁내 태아사망의 진단
2. 임신진단의 추정증후(probable evidence)
3. 임신의 확정증후 (positive signs)
4. 임신의 일반 증상
5. 초산부와 경산부의 감별
6. 자궁내 태아사망의 진단
본문내용
uncle).
· 자궁경관 : 손가락 하나 통과가능.
6. 자궁내 태아사망의 진단
태아사망의 50%에서 원인이 없다.
1) 임신초기에는 자궁내 태아사망의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2) 초음파검사
- 임신 10-12주에 초음파상 태아심박동이 없으면 진단.
- 반복검사로 자궁크기 관찰 → 작아지거나 변화없으면 진단.
- 보조적 진단소견 : scalp edema, maceration등이 특징.
3) 진찰소견 (Physical examination)
- 청진상 태아 심박동이 안 들린다.
- 자궁의 크기가 그대로이거나, 커지지 않는다.
- 열린 자궁경부에서 collapsed 된 태아의 두부가 만져진다.
4) 임신반응 호르몬검사
→ 진단의 지표가 되지는 않는다.
→ hCG는 태아사망후 수 주일까지도 검출가능.
5) 태동
→ 임신후반기에 태동이 없으면 진단 가능.
6) 양수의 변화
→ 태아사망 수일-수주후 변화
→ red to brown, turbid amniotic fluid: 특징적 소견은 아님.
7) 방사선 검사 : 자궁내 태아사망의 특징적 소견
- 태아 두개골의 중첩 영상 (Spalding's sign): 뇌의 액화로 인하여 발생
→ overlap of skull bone.
→ 사망 수일 후에 보인다.
- 태아척추의 심한 굴곡소견(Exaggerated curvature of the fetal spine)
: 척추인대가 약화되어 발생.
→ 사망 수일 후에 보인다.
- 태아 체내에서 가스 존재 (demonstration of gas in the fetus).
→ 태아 사망의 가장 신빙성이 높은 소견.
· 자궁경관 : 손가락 하나 통과가능.
6. 자궁내 태아사망의 진단
태아사망의 50%에서 원인이 없다.
1) 임신초기에는 자궁내 태아사망의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2) 초음파검사
- 임신 10-12주에 초음파상 태아심박동이 없으면 진단.
- 반복검사로 자궁크기 관찰 → 작아지거나 변화없으면 진단.
- 보조적 진단소견 : scalp edema, maceration등이 특징.
3) 진찰소견 (Physical examination)
- 청진상 태아 심박동이 안 들린다.
- 자궁의 크기가 그대로이거나, 커지지 않는다.
- 열린 자궁경부에서 collapsed 된 태아의 두부가 만져진다.
4) 임신반응 호르몬검사
→ 진단의 지표가 되지는 않는다.
→ hCG는 태아사망후 수 주일까지도 검출가능.
5) 태동
→ 임신후반기에 태동이 없으면 진단 가능.
6) 양수의 변화
→ 태아사망 수일-수주후 변화
→ red to brown, turbid amniotic fluid: 특징적 소견은 아님.
7) 방사선 검사 : 자궁내 태아사망의 특징적 소견
- 태아 두개골의 중첩 영상 (Spalding's sign): 뇌의 액화로 인하여 발생
→ overlap of skull bone.
→ 사망 수일 후에 보인다.
- 태아척추의 심한 굴곡소견(Exaggerated curvature of the fetal spine)
: 척추인대가 약화되어 발생.
→ 사망 수일 후에 보인다.
- 태아 체내에서 가스 존재 (demonstration of gas in the fetus).
→ 태아 사망의 가장 신빙성이 높은 소견.
추천자료
모성간호 실습 케이스 -조기양막파열 (PROM) 문헌고찰, 사정 ,진단 포함 (A+)
본인과 주변 친구들을 통해서 본 대학생의 성문화(가치, 행동, 문제점 중심)를 진단하고, 본...
분만 (문헌고찰, 처치, DR에서 자주 쓰는 약물, 간호진단)
<불임(infertility)> (불임이란?, 불임의 원인, 불임 진단, 불임 치료, 문제점, 정부의 정책)...
특수교육의 이해, 학습장애아동교육, 학습장애 아동 정의 특성 교육,학습장애 교육의 역사,학...
모성간호학 case (cpd c/sec-산과, 자궁내막증-부인과: 문헌고찰, 자료수집, 간호진단)
★추천자료★[영화를 통해 알아 본 자폐증] 영화 말아톤 속 장애, 자폐증 영화, 말아톤 속 장애...
베체트병(Bechet's disease) 문헌고찰 & 케이스, 임산부 급성통증, 변비, 고체온 간호과...
★ 성인간호학 - 당뇨병 ( 당뇨병의 병태생리,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종류, 당뇨병의 진단기...
★ 지역사회건강 문제와 간호 - 가족건강상태에 대한 탐색, 가족구조 탐색, 가족발달 탐색, 가...
[A+, 교수님께 칭찬받은 케이스] 아동간호 실습 케이스 Case 열성경련 열성발작 Febrile seiz...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 포상기태정의, 포상기태원인, 포상기태빈도, 포상기태증상, 포...
난소암 케이스, 난소암케이스, 난소암 CASE, 난소암 간호과정, 난소암 간호진단, 난소암 사례...
[모성간호A+]자연분만 케이스 자연분만 간호과정 자연두정태위분만 간호과정 자연분만 case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