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우리사회와 보수, 진보사상의 밀접한 관계
Ⅱ. 본론
1)보수주의
(1)보수주의 사상의 이론적 특성
(2)한국 보수주의의 성격과 발전
(3)한국 보수주의 사상의 비판
2)진보주의
(1)진보주의 사상의 이론적 특성
(2)한국 진보주의의 성격과 발전
(3)한국 진보주의 사상의 비판
3)한국사회에서의 진보와 보수의 갈등
Ⅲ. 맺음말
-우리사회의 진보와 보수가 나아가야할 방향
Ⅳ. 참고문헌
-우리사회와 보수, 진보사상의 밀접한 관계
Ⅱ. 본론
1)보수주의
(1)보수주의 사상의 이론적 특성
(2)한국 보수주의의 성격과 발전
(3)한국 보수주의 사상의 비판
2)진보주의
(1)진보주의 사상의 이론적 특성
(2)한국 진보주의의 성격과 발전
(3)한국 진보주의 사상의 비판
3)한국사회에서의 진보와 보수의 갈등
Ⅲ. 맺음말
-우리사회의 진보와 보수가 나아가야할 방향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력과 진보세력으로 구분되고 있으나, 일반 국민의 경우 여야간의 지지문제와 보수와 진보에 대한 지지가 일치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남북관계의 진전에 대한 문제는 진보와 보수의 갈등 문제로만 평가할 수 없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결국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이념’으로서의 보수가 ‘권력’으로서의 보수 속에 매몰되면서 보수세력이 정체성을 상실했기 때문이며, 이것은 우리 사회에 이념으로서의 보수와 실천으로서의 보수가 일치된 보수세력을 요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아무튼 우리 사회의 경우 권력을 좇아 보수나 진보를 자처하나 세력이 아니라 진정으로 보수와 혁신의 이념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에 옮기려 하는 세력이 필요하고, 이러한 갈등은 사회통합을 위해서도 필수불가결하다.
Ⅲ. 맺음말
지금까지 한국사회의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래전부터 우리사회에 진보와 보수가 공존해 오며 많은 갈등을 빚고 한편으론 상호작용하며 사회발전을 이끌어왔다. 우리나라가 진정한 선진국대열에 들어서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에 걸맞은 국민의식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자신의 견해와 다르다고 무조건 비난하고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은 이제 지양해야 한다. 자신과 다른 남을 인정하고 진정으로 우리 사회가 더욱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한다.
사실 이와 같이 보수와 진보를 구분하는 이분법적인 사고가 오히려 사회발전에 저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물론, 이러한 이분법적인 사고가 위험하다는 것은 나 또한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의 대부분의 문제들이 결국엔 보수와 진보라는 명제 하에 정의될 수 있기에 나는 보수와 진보의 구분이 의미 없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보수와 진보의 양극단에 빠져 오직 자기주장만을 편다면 매우 큰 문제이겠지만 보수주의의 현실적인 안목과 진보주의의 이상적 세계관이 헤겔의 정반합의 원리와 같이 조화를 이루어 발전한다면 우리 사회를 더욱 아름답게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Ⅳ. 참고문헌
○ 사회와 철학 연구회,『진보와 보수』, 1판(서울:이학사,2002)
○ 이봉희, 『보수주의』,1판(서울:민음사,1995)
○ 김병국 외,『한국의 보수주의』, 1판(경기:인간사랑,1999)
○ 홍세화 외,『진보가 보수에게』, 1판(서울:이매진,2004)
○ William R.Harbour, The Foundation of Conservative Thought; 정연식 역, 『보수주의 사상의 이론적 기초』(대구:경북대학교 출판부,1994)
○ 윤상철,「한국의 보수주의 그들의 기형적 과거와 불확실한 미래」,『위클리솔』 , 제14호, 2002.
○ 이상엽, 「아놀드 겔렌의 기술지배적 보수주의에 대한 연구」,『진보와 보수』(서울:이학사,2002)
○ 안외순, 「한국 보수주의 연구」,『한국정치학회보』, 33권 1호, 1999.
○ 송복(정리:김민희),「한국사회에서 보수주의와 진보주의란 무엇인가」,『http:// cafe.naver. com/coom28/277』, 2004.06.07.
Ⅲ. 맺음말
지금까지 한국사회의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래전부터 우리사회에 진보와 보수가 공존해 오며 많은 갈등을 빚고 한편으론 상호작용하며 사회발전을 이끌어왔다. 우리나라가 진정한 선진국대열에 들어서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에 걸맞은 국민의식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자신의 견해와 다르다고 무조건 비난하고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은 이제 지양해야 한다. 자신과 다른 남을 인정하고 진정으로 우리 사회가 더욱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한다.
사실 이와 같이 보수와 진보를 구분하는 이분법적인 사고가 오히려 사회발전에 저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물론, 이러한 이분법적인 사고가 위험하다는 것은 나 또한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의 대부분의 문제들이 결국엔 보수와 진보라는 명제 하에 정의될 수 있기에 나는 보수와 진보의 구분이 의미 없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보수와 진보의 양극단에 빠져 오직 자기주장만을 편다면 매우 큰 문제이겠지만 보수주의의 현실적인 안목과 진보주의의 이상적 세계관이 헤겔의 정반합의 원리와 같이 조화를 이루어 발전한다면 우리 사회를 더욱 아름답게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Ⅳ. 참고문헌
○ 사회와 철학 연구회,『진보와 보수』, 1판(서울:이학사,2002)
○ 이봉희, 『보수주의』,1판(서울:민음사,1995)
○ 김병국 외,『한국의 보수주의』, 1판(경기:인간사랑,1999)
○ 홍세화 외,『진보가 보수에게』, 1판(서울:이매진,2004)
○ William R.Harbour, The Foundation of Conservative Thought; 정연식 역, 『보수주의 사상의 이론적 기초』(대구:경북대학교 출판부,1994)
○ 윤상철,「한국의 보수주의 그들의 기형적 과거와 불확실한 미래」,『위클리솔』 , 제14호, 2002.
○ 이상엽, 「아놀드 겔렌의 기술지배적 보수주의에 대한 연구」,『진보와 보수』(서울:이학사,2002)
○ 안외순, 「한국 보수주의 연구」,『한국정치학회보』, 33권 1호, 1999.
○ 송복(정리:김민희),「한국사회에서 보수주의와 진보주의란 무엇인가」,『http:// cafe.naver. com/coom28/277』, 2004.06.07.
추천자료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
이인직의 신소설 대표작품 분석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를 읽고
진보정당(진보정치)의 필요성과 진보정당(진보정치)의 현황 및 독일의 진보정당(진보정치) - ...
사회복지윤리에서 성폭력으로 인한 임신과 낙태의 딜레마
박형룡 박사의 생애와 사역
[문화][문화의 의의][문화정체성의 개념][문화정체성의 하위범주][문화정체성과 한국인 정체...
미국의 사회보장 발달 과정
미국의 선거운동 - 예비선거운동, 총선거운동, 개인적 선거운동, 조직적 선거운동, 미디어 선...
갈등을 일으키는 환경적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설명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라
미국의 사회복지 발달과정(미국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사회복지정책] 이데올로기에 따른 사회복지의 유형화
권력은 왜 역사를 지배하려 하는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