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국의 선거운동
I. 예비선거운동
II. 총선거운동
III. 개인적 선거운동
IV. 조직적 선거운동
V. 미디어 선거운동
I. 예비선거운동
II. 총선거운동
III. 개인적 선거운동
IV. 조직적 선거운동
V. 미디어 선거운동
본문내용
중에는 기
자들의 취재에 의한 기사와 돈이 지불된 광고 등 두 가지가 있다. 기사는 독립된
것인 데 비해 광고는 후보측의 선거전략의 일환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1952년 대
통령 선거 때 처음 TV 광고가 등장하였다. TV 광고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데 당
시 아이젠하워 후보는 150만 달러를 쓴 데 비해 민주당 후보는 7만7천 달러를 사용
하였다.
정치광고(TV, 라디오, 신문, 잡지를 통한)는 긍정적 광고와 부정적 광고로 구분된다. 긍정적 광고는 주로 현직후보가 많이 선호하는데 후보의 업적, 능력, 정책 등에 중점을 두고 후보를 집중 부각시키는 광고이다. 이때 상대방 후보는 아예 언급도 하지 않는다. 반면 부정적 광고는 상대방 흠집 내기인데, 도전자가 많이 쓰는 기법이다. 상대방 후보의 성격과 정책 등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선전하는데 반해 자신(광고주)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을 삼가는 것이다. 이외에 대비광고(contrast ads)가 있다. 후보들 간의 정책이나 성향을 대비시키면서 광고주 편에 유리하게 결론을 맺는 방식이다.
1980년 이전만 해도 잘 알려져 있는 현직후보는 도전자의 부정적 광고를 무시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는데 1980년대 초에 부정적 광고에 휘말려 낙선하는 사례가 나오자 적극 대응하기 시작하였다. 요즈음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예상되는 상대방의 공격이 시작되기도 전에 미리 선제공격을 가하는 예방접종식 광고도 등장하고 있다. 이 광고는 선거운동 초기 주요쟁점에 대한 사전 김 빼기용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요즘 정가의 법칙은 상대방 공격에 대응하지 않는 것은 이를 시인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부정적 광고는 상대방에게 대비할 시간을 주면 반격 기회가 되어 역효과를 낼 위험성도 있어서 신중을 기하고 있다. TV광고는 10초에서 60초까지의 스폿 광고가 주를 이루지만 5분에서 30분까지의 다큐멘타리식의 광고도 있다.
첨단과학의 발전은 미디어 선거운동을 넘어 하이테크 선거운동을 가능케 하고 있다. 팩스, 컴퓨터, 인터넷 등을 이용한 선거운동이 바로 그것인데 대부분의 미국 정치인들은 인터넷에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자기소개는 물론, 지지자들과의 대화창구를 열어놓고 있다. 1996년 대통령 선거 때 제1차 TV 토론의 마지막 1분 인사말에서 밥 돌 공화당 후보는 자신의 홈페이지 주소를 알려 주는 것으로 인사말을 끝냈는데, 고령후보와 첨단과학이 선명히 대비되어 유권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자들의 취재에 의한 기사와 돈이 지불된 광고 등 두 가지가 있다. 기사는 독립된
것인 데 비해 광고는 후보측의 선거전략의 일환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1952년 대
통령 선거 때 처음 TV 광고가 등장하였다. TV 광고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데 당
시 아이젠하워 후보는 150만 달러를 쓴 데 비해 민주당 후보는 7만7천 달러를 사용
하였다.
정치광고(TV, 라디오, 신문, 잡지를 통한)는 긍정적 광고와 부정적 광고로 구분된다. 긍정적 광고는 주로 현직후보가 많이 선호하는데 후보의 업적, 능력, 정책 등에 중점을 두고 후보를 집중 부각시키는 광고이다. 이때 상대방 후보는 아예 언급도 하지 않는다. 반면 부정적 광고는 상대방 흠집 내기인데, 도전자가 많이 쓰는 기법이다. 상대방 후보의 성격과 정책 등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선전하는데 반해 자신(광고주)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을 삼가는 것이다. 이외에 대비광고(contrast ads)가 있다. 후보들 간의 정책이나 성향을 대비시키면서 광고주 편에 유리하게 결론을 맺는 방식이다.
1980년 이전만 해도 잘 알려져 있는 현직후보는 도전자의 부정적 광고를 무시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는데 1980년대 초에 부정적 광고에 휘말려 낙선하는 사례가 나오자 적극 대응하기 시작하였다. 요즈음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예상되는 상대방의 공격이 시작되기도 전에 미리 선제공격을 가하는 예방접종식 광고도 등장하고 있다. 이 광고는 선거운동 초기 주요쟁점에 대한 사전 김 빼기용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요즘 정가의 법칙은 상대방 공격에 대응하지 않는 것은 이를 시인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부정적 광고는 상대방에게 대비할 시간을 주면 반격 기회가 되어 역효과를 낼 위험성도 있어서 신중을 기하고 있다. TV광고는 10초에서 60초까지의 스폿 광고가 주를 이루지만 5분에서 30분까지의 다큐멘타리식의 광고도 있다.
첨단과학의 발전은 미디어 선거운동을 넘어 하이테크 선거운동을 가능케 하고 있다. 팩스, 컴퓨터, 인터넷 등을 이용한 선거운동이 바로 그것인데 대부분의 미국 정치인들은 인터넷에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자기소개는 물론, 지지자들과의 대화창구를 열어놓고 있다. 1996년 대통령 선거 때 제1차 TV 토론의 마지막 1분 인사말에서 밥 돌 공화당 후보는 자신의 홈페이지 주소를 알려 주는 것으로 인사말을 끝냈는데, 고령후보와 첨단과학이 선명히 대비되어 유권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추천자료
80, 90년대 한국 좌파 학생운동의 흐름
[한국정치와법] 낙천 낙선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사회의 시민운동-시민단체의 낙선운동-
[언론시장][언론][언론개혁][언론개혁운동][한국 언론개혁 운동][언론개혁 과제][언론시장 상...
[낙선운동]낙선운동(낙천낙선운동)의 개념, 낙선운동(낙천낙선운동)의 의의, 낙선운동(낙천낙...
[낙선운동][낙천운동]낙선운동(낙천낙선운동)의 정의, 낙선운동(낙천낙선운동)의 특성, 낙선...
[헌법판례A+] 총선시민연대 낙선운동 판례분석과 비판 및 고찰
총선거(총선)보도(국회의원선거보도)의 태도와 원칙, 총선거(총선)보도(국회의원선거보도)와 ...
스페인과 한국의 여성운동
[세력][통일운동세력][통일주류세력][남북한협상세력][진보세력][민주화운동세력][한독당세력...
[민주화운동][민주화][교육][정보기술][노동]민주화운동의 과정, 민주화운동의 정당화, 민주...
낙선운동의 개념 및 낙선운동의 의의 낙선운동의 성공과실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