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적]
[기구 및 장치]
[이론]
[실험절차]
[기구 및 장치]
[이론]
[실험절차]
본문내용
속도가 빨리 임계속도로 증가한후 등속으로 마루에 떨어지게 되는데 추의 초기
위치로부터 충분히 등속이 되는 높이를 표시한다.
그림 20-3의 장치에서 추의 운동은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는 점성의 저항과 중력이 맞서서 등속운동을 하게 되므로 드럼에 작용하는 토오크는, 추의 질량을 m이라고 할 때
그리고 s를 등속낙하거리, t를 등속낙하 시간이라고 하면
(9)
이므로,
(10)
따라서, r, b, a, m, l, s 그리고 t를 측정하여 η를 구할수 있다.
(8) 표시한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s와 걸린 시간 t를 측정하고 액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9) 액체의 높이 ℓ을 원통 A의 높이까지 조금씩(5번) 변화시켜 가면서 실험절차
(3)~(8)의 과정을 반복한다.
(10) 액체의 내부원통의 높이까지 채운 상태에서 추의 질량을 10g에서 60g까지 10g씩
변화 시키면서 t와 s를 측정한다. 낙하 전과 후의 온도도 같이 측정한다.
(11) 실험절차 (8), (9)에서 얻은 측정치 t와 ℓ을 그림 20-4와 같이 t-ℓ평면에 그리면 식 (10)과 같이 직선을 얻게 되는지를 살펴본다. 이때 η는 일정하다고 본다.
(12) 직선을 외삽하여 ℓ축과 만나는 점을 찾으면 원점에서 그 점까지의 거리가 e가 된다.
(13) 실험절차 (10)의 측정에서 얻은 t와 을 한 평면상에 표시하면 식(10)에서 알 수 있듯이 -t 평면에서 직선상에 놓이게 되는지를 살펴보고 기울기를 구한다.
(14) 이 직선의 기울기로부터 η를 구한다.
시
간
t
(s)
← e →
길 이 ℓ(㎝)
[그림 6] 액체의 실효높이 결정용 그래프
위치로부터 충분히 등속이 되는 높이를 표시한다.
그림 20-3의 장치에서 추의 운동은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는 점성의 저항과 중력이 맞서서 등속운동을 하게 되므로 드럼에 작용하는 토오크는, 추의 질량을 m이라고 할 때
그리고 s를 등속낙하거리, t를 등속낙하 시간이라고 하면
(9)
이므로,
(10)
따라서, r, b, a, m, l, s 그리고 t를 측정하여 η를 구할수 있다.
(8) 표시한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s와 걸린 시간 t를 측정하고 액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9) 액체의 높이 ℓ을 원통 A의 높이까지 조금씩(5번) 변화시켜 가면서 실험절차
(3)~(8)의 과정을 반복한다.
(10) 액체의 내부원통의 높이까지 채운 상태에서 추의 질량을 10g에서 60g까지 10g씩
변화 시키면서 t와 s를 측정한다. 낙하 전과 후의 온도도 같이 측정한다.
(11) 실험절차 (8), (9)에서 얻은 측정치 t와 ℓ을 그림 20-4와 같이 t-ℓ평면에 그리면 식 (10)과 같이 직선을 얻게 되는지를 살펴본다. 이때 η는 일정하다고 본다.
(12) 직선을 외삽하여 ℓ축과 만나는 점을 찾으면 원점에서 그 점까지의 거리가 e가 된다.
(13) 실험절차 (10)의 측정에서 얻은 t와 을 한 평면상에 표시하면 식(10)에서 알 수 있듯이 -t 평면에서 직선상에 놓이게 되는지를 살펴보고 기울기를 구한다.
(14) 이 직선의 기울기로부터 η를 구한다.
시
간
t
(s)
← e →
길 이 ℓ(㎝)
[그림 6] 액체의 실효높이 결정용 그래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