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장치
2.실험방법
3.실험결과
4.조별고찰
5.개별고찰
2.실험방법
3.실험결과
4.조별고찰
5.개별고찰
본문내용
707
152
149
150.5
5.3
14
150-10C
428
428
※관련 계산식
온도변환 계산
27 ℃
=>
40 ℃
=>
69 ℃
=>
80 ℃
=>
92 ℃
=>
관련 계산식
○
○
○
상온실험 : 40 ℃ => 104 ℉
200-N707
= 0.09762
150-10C
= 0.03156
200-N707
150-10C
(centi- poise)
200-N707
150-10C
상온실험 : 69 ℃ => 197.6 ℉
200-N707
= 0.09739
150-10C
= 0.03149
200-N707
150-10C
(centi- poise)
200-N707
150-10C
상온실험 : 92 ℃ => 104 ℉
200-N707
= 0.09721
150-10C
= 0.03143
200-N707
150-10C
(centi- poise)
200-N707
150-10C
※참고자료
<엔진오일(SAE) 점도분류>
<점도를 읽는 법>
실험에 사용한 제품 : SAE 5W/30
(가솔린 엔진오일 API SJ 5W/30 (ZIC A) -제공회사 (주)유공)
(유공에서 제공한 비중, 동점성 계수는 표에 표기)
① 앞부분의 5W는 저온에서의 점도규격을 말하며, 뒷부분의 30은
고온에서의 점도규격을 표시
② 5W는 -25도에서 윤활유의 점도가 3,500 cp 보다 작아야하며
(작다는 것은 묽다는 의미) 30은 100도에서 윤활유의 점도가
9.3~12.5 cst 사이임을 의미
④ 즉 W 앞에 있는 숫자가 작으면 작을수록 영하의 저온에서 오일이
묽으며, 뒷부분의 숫자가 크면 클수록 고온(100도)에서 오일이 뻑뻑함을 의미
⑤ 10W/30 보다는 5W/30 이 , 5W/30 보다는 0W/50 이 점도특성이 우수 하다고 할 수 있으며 가격도 비싸지게 된다.(점도등급은 W앞의 숫자가 작 으면 작을수록 뒷부분의 숫자는 크면 클수록 점도특성이 우수)
(출처:http://blog.naver.com/redsky_no1)
: 엔진오일의 종류
* 유동점 : -54
* 점도지수 : 185
* T B N : 12.2
-적용차량 : 터보차져 가솔린, 일반승용차, LPG차량
◆ 엔진오일의 SAE 5W30 과 같은 숫자는 오일의 점도를 나타낸다. 점도 는 오일이 얼마나 묽은지, 끈끈한지를 나타낸다. 점도를 표시하는 숫 자는 미국 자동차공학회인 SAE에서 고안하였으므로 숫자 앞에 SAE를 붙인다.
◆ 표기 중 W는 겨울철에 사용할 수 있는 점도인지 테스트를 받았다는 의미이다. 점도가 너무 낮은 오일은 고온에서 적절한 윤활작용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점도가 너무 높은 오일은 저온에서 펌 핑이 쉽게 되지 않아 엔진 중요부위를 적절히 윤활할 수 없다.
(출처:http://blog.naver.com/bike12)
※그래프
<참고>
※ 참고자료에는 로 표기되어 있음에 유의
(출처: 박 백 한 연구원 자료)
4.조별고찰
-이번 점성계수측정 실험은 단순히 유체가 흘러가는 시간만 되는 단조로운 실험이었을 뿐더러 실생활에 대한 지식이 있었기 때문에 실험과정에 있어 문제없이 순조롭게 진행 되었다.
점성계수 실험 에 대한 조별 토의 결과 실험에 있어서 오차가 생겼고 그 이유를 정리해 보았다.
① 먼저 물의 온도를 정확히 맞추지 못했다. 특히 이번 실험에서 오차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40도에서 주의 깊게 했어야 했는데 물의 온도가 가장 많이 빗나갔다.
② 물의 온도를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로 천천히 올리면서 실험을 했어야 하는데 찬물로 급하게 식혀 실험했기 때문에 물의 열이 점도계 내의 시료에 완벽히 전달되지 않았다.
③ 유체가 정확히 측정 정지점에 왔을 때 초시계를 누르는데 사람의 눈으로 하기 때문에 정확히 시간을 멈출 수 없어 측정 오차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실험결과가 오차를 지니게 되었다.
실험 결과 온도가 낮을수록 시료가 도달점까지 가는 시간이 오래 걸렸다.
즉, 점성은 온도가 낮을수록 커지게 된다. 또한 점성계수는 끈적함의 척도로도 볼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5.개별고찰
-우리가 실험한 SAE5W30 이라는 엔진오일은 10(겨울용),30(여름용) 사이의 사계절용으로써, SAE20에 가까울 뿐 정밀도는 약간 떨어진다. 우선,
실험결과와 그래프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형태와 기본적 틀은 알맞게 수행된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200N-707 , 150-10C가 거의 일치하지만
어느 정도의 오차(에러)를 수반하고 있다. 또한 40.8℃에서 이 둘의 차이가
1.93 으로써 1보다 작아야 정확한 실험이라고 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해서는
오차를 보이고 있음도 알 수 있다. 이런 오차가 어디에서 오는지 살펴보면,
우선적으로 계측 오차를 들 수 있겠다. 항온조에 모세관 점도계를 담그고,
모세관 점도계를 조금 들어서 측정 시에, 항온조 자체가 테이블 위에 있기에
우리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며 측정하게 되기에 이런 오차가
생기게 된다. 또한 40℃ 실험 시에는 오차범위가 ±1 이기 때문에, 물의 온도를 맞추는 과정에서 더운물을 덜어내고 찬물을 섞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온도를 맞추었는데, 이 과정에서 한 가지 원인이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물 위쪽만 덜어내고 다시 붓고 하기 때문에 실험을 시작한 후
초시계를 재는 동안 물이 섞이면서 온도가 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실험 시작때 물 온도와 실험이 끝난 후 온도가 변한다는 것이고, 실제로 약 3℃ 가량 변해있었음을 온도계로 쉽게 확인 할 수 있었다.
기타 실험조건이나 실험환경에 따른 오차와, 정확하게 유체의 모든 양이 완벽히 빠져나갔음을 확인 하는 건 어려운 점 등을 고려한 오차를 들 수
있겠다.
큰 영향을 미치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로그리즘 그래프를 통해 이론값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화씨온도의 소수점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함수 값을 읽는 것은 무리지만, 비교적 정확하게 읽어낸 값으로 써 그래프를 그린 후, 실험
데이터들과 함께 비교하여 보면 전체적 틀과 모양은 꽤 정확하기에, 실험은
상대적으로 잘 된 편이지만, 그에 따르는 오차원인과 숙지할 점 등을 정확히
짚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152
149
150.5
5.3
14
150-10C
428
428
※관련 계산식
온도변환 계산
27 ℃
=>
40 ℃
=>
69 ℃
=>
80 ℃
=>
92 ℃
=>
관련 계산식
○
○
○
상온실험 : 40 ℃ => 104 ℉
200-N707
= 0.09762
150-10C
= 0.03156
200-N707
150-10C
(centi- poise)
200-N707
150-10C
상온실험 : 69 ℃ => 197.6 ℉
200-N707
= 0.09739
150-10C
= 0.03149
200-N707
150-10C
(centi- poise)
200-N707
150-10C
상온실험 : 92 ℃ => 104 ℉
200-N707
= 0.09721
150-10C
= 0.03143
200-N707
150-10C
(centi- poise)
200-N707
150-10C
※참고자료
<엔진오일(SAE) 점도분류>
<점도를 읽는 법>
실험에 사용한 제품 : SAE 5W/30
(가솔린 엔진오일 API SJ 5W/30 (ZIC A) -제공회사 (주)유공)
(유공에서 제공한 비중, 동점성 계수는 표에 표기)
① 앞부분의 5W는 저온에서의 점도규격을 말하며, 뒷부분의 30은
고온에서의 점도규격을 표시
② 5W는 -25도에서 윤활유의 점도가 3,500 cp 보다 작아야하며
(작다는 것은 묽다는 의미) 30은 100도에서 윤활유의 점도가
9.3~12.5 cst 사이임을 의미
④ 즉 W 앞에 있는 숫자가 작으면 작을수록 영하의 저온에서 오일이
묽으며, 뒷부분의 숫자가 크면 클수록 고온(100도)에서 오일이 뻑뻑함을 의미
⑤ 10W/30 보다는 5W/30 이 , 5W/30 보다는 0W/50 이 점도특성이 우수 하다고 할 수 있으며 가격도 비싸지게 된다.(점도등급은 W앞의 숫자가 작 으면 작을수록 뒷부분의 숫자는 크면 클수록 점도특성이 우수)
(출처:http://blog.naver.com/redsky_no1)
* 유동점 : -54
* 점도지수 : 185
* T B N : 12.2
-적용차량 : 터보차져 가솔린, 일반승용차, LPG차량
◆ 엔진오일의 SAE 5W30 과 같은 숫자는 오일의 점도를 나타낸다. 점도 는 오일이 얼마나 묽은지, 끈끈한지를 나타낸다. 점도를 표시하는 숫 자는 미국 자동차공학회인 SAE에서 고안하였으므로 숫자 앞에 SAE를 붙인다.
◆ 표기 중 W는 겨울철에 사용할 수 있는 점도인지 테스트를 받았다는 의미이다. 점도가 너무 낮은 오일은 고온에서 적절한 윤활작용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점도가 너무 높은 오일은 저온에서 펌 핑이 쉽게 되지 않아 엔진 중요부위를 적절히 윤활할 수 없다.
(출처:http://blog.naver.com/bike12)
※그래프
<참고>
※ 참고자료에는 로 표기되어 있음에 유의
(출처: 박 백 한 연구원 자료)
4.조별고찰
-이번 점성계수측정 실험은 단순히 유체가 흘러가는 시간만 되는 단조로운 실험이었을 뿐더러 실생활에 대한 지식이 있었기 때문에 실험과정에 있어 문제없이 순조롭게 진행 되었다.
점성계수 실험 에 대한 조별 토의 결과 실험에 있어서 오차가 생겼고 그 이유를 정리해 보았다.
① 먼저 물의 온도를 정확히 맞추지 못했다. 특히 이번 실험에서 오차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40도에서 주의 깊게 했어야 했는데 물의 온도가 가장 많이 빗나갔다.
② 물의 온도를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로 천천히 올리면서 실험을 했어야 하는데 찬물로 급하게 식혀 실험했기 때문에 물의 열이 점도계 내의 시료에 완벽히 전달되지 않았다.
③ 유체가 정확히 측정 정지점에 왔을 때 초시계를 누르는데 사람의 눈으로 하기 때문에 정확히 시간을 멈출 수 없어 측정 오차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실험결과가 오차를 지니게 되었다.
실험 결과 온도가 낮을수록 시료가 도달점까지 가는 시간이 오래 걸렸다.
즉, 점성은 온도가 낮을수록 커지게 된다. 또한 점성계수는 끈적함의 척도로도 볼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5.개별고찰
-우리가 실험한 SAE5W30 이라는 엔진오일은 10(겨울용),30(여름용) 사이의 사계절용으로써, SAE20에 가까울 뿐 정밀도는 약간 떨어진다. 우선,
실험결과와 그래프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형태와 기본적 틀은 알맞게 수행된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200N-707 , 150-10C가 거의 일치하지만
어느 정도의 오차(에러)를 수반하고 있다. 또한 40.8℃에서 이 둘의 차이가
1.93 으로써 1보다 작아야 정확한 실험이라고 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해서는
오차를 보이고 있음도 알 수 있다. 이런 오차가 어디에서 오는지 살펴보면,
우선적으로 계측 오차를 들 수 있겠다. 항온조에 모세관 점도계를 담그고,
모세관 점도계를 조금 들어서 측정 시에, 항온조 자체가 테이블 위에 있기에
우리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며 측정하게 되기에 이런 오차가
생기게 된다. 또한 40℃ 실험 시에는 오차범위가 ±1 이기 때문에, 물의 온도를 맞추는 과정에서 더운물을 덜어내고 찬물을 섞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온도를 맞추었는데, 이 과정에서 한 가지 원인이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물 위쪽만 덜어내고 다시 붓고 하기 때문에 실험을 시작한 후
초시계를 재는 동안 물이 섞이면서 온도가 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실험 시작때 물 온도와 실험이 끝난 후 온도가 변한다는 것이고, 실제로 약 3℃ 가량 변해있었음을 온도계로 쉽게 확인 할 수 있었다.
기타 실험조건이나 실험환경에 따른 오차와, 정확하게 유체의 모든 양이 완벽히 빠져나갔음을 확인 하는 건 어려운 점 등을 고려한 오차를 들 수
있겠다.
큰 영향을 미치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로그리즘 그래프를 통해 이론값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화씨온도의 소수점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함수 값을 읽는 것은 무리지만, 비교적 정확하게 읽어낸 값으로 써 그래프를 그린 후, 실험
데이터들과 함께 비교하여 보면 전체적 틀과 모양은 꽤 정확하기에, 실험은
상대적으로 잘 된 편이지만, 그에 따르는 오차원인과 숙지할 점 등을 정확히
짚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추천자료
20장 고체의 선 팽창 계수
[기계공학실험] 마찰 계수 측정
일반물리학_20 장 고체의 선 팽창계수 측정
일반물리학실험 - 고체의 선 팽창계수 측정
[실험보고서]관부품에 따른 마찰계수
[수리학 실험] 웨어실험으로 알아보는 유량 계수 산정
[디지털 논리]비동기 계수회로
냉매에 따른 Heat pump의 성능계수 비교
[단위조작실험] 관 마찰계수
[기초물리] 고체의 열팽창 : 여러 금속들의 선팽창계수를 결정하고 이를 통해 금속의 종류에 ...
[식품분석실험] 표준용액의 제조와 규정도계수를 이용한 표정
[응용심리통계 과제] T검증과 상관계수
[기계공학 기초실험] 탄성계수 푸아송의 비 주응력 집중실험
[실험레포트] 식품분석학 실험 보고서-용액의 농도계수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