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ees 코드
2.Heat pump 흐름도
3.각 냉매의 몰리에르선도
4.작동 사이클
5.각 냉매의 성능계수
6.냉,난방 성능계수
2.Heat pump 흐름도
3.각 냉매의 몰리에르선도
4.작동 사이클
5.각 냉매의 성능계수
6.냉,난방 성능계수
본문내용
★실험결과
-ees 코드
h1=enthalpy(R22,T=Teva,x=1)
Phigh=pressure(R22,T=40,x=1)
s1=entropy(R22,T=Teva,x=1)
h2=enthalpy(R22,P=Phigh,S=s1)
h3=enthalpy(R22,P=Phigh,x=0)
COPc=(h1-h3)/(h2-h1) <--냉동
COPh=(h2-h3)/(h2-h1) <--난방
냉매는 R22, R134a, R290 으로, 각 함수의 첫 번째 값에 대입.
-Heat pump processing Diagram
-각 냉매의 몰리에르 선도
R22
R134a
R290
-증발기 온도와 냉매에 따른 COP 테이블
증발기 온도는 -10 에서 5 로 1도 간격.
R22
R134a R290
-그래프 (operation cycle)
-그래프(COP)
-냉매에 따른 난방 COP
-냉매에 따른 냉방 COP
★Discussion
세가지 냉매에 대해서 증발기 온도에 따른 성능계수를 구하였다.
실험결과 이론대로 냉방과 난방과의 성능계수 차이는 전 냉매, 전 증발온도 구간에서 '1' 로 나타났다.
냉매에 따른 냉,난방 성능계수는 전 온도구간에서 R22 > R134a > R290 으로 나타났다. 즉 R22가 R134a나 R290에 비해 더 적은 동력으로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R22 는 오존파괴 물질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고, R134a 또한 지구 온난화물질로 사용이 규제되고 있어 성능이 떨어지는 R290등의 대체냉매를 사용하고 있다.
친환경적이며 높은 COP를 갖는 냉매의 개발, 이것이 열 공학자 들이 앞으로 해야 할 일 이라고 생각한다.
-ees 코드
h1=enthalpy(R22,T=Teva,x=1)
Phigh=pressure(R22,T=40,x=1)
s1=entropy(R22,T=Teva,x=1)
h2=enthalpy(R22,P=Phigh,S=s1)
h3=enthalpy(R22,P=Phigh,x=0)
COPc=(h1-h3)/(h2-h1) <--냉동
COPh=(h2-h3)/(h2-h1) <--난방
냉매는 R22, R134a, R290 으로, 각 함수의 첫 번째 값에 대입.
-Heat pump processing Diagram
-각 냉매의 몰리에르 선도
R22
R134a
R290
-증발기 온도와 냉매에 따른 COP 테이블
증발기 온도는 -10 에서 5 로 1도 간격.
R22
R134a R290
-그래프 (operation cycle)
-그래프(COP)
-냉매에 따른 난방 COP
-냉매에 따른 냉방 COP
★Discussion
세가지 냉매에 대해서 증발기 온도에 따른 성능계수를 구하였다.
실험결과 이론대로 냉방과 난방과의 성능계수 차이는 전 냉매, 전 증발온도 구간에서 '1' 로 나타났다.
냉매에 따른 냉,난방 성능계수는 전 온도구간에서 R22 > R134a > R290 으로 나타났다. 즉 R22가 R134a나 R290에 비해 더 적은 동력으로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R22 는 오존파괴 물질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고, R134a 또한 지구 온난화물질로 사용이 규제되고 있어 성능이 떨어지는 R290등의 대체냉매를 사용하고 있다.
친환경적이며 높은 COP를 갖는 냉매의 개발, 이것이 열 공학자 들이 앞으로 해야 할 일 이라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