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처음 들어가며
Ⅱ. 북한과 관련된 최근의 국제 상황
Ⅲ. 북한붕괴 시나리오
Ⅳ.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의 대응책
Ⅴ. 나오면서
Ⅱ. 북한과 관련된 최근의 국제 상황
Ⅲ. 북한붕괴 시나리오
Ⅳ.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의 대응책
Ⅴ. 나오면서
본문내용
미국에 대하여는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이라크 식 해법의 도입을 원천봉쇄 하여야 할 것이다. 만약의 경우 이러한 이라크 식의 방법이 동원된다면 우리 한반도의 운명은 앞에서 이야기한 시나리오대로 흘러갈 가능성이 매우 높고 국가적 수준에서나 민족적 측면에서 상당한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4. 북한체제내의 지속적인 연착륙 시도
앞에서도 전술하였지만 북한 내의 자체 세력이나 정권의 몰락은 현재로서는 매우 희박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예측도 일정한 정도의 국제적인 지원이나 중국의 지원에 의하여 지탱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원의 단절은 북한 내의 수준을 더욱 악화시켜 내부적인 붕괴를 맞이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는 것이다. 현재 우리 정부가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햇볕정책 또한 북한의 경제적인 도움과 운영에 일조를 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지속적인 유화정책은 일정한 시점에 도달하면 북한의 태도변화를 유도할 수는 있지만 무조건적인 지원을 한다면 또한 지원에 대한 사용처의 감시 장치가 현재로서는 거의 전무한 상태에서는 이러한 지원사항들이 과연 적절한 분야로 흘러 들어가는 가에 대한 의문이 남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신뢰 속에서 끊임없는 통일과 민족번영을 이룩하자면 상호의 이해와 존중 속에서 범 민족적으로 민족의 위기 사태에 공조해 나가야 할 것이다.
Ⅴ. 나오면서
북한의 체제연구 중에서 가장 관심분야가 아마도 체제의 붕괴에 관한 시각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만큼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북한의 급격한 변화가 우리나라의 미래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의 운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이다. 앞에서 북한의 내부적 요인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것은 개연성이 매우 낮다고 피력하였으며 특이 동북아 국가와 미국의 입장에 의해 다분히 급격한 변화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변화가 초래될 때에는 상당한 정도에 있어 민족적 위기에 직면한다는 점도 시사하였다. 그러나 초강대국이라 하더라도 명분 없는 파괴는 시도하지 않을 것이며 여기서 명분이란 것이 바로 북한이 현재 벼랑 끝 전술의 소재로 삼고 있는 북한 핵문제인 것이다. 한반도와 동북아에 있어 가장 시급한 현안 사항은 핵문제이다. 북한의 경우도 핵문제의 불씨가 파국으로 치닫는 우를 범하여서는 아니 될 것이며 우리정부도 민족적 명운이 결부된 문제임을 직시하여 지혜로운 외교정책을 수행함으로써 만족할만한 수준의 결론을 도출해 내어야 할 것이다. 현재 핵문제의 해결은 우리의 국운과 연계되어 있는 중대한 사안임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에 임해야 할 것이다. -민족공동체의 번영을 기원하며-
Ⅰ. 처음 들어가며
Ⅱ. 북한과 관련된 최근의 국제 상황
Ⅲ. 북한붕괴 시나리오
Ⅳ.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의 대응책
Ⅴ. 나오면서
참고자료
ⅰ 부시정부출범이후의 북미관계 변화와 북한 핵문제, 백학순, 세종연구소
ⅱ 변화는 시작됐다, 이미숙, 학민사
ⅲ 미국은 북한을 핵 폭격한다, 히다카 요시키, 나라원
ⅳ 변화의 바람, 김윤태, 새로운 사람들 등 다수서적과 다수의 논문 참조
4. 북한체제내의 지속적인 연착륙 시도
앞에서도 전술하였지만 북한 내의 자체 세력이나 정권의 몰락은 현재로서는 매우 희박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예측도 일정한 정도의 국제적인 지원이나 중국의 지원에 의하여 지탱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원의 단절은 북한 내의 수준을 더욱 악화시켜 내부적인 붕괴를 맞이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는 것이다. 현재 우리 정부가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햇볕정책 또한 북한의 경제적인 도움과 운영에 일조를 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지속적인 유화정책은 일정한 시점에 도달하면 북한의 태도변화를 유도할 수는 있지만 무조건적인 지원을 한다면 또한 지원에 대한 사용처의 감시 장치가 현재로서는 거의 전무한 상태에서는 이러한 지원사항들이 과연 적절한 분야로 흘러 들어가는 가에 대한 의문이 남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신뢰 속에서 끊임없는 통일과 민족번영을 이룩하자면 상호의 이해와 존중 속에서 범 민족적으로 민족의 위기 사태에 공조해 나가야 할 것이다.
Ⅴ. 나오면서
북한의 체제연구 중에서 가장 관심분야가 아마도 체제의 붕괴에 관한 시각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만큼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북한의 급격한 변화가 우리나라의 미래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의 운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이다. 앞에서 북한의 내부적 요인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것은 개연성이 매우 낮다고 피력하였으며 특이 동북아 국가와 미국의 입장에 의해 다분히 급격한 변화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변화가 초래될 때에는 상당한 정도에 있어 민족적 위기에 직면한다는 점도 시사하였다. 그러나 초강대국이라 하더라도 명분 없는 파괴는 시도하지 않을 것이며 여기서 명분이란 것이 바로 북한이 현재 벼랑 끝 전술의 소재로 삼고 있는 북한 핵문제인 것이다. 한반도와 동북아에 있어 가장 시급한 현안 사항은 핵문제이다. 북한의 경우도 핵문제의 불씨가 파국으로 치닫는 우를 범하여서는 아니 될 것이며 우리정부도 민족적 명운이 결부된 문제임을 직시하여 지혜로운 외교정책을 수행함으로써 만족할만한 수준의 결론을 도출해 내어야 할 것이다. 현재 핵문제의 해결은 우리의 국운과 연계되어 있는 중대한 사안임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에 임해야 할 것이다. -민족공동체의 번영을 기원하며-
Ⅰ. 처음 들어가며
Ⅱ. 북한과 관련된 최근의 국제 상황
Ⅲ. 북한붕괴 시나리오
Ⅳ.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의 대응책
Ⅴ. 나오면서
참고자료
ⅰ 부시정부출범이후의 북미관계 변화와 북한 핵문제, 백학순, 세종연구소
ⅱ 변화는 시작됐다, 이미숙, 학민사
ⅲ 미국은 북한을 핵 폭격한다, 히다카 요시키, 나라원
ⅳ 변화의 바람, 김윤태, 새로운 사람들 등 다수서적과 다수의 논문 참조
추천자료
북한내 경수로발전소의 핵사고 발생시 KEDO의 배상책임 검토
핵우산의 개념과 한반도 핵우산 정책의 발전방안 모색
북한 핵에 버금가는 부동산 폭탄 막을 수 없는가?
[한국정책론] 북 핵과 햇볕정책에 대한 고찰
[북한][미국][핵무기][미사일위협][미사일방어체제][동북아안정][미사일][주한미군][남북관계...
북한의 핵무기실험 문제
[정치학]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평화체제 구축
북한 인권(핵) 문제, 해법은 무엇인가?
핵무기와_전쟁억지 (정치 정치학 사회 전쟁 핵 이란 북한 전쟁 분단 남한 군사 군사력 국가)
남북통일시민운동의 의의, 남북통일시민운동의 전개, 남북통일시민운동의 교류, 남북통일시민...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 성격, 신개입주의,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 입장...
북한의 외교정책과 핵 문제
[국제정치의 이해] 1, 2차 핵 위기의 비교와 전망 - 중국에 의한 중재 가능성을 중심으로 -
[영어레포트/영어에세이/영어발표/영작] 우리는 북한의 핵위협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