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독립영화란 무엇인가
(1) Off Hollywood
(2) Independent
3. 한국의 독립영화
(1) ‘OFF 충무로'로의 움직임-우리 독립영화의 탄생
(2) 독립영화와 대사회적 발언
(3) 6mm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과 기록영화-사실에 가까이 가기
4. 독립영화에 대한 비판과 난점
5. 독립영화의 과제
(1) 독립영화진영의 체계화
(2) 배급망과 상영의 문제점 극복
(3) 소통의 창구 증설과 교류
5. 맺음말
참고자료 목차
2. 독립영화란 무엇인가
(1) Off Hollywood
(2) Independent
3. 한국의 독립영화
(1) ‘OFF 충무로'로의 움직임-우리 독립영화의 탄생
(2) 독립영화와 대사회적 발언
(3) 6mm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과 기록영화-사실에 가까이 가기
4. 독립영화에 대한 비판과 난점
5. 독립영화의 과제
(1) 독립영화진영의 체계화
(2) 배급망과 상영의 문제점 극복
(3) 소통의 창구 증설과 교류
5. 맺음말
참고자료 목차
본문내용
서부터 90년대 초반, 즉 사회주의권이 무너지고 대중들이 폭넓은 문화적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시기에 독립영화는 곧 반체제 저항영화를 일컫는 것이었다. 그리고 현재는 드라마와 다큐멘터리, 영화제용 영화와 극히 사적인 영화, 필름과 비디오 매체 예술 영화와 실험영화, 장르 답습의 축소판 상업영화와 변형된 운동권 영화의 혼재상태라고 볼 수 있다.
이들 사이에 공통으로 수렴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들 서로의 내적, 외적 형식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것과, 외국 영화에 대항하는 한국영화의 제작이라는 큰 목표와 새롭고 독자적인 제작과 유통 경로를 가지는 작은 목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 한국독립영화는 공통적으로 충무로영화가 끌어들이는 ‘거대자본으로부터의 독립’과 ‘지배 이데올로기로부터의 독립’의 두 가지 측면에서 맥의 흐름을 같이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95년 관객들로부터의 모금을 통해 제작된「아름다운 청년 전태일」과「낮은 목소리」도 이러한 맥락에서 독립영화라고 치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영화들도 결국은 상업성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난점이나 비판의 대상이 되는 부분들이 없지는 않지만 주류영화들처럼 독립영화제작의 장에 체계적 배급망과 소통의 구조가 마련된다면 극복할 수 있는 문제들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큐멘터리가 급부상하고 있다. 신종 다큐멘터리들은 엄숙하고 무거운 설교조의 형식을 탈피하고 있는 추세이며 보다 대중에 가까워지기 위해 다양하고 흥미로운 방식을 도입, 박스오피스마저 장악하고 있다. 올 한 해 마이클 무어의 ‘화씨 911’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다큐멘터리 열풍을 일으킨 영화 ‘슈퍼 사이즈 미’(Super Size me)가 12일 개봉했다. 이 작품은 올 1월 미국 독립영화 축제인 선댄스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으면서 일약 주목을 받았고, 10월 부산국제영화제에 소개되면서 국내 영화 팬들의 높은 관심을 모았다 영화의 내용은 잘 알려진 대로 세계최대 패스트푸드업체인 맥도날드를 정면으로 고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표현방식은 감독이 직접 마루타가 되어 한 달 간 하루 세 끼를 오로지 맥도날드 음식만 먹게 되는데 감독은 한 달 간 자신의 신체 변화를 스크린에 담아내며 패스트푸드가 얼마나 몸에 해로운 지를 보여준다. 이 영화는 불과 6만 5,000달러의 제작비를 들인 영화는 자국에서 개봉 3주 만에 3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이처럼 독립영화의 제작자들은 습관화 되어있는 사람들의 의식에 날카로운 렌즈를 들이대면서 끊임없이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고발한다. 현실의 재구성이지만 그것은 사회나 지배의식에 대한 풍자며, 비난일 수 있음과 동시에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구성방식을 취한다. 본래 메인 영화제작사의 상업적인 시스템의 반대급부로 등장한 독립영화는 최근까지 자유스러운 형식과 내용의 충실도를 더하여 그 안에서의 다양한 시각조성과 대중의 다양한 문화를 접할 권리 등을 찾게 해 준다는 면에서 볼 때 충분히 장려 받아야 마땅한 문화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소수의 문화영역으로 소외되어 대부분 외면 받고 있다는 면에서 유감이 아닐 수 없다.
참고도서 및 사이트
수잔 헤이워드,『영화사전-이론과 비평』,한나래,1997
독립다큐멘터리연구모임,『한국 독립다큐멘터리(역사와 진실, 그 어제와 오늘의 기록)』,예담,2003
문학산 외,『한국 단편영화의 쟁점들 작가, 여성, 디지털』,소도,2003
http://blog.naver.com/xerox1023.do Redirect=Log&logNo=40007683120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 d1id=3&dir_id=301&docid=39704
이들 사이에 공통으로 수렴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들 서로의 내적, 외적 형식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것과, 외국 영화에 대항하는 한국영화의 제작이라는 큰 목표와 새롭고 독자적인 제작과 유통 경로를 가지는 작은 목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 한국독립영화는 공통적으로 충무로영화가 끌어들이는 ‘거대자본으로부터의 독립’과 ‘지배 이데올로기로부터의 독립’의 두 가지 측면에서 맥의 흐름을 같이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95년 관객들로부터의 모금을 통해 제작된「아름다운 청년 전태일」과「낮은 목소리」도 이러한 맥락에서 독립영화라고 치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영화들도 결국은 상업성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난점이나 비판의 대상이 되는 부분들이 없지는 않지만 주류영화들처럼 독립영화제작의 장에 체계적 배급망과 소통의 구조가 마련된다면 극복할 수 있는 문제들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큐멘터리가 급부상하고 있다. 신종 다큐멘터리들은 엄숙하고 무거운 설교조의 형식을 탈피하고 있는 추세이며 보다 대중에 가까워지기 위해 다양하고 흥미로운 방식을 도입, 박스오피스마저 장악하고 있다. 올 한 해 마이클 무어의 ‘화씨 911’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다큐멘터리 열풍을 일으킨 영화 ‘슈퍼 사이즈 미’(Super Size me)가 12일 개봉했다. 이 작품은 올 1월 미국 독립영화 축제인 선댄스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으면서 일약 주목을 받았고, 10월 부산국제영화제에 소개되면서 국내 영화 팬들의 높은 관심을 모았다 영화의 내용은 잘 알려진 대로 세계최대 패스트푸드업체인 맥도날드를 정면으로 고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표현방식은 감독이 직접 마루타가 되어 한 달 간 하루 세 끼를 오로지 맥도날드 음식만 먹게 되는데 감독은 한 달 간 자신의 신체 변화를 스크린에 담아내며 패스트푸드가 얼마나 몸에 해로운 지를 보여준다. 이 영화는 불과 6만 5,000달러의 제작비를 들인 영화는 자국에서 개봉 3주 만에 3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이처럼 독립영화의 제작자들은 습관화 되어있는 사람들의 의식에 날카로운 렌즈를 들이대면서 끊임없이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고발한다. 현실의 재구성이지만 그것은 사회나 지배의식에 대한 풍자며, 비난일 수 있음과 동시에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구성방식을 취한다. 본래 메인 영화제작사의 상업적인 시스템의 반대급부로 등장한 독립영화는 최근까지 자유스러운 형식과 내용의 충실도를 더하여 그 안에서의 다양한 시각조성과 대중의 다양한 문화를 접할 권리 등을 찾게 해 준다는 면에서 볼 때 충분히 장려 받아야 마땅한 문화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소수의 문화영역으로 소외되어 대부분 외면 받고 있다는 면에서 유감이 아닐 수 없다.
참고도서 및 사이트
수잔 헤이워드,『영화사전-이론과 비평』,한나래,1997
독립다큐멘터리연구모임,『한국 독립다큐멘터리(역사와 진실, 그 어제와 오늘의 기록)』,예담,2003
문학산 외,『한국 단편영화의 쟁점들 작가, 여성, 디지털』,소도,2003
http://blog.naver.com/xerox1023.do Redirect=Log&logNo=40007683120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 d1id=3&dir_id=301&docid=397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