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론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비문학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구비문학의 개념

제 2장. 설화

제 3장. 민요

제 4장. 무가(巫歌)

제 5장. 판소리

제 6장. 민속극

제 7장. 속담 및 수수께끼

본문내용

, 날 샌 은혜없다
⑥ A+B형 (A; 개별적 의미진술부, B; 보편적 의미진술부)
- 형식&구성 분류;
① 교훈형
- 교훈과 경계를 목적으로 하는 기능으로, 격언이나 금언과 유사
(ex 달도 차면 기운다, 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
- 인생무상을 깨우친 진리를 담은 속담
① 한 달이 크면 한 달이 작다 ② 음지가 양지되고 양지가 음지된다
③ 대문 밖이 저승이다
- <교훈형 속담의 조건>
만고불편의 보편적 진리를 담음. ex '세상 모든 것은 …다’
처세와 관련된 내용. ex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갈 때는 …해야 한다’
심성이나 심리 표현. ex '어떤 경우에 처하면 사람들은 대개 …하다‘
(↘ ① 잘되면 제 탓 못되면 조상 탓 ② 글씨 못 쓰는 놈이 붓타령한다
③ 양반 못된 것이 장에 가 호령한다)
② 풍자형
⇒ 어떤 행위나 행위자에 대한 비판과 조롱의 뜻을 담음
(ex ① 횃대 밑에서 호랑이 잡는다 ② 노처녀 보고 시집가라 한다,
③ 술 먹여 놓고 해장 가자고 부른다 ④ 말에 실었던 짐을 벼룩 등에 싣는다
⑤족제비를 잡으니까 꼬리를 달라한다)
③ 표현형
⇒ 있는 그대로 절실하게 표현한 속담으로, 절묘한 비유 사용
(ex ① 저녁 굶은 시어미상 ② 게눈 감추듯 ③ 대보름날 개 같다
④ 흉년 메뚜기다 ⑤ 가자니 태산이요 오르자니 송산이라
⑥ 이 아픈 날 콩밥한다, 줄 없는 거문고 ⑦ 날 샌 올빼미 신세다
⑧ 산 호랑이 눈썹도 그리울 게 없다)
- 기능별 분류
4. 속담의 문학적 의미
- 일상 대화나 다른 문학작품 속에 끼어, 그 의미를 강화!
ex) 사모(紗帽) 쓴 도둑놈
관찰사 닿는 곳에 선화당(宣化堂)
만만한 데 말뚝 박는다
갓 쓴 송사리가 온 바닷물을 흐린다
양반은 헛 갓 쓰고도 똥 누지 않는다
사대부집 자식 잘못되면 송충이 된다
범도 개에게 물릴 날이 있다
청백리(淸白吏) 똥구멍은 송곳부리 같다
- 비판적 시각이 담김
- 직설적 표현 대신 다의성함축성을 지닌 ‘비유적 표현’ 사용
- 문학적 구성; 구성에 의한 ‘반복, 대조, 대구, 의문형식 설의법’ 등 사용
ex) 무자식이 상팔자
옷은 새 옷이 좋고, 사람은 헌 사람이 좋다
아들이 장가 가면 반 남이 되고, 딸은 시집을 가면 온 남이 된다
5. 속담의 현재적 활용과 변용


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말라

못 올라갈 나무는 사다리 놓고 오르더라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

젊어서 고생은 늙어서 신경통이다
아는 길도 물어서 가라

아는 길은 곧장 가라
가다가 중지하면 아니 감만 못하다

가다가 중지하면 간 것만큼 이득이다
; 본래의 속담 뜻을 아예 정반대 의미로 변형시켜 사용
(3) 수수께끼
1. 개념 및 특성
- 쉽게 풀 수 없는 문제를 내며 겨루는 문학양식
- 수수께끼의 요건; ① 문과 답으로 구성 ② 겨루기 형태를 띰 ③ 오답 유도 장치를 가짐
- 수수께끼의 특성; ① 묻답하는 자가 함께 참여 ② 유희적 성격이 짙음 ③ 〃
2. 수수께끼의 역사 1. 우리 문헌 中 수수께끼 형태가 처음 나타난 예; 「삼국사기」의 유리왕 원년 기록
2. 삼국유사
「삼국유사」의 수수께끼 예 - “여성”을 지칭
㉠ 열어보면 두 사람이 죽을 것이요, 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다
㉡ 중국에서 붉은색, 자주색, 흰색의 3색으로 그린 모란과 씨 석되를 보내왔다
㉢ 누가 내게 자루 없는 도끼를 빌려주겠는가 내가 하늘을 바칠 기둥을 찍으리라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실린 수수께끼의 특징
; 현재 통용되는 유희적 속성과 달리 매우 진지한 공적 기능 수행
3. 존재양상
대체로 역사문헌이나 설화, 야담 등에 끼어들어 있는 형태로 존재하다가,
현재, 사전 형태의 자료집이 생성되어 수록
ex) 이종출 <한국의 수수께끼>, 김성배 <한국수수께끼사전>
음성적 유사성
헌병이 가장 무서워하는 사람은? / 엿장수
아무리 잘 박아도 못 박았다고 하는 것은? / 못
하늘에 있는 개 4형제는? / 안개, 솔개, 번개, 무지개
귀는 귄데 못 듣는 귀는? / 뼈다귀
은 유 사 용
열 놈이 잡아당기면 다섯 놈이 들어가는 것은? / 버선(양말) 신는 것
내려올 때는 완행, 올라갈 때는 급행인 것은? / 콧물
엉덩이에 뿔난 것은? / 솥뚜껑
손 없이 나무를 흔드는 것은? / 바람
가리면 보이고 안 가리면 안 보이는 것은? / 안경
뛰어도 뛰어도 제자리인 것은? / 그네
아침마다 절 받는 것은? / 세숫대야
거꾸로 자라는 것은 ? /고드름
공연히 헷갈리게
-하여 오답 유도
미국 사람들은 밥을 어떻게 해먹나? / 쌀로 해먹는다
외삼촌 어머니의 외동딸은 누구인가? / 어머니
열 집이 있었는데 세 집이 이사 갔다. 몇 집이 남았나? / 열 집
사명대사가 말을 타고 동쪽으로 가는데, 머리카락은 어느 쪽으로 휘날릴까? / 휘날리지 않는다
파자(破字)
서까래 세 개를 짊어지고 가는 글자는? / 왕자(王字)
3. 수수께끼의 유형
4. 수수께끼의 문학적 기능
- 말장난을 통해 오락성 강조
- 은유적 표현을 통한 문학성의 강화
- 지혜 겨루기
5. 수수께끼의 문학적 의미
- 세심한 관찰력을 통해 시적 표현을 일구어 냄
☞ 돌벽에 명주 늘인 것은? / 폭포
길가에 빨간 옷을 입고 서서 종이를 먹는 것은? / 우체통
갓 쓰고 때때옷 입은 것은? / 닭
- 오락성을 높여 문학의 한 효용인 쾌락을 돋굼
☞ 네 거리에서 춤추는 것은? / 교통순경
눈물 흘리고 고개 숙인 것은? / 수도꼭지
발가벗고 시집가는 것은? / 마늘
- 역전과 반전, 초상식과 기발함으로 ‘새로운 인식’에 이름
☞ 적에게 꽁무니를 보여야 이기는 것은? / 달음박질
젖은 옷은 입고 마른 옷은 벗는 것은? / 빨랫줄
쌀의 나이는? / 백 살 (백미라고 하니까 ^^*)
6. 수수께끼의 현재적 활용과 변용

이 세계가 없어지면 어디로 가나?

치과

무릎과 무릎 사이에는 무엇이 있나?


여자들이 좋아하는 춤은?

입맞춤
‘결혼하다’의 미래형은? (←일종의 세대비판)

이혼하다
; 과거에 비해 언어유희적 측면과 약자에 대한 공격성이 지나치게 강화됨

키워드

민요,   무가,   판소리,   설화,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5.05.26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8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