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행가에 반영된 세태
2. 길거리 간판의 잘못된 표기들
3. ‘짱 문화’에 대해 인과적 구성으로 써보기
2. 길거리 간판의 잘못된 표기들
3. ‘짱 문화’에 대해 인과적 구성으로 써보기
본문내용
고 싶어 하며 외모 가꾸기에 여념이 없다. 자신의 내면적 성장은 등한시하고 단지 외모만을 중시한다. 이를 이용하려들어 부추기기에 바쁜 황금만능주의에 입각한 얄팍한 상업주의가 득세하고 이로 인해 사회에 깊숙이 침투한 외모지상주의, 그리고 상업주의적 방송이 초래한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것에 대한 수준의 하향 조정, 그에 따라 자연스레 일어나는 관음적 성향의 음지에서 양지로의 이동, 그에 대한 사회분위기의 암묵적인 용인 혹은 동의 등, 모든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상황들이 ‘짱’ 문화 안에 존재한다.
‘짱’문화는 그 근본을 부정적인 요소에 두기 때문에 사회 전 계층에 걸친 동의와 용인을 이끌어 내기에는 현재로서는 무리가 있고 발전적인 수정 방안을 모색하지 않는 이상은 존폐에 대한 찬반논쟁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짱’문화는 그 근본을 부정적인 요소에 두기 때문에 사회 전 계층에 걸친 동의와 용인을 이끌어 내기에는 현재로서는 무리가 있고 발전적인 수정 방안을 모색하지 않는 이상은 존폐에 대한 찬반논쟁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