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의정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교토의정서
1.교토의정서의 합의내용
2.각국의 대응
(1)EU
(2)일본
(3)미국
(4)중국
3.한국에 미치는 영향
4.향후전망
(1)EU와의 대립
(2)형평성 측면
(3)실효성 측면
5.대응방안
(1)경영림 인정 산림의 확충
(2)신규조림 확대와 산림전용 억제
(3)인프라 구축
(4)목재 및 임산에너지 이용 촉진
(5)북한황폐지 복구 사업 및 선진국 지역 주림투자 확대
(6)에너지관리 진단

Ⅲ.결론

본문내용

과 시설자금을 지원한다.2)
Ⅲ.결론
1)_교토의정서 발효의 의미와 우리나라의 대응 방안, 김현진, 미래전략연구원, 2005년 2월 24일
2)임업부문의 교토의정서 대응방안, 김외정, 이경학, 정세경, 손영모, 김중명, 권순덕, 3p, 2003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2003년 1월
에너지 관리공단, http://co2.kemco.or.kr
온실가스의 증가를 막기 위해 교토의정서는 선후진국간의 많은 대립 가운데 97년에 채택되었다.
각 나라들이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방법들을 동원하여 교토의정서에 대응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이 교토의정서는 아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신흥경제국가와 후진국에 아무런 의무도 부과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지금의 선진국들이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주범이긴 하다.
선진국들은 그전에 발전할 만큼 발전해 놓고 이제와서 제제를 가하면 별탈이 없지만 지금 한창 성장해가는 국가들에게 제제를 가하면 억울할 만도 하다.
그러나 계속 이런식으로 나간다면 선진국들이 제제가 없는 후진국에 공장을 짓게 될 것이고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변화가 없어 결국 교토의정서는 유일무의한 존재가 되버릴 것이다.
그렇지만 교토의정서는 지구의 환경보호를 위해 꼭 필요하다.
아직은 몇몇 국가들이 대응방안에 대해 머뭇거리는 면이 없진않지만 정부와 기업들이 서로 도와 좀더 친환경적인 산업체을 만들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교토의정서의 채택이 진정 환경보호에 도움이 되어 단지 발효로만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이번을 계기로 환경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으면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5.29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