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공폐수의 처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제조공정
3.폐수발생원과 수질
4.Recycle, Reduction
5.생물학적 처리의 가능성 검토
6.처리공정
7.견해 및 결론

본문내용

있다.
생물학적 처리의 전단계인 화학적처리법(응집)은 일반적으로 황산알루미늄과 소석회를 배합하여 사용하는데 유가공폐수중에 있는 lactose 는 약품처리만으로 제거할 수 없고 오히려 약품처리결과 생성괴는 슬러지량을 증가시켜서 처리를 곤한하게 할 때도 있어 처리결과가 만족스럽지 않다. 화학적처리는 생물학적 처리법의 전단계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고 폐수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한다든가 처리장치의 과부하를 피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처리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순 우유만 생산할 경우 이 폐수는 1차 화학적 처리를 생략할 수도 있다.
6. 처리공정
원폐수 스크린 유수분리조 균등조 pH조정조 응집조 부상분리조 폭기조 1차침전조

폐유위탁처리 A2/O process
혐기성조 무산소조 호기성조 2차 침전조
소독조 방류조 처리수
농축조 혼합조 탈수기

CAKE HOPPER

위탁처리
- 전체적으로 생물학적처리를 위주로 한 종합적 처리방식이며 <혐기성-무산소-호기성> 의 A2/O 프로세스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처리공정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SCREEN조
- 유입 수로를 통해 폐수처리장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중에서 비교적 큰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설비로 폐수처리 단계의 최초 공정에 해당한다.
스크린을 설치하는 목적으로는
- 폐수중에 함유된 고형물질의 양을 감소시킨다.
- 화학처리시 부하량을 감소시킨다.
- 공정중 밸브, 펌프, 배관의 막힘을 사전에 방지한다.
유수분리조
- 폐수중의 유분을 폐수와 분리, 제거하기 위한 설비로 유분을 제거함으로써 후처리 단계의 부하를 경감시킨다.
균등조
- 각 공정의 배출시설에서 발생된 폐수를 안정하게 처리하기 위해 집수하고 처리효율의 증대를 위해 오염물질 부하를 조절, 방지시설의 충격부하와 정상가동을 위해 폐수처리량을 조절, 농도의 변화가 심한 폐수를 균일한 농도로 조절한다.
균등조는 원폐수의 유량 및 수질의 변동에 따른 안정성을 유지하고 공정중의 기계고장 및 폐수처리중의 이상 현상의 발생시 기
계 수리 및 유량 조절을 위한 시간을 확보한다.
pH조정조
- 원폐수의 pH를 6-7로 중화, 조절하여 폭기조의 미생물 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응집조
- 원폐수중의 SS, 불용성 유기물, n-Hex(유분)등을 응집제를 사용하여 응집, 1차 부상처리하여 오염물질의 부하량을 줄인다.
부상분리조
- 헨리의 법칙을 이용하여 처리수를 압력탱크에 넣고 공기를 가압하여 강제로 물에 용존시킨다. 대기압 상태의 가압부상조에 폐수와 가압수를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가압수의 과잉 공기가 유리하게 된다. 작은 기포방울은 상승하여 폐수중의 SS, 불용성유기물, 유분등을 부상, 제거한다.
폭기조
- 폭기는 폐수중에 함유된 탄소화합물을 세균이나 원생동물등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 화학적으로 산화, 환원하여 안정화 처리하는 공법으로 폐수중의 유기물은 미생물의 기작에 의해 CO2, CH4, H2O, NH3등으로 가스화 되고, 미생물을 성장해 침전, 분리시켜 제거한다. 폭기조의 목적은 폐수를 폭기조에서 표준활성슬러지 공법을 적용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1차 화학처리로 제거되지 않은 오염물질을 배출허용기준에 맞게 처리한다.
1차 침전조
- 폭기조 혼합액의 비중이 1보다 클 경우 부유 고형분이 중력에 의해 침전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폭기조 혼합액을 floc 형성후 중력에 의해 자연침강시켜 고,액을 분리한다. 침전조 하부에 있는 슬러지는 반송펌프에 의해 폭기조로 반송하여, 잉여슬러지는 농축조로 보낸다.
A2/O 프로세스
─→ 1차침전 ───→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 2차침전 ─→
인방출 탈질 유기물제거
인흡수
질산화
- 혐기성 상태에서 인을 방출하고 무산소 상태에서 질소를 방출하며 호기성 상태에서 질산화와 인을 축적하는 공정으로 생물학적처리까지의 공정에서도 제거되지 않은 T-N,T-P를 제거한다.
2차 침전조
- 2차 침전조는 A2/O 공정 혼합액의 비중이 1보다 클 경우 부유 고형분이 중력에 의해 침전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A2/O 공정 혼합액을 floc을 형성시켜 중력에 의해 자연침강시키고, 고.액을 분리한다. 침전조 하부에 있는 슬러지는 반송펌프에 의해 혐시성조로 반송하며 잉여슬러지는 농축조로 보낸다.
소독조
- 처리된 폐수를 염소소독하여 폐수내의 대장균(3000이하)등 세균을 사멸한다.
방류조
- 처리된 폐수를 최종적으로 방류하며 파샬-플롬 및 초음파 유량계의 설치로 연속적인 유량을 측정한다.
또한 pH측정기와 COD측정기의 설치로 연속적인 pH와 COD를 측정한다.
농축조
-농축조로 보내진 슬러지를 자연침강시켜 고,액을 분리하여 부피를 감소시키고 농축시킨다. 위액은 분리하여 균등조로 다시 보낸다.
탈수기
- 슬러지의 함수율을 감소시키며 부피 및 중량을 저감하기 위한 시설이다 또한 hopper에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슬러지 처리비용을 경감시킨다.
HOPPER
- 탈수된 cake를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설비로 탈수 cake를 배출하기 전까지 임시로 보관한다.
## 최종처리수는 다시 공공처리시설로 보내져 재처리 된후 수계에 방류한다. ##
7. 견해 및 결론
- 위의 폐수처리방법은 일반우유를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유가공폐수에는 생유, 탈지유, 버터밀크, 유당, 크림, 연유, 탈지가당연유, 탈지분유등 각각의 성분과 BOD가 다른 여러 폐수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에 따른 처리공정이 위에 추가 될 수 있다. 유가공폐수중 가장많이 배출되는 것은 세정폐수이며 제품 제조공정에서 예비세정 , 물절약 등으로 그 양을 줄일수 있으며 처리공정에서 나온 처리수는 일부 다시 제조공정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유가공 폐수는 미생물의 영양원이 되는 유기물, 질소, 인등이 충분하므로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처리가 가능하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 유가공폐수의 처리수 수질은 중화조를 거쳐 pH가 7~7.5정도로 중화되며 COD, BOD, SS는 모두 20mg/l 이하로 떨어지게되고 유분은 유수분리조를 거쳐 10mg/l 이하로 떨어져 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한 수질로 공공처리시설로 보내져 다시 재처리된후 안전하게 수계에 방류한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5.30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2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