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Abstract)
1. 실험목적
2. 이론
3. 실험장치 및 방법
3.1 실험장치
3.2 실험방법
4. 실험 결과 및 토의
5. 결론
1. 실험목적
2. 이론
3. 실험장치 및 방법
3.1 실험장치
3.2 실험방법
4. 실험 결과 및 토의
5. 결론
본문내용
하고 , 이 때 응집이 잘 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일반적인 응집제의 양이 많으면 그만큼 응집이 잘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응집제의 양이 많으면 도리어 응집된 이 깨지게 된다. 그래서 이 이상 들어가면 탁도가 다시 높아지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응집 후 금강물을 감압하여 의 무게를 구할 수 있었다. 그 값은 Fig. 2와 같았다.
Figure 2. Weight depend on amount of
응집된 양이 많아도 그 침강이 용이하지 않으면 그것은 응집이 잘 되었다고 할 수 없다. 즉 아무리 응집된 양이 많아도 침강이 빨리 일어나지 않으면 그만큼 침강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밀도도 응집이 잘 된 정도를 보는 지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은 고체이므로 고체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으로 의 부피를 구하여야 한다. 그러나 건조한 을 물에 넣어도 물 높이 변화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도 액체로 보고 을 액체로 가정하고 실험하였다. 에 과 떠내고 남은 금강물을 모두 넣어 의 부피만을 읽었다. 그래서 이 값으로는 밀도를 구할 수 없었다. Fig. 3은 의 부피를 나타내었다.
Figure 3. Volume depend on amount of
침강된 높이와 침강된 부피를 보아도 밀도는 을 넣었을 때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응집제의 양이 이상일 때는 많이 응집되었으나 그 부피가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입자의 크기가 작기 때문이었다. 양이 많더라도 크기가 작으면 그만큼 조밀하게 쌓이게 되고, 그런 이유로 부피는 작았다. 따라서 응집제 을 넣었을 때 의 크기가 컸고 응집이 가장 잘 되었음을 알았다.
5. 결론
응집이 잘 되면 강물의 탁도는 낮아지고 생성된 의 밀도는 높아진다. 탁도가 낮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강물이 정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밀도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침강이 잘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강물을 정화할 때 이 생성된 양도 중요하지만 침강되는 속도, 즉 밀도도 매우 중요하다. 아무리 많이 생성되더라도 밀도가 낮으면 침강되는 속도가 느리고, 또 물위에 떠있게 되어 도리어 이 정화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밀도가 큰 이 생성되어 빨리 가라앉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빨리 가라앉는다고 하여도 그 입자가 깨지거나 작으면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탁도가 높아져 효율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입자의 크기도 매우 중요하다. 을 을 넣었을 때 의 양이 많았고 그 입자가 깨지지 않고 침강역시 잘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부피가 큰 것으로 보아 의 크기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응집제를 이상 넣었을 때는 의 양은 많았지만 그 입자가 깨져있었다.
따라서 금강물 에 가장 효율적인 의 양은 이다.
참고문헌
[1] Yim, S. S., Jun, S. J. and Moon, B. S., "The settling Density of quasi-spherical flocs", J. Korea Solid Wastes Engineering Society., 13(3), 357-366(1996).
응집 후 금강물을 감압하여 의 무게를 구할 수 있었다. 그 값은 Fig. 2와 같았다.
Figure 2. Weight depend on amount of
응집된 양이 많아도 그 침강이 용이하지 않으면 그것은 응집이 잘 되었다고 할 수 없다. 즉 아무리 응집된 양이 많아도 침강이 빨리 일어나지 않으면 그만큼 침강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밀도도 응집이 잘 된 정도를 보는 지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은 고체이므로 고체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으로 의 부피를 구하여야 한다. 그러나 건조한 을 물에 넣어도 물 높이 변화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도 액체로 보고 을 액체로 가정하고 실험하였다. 에 과 떠내고 남은 금강물을 모두 넣어 의 부피만을 읽었다. 그래서 이 값으로는 밀도를 구할 수 없었다. Fig. 3은 의 부피를 나타내었다.
Figure 3. Volume depend on amount of
침강된 높이와 침강된 부피를 보아도 밀도는 을 넣었을 때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응집제의 양이 이상일 때는 많이 응집되었으나 그 부피가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입자의 크기가 작기 때문이었다. 양이 많더라도 크기가 작으면 그만큼 조밀하게 쌓이게 되고, 그런 이유로 부피는 작았다. 따라서 응집제 을 넣었을 때 의 크기가 컸고 응집이 가장 잘 되었음을 알았다.
5. 결론
응집이 잘 되면 강물의 탁도는 낮아지고 생성된 의 밀도는 높아진다. 탁도가 낮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강물이 정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밀도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침강이 잘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강물을 정화할 때 이 생성된 양도 중요하지만 침강되는 속도, 즉 밀도도 매우 중요하다. 아무리 많이 생성되더라도 밀도가 낮으면 침강되는 속도가 느리고, 또 물위에 떠있게 되어 도리어 이 정화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밀도가 큰 이 생성되어 빨리 가라앉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빨리 가라앉는다고 하여도 그 입자가 깨지거나 작으면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탁도가 높아져 효율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입자의 크기도 매우 중요하다. 을 을 넣었을 때 의 양이 많았고 그 입자가 깨지지 않고 침강역시 잘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부피가 큰 것으로 보아 의 크기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응집제를 이상 넣었을 때는 의 양은 많았지만 그 입자가 깨져있었다.
따라서 금강물 에 가장 효율적인 의 양은 이다.
참고문헌
[1] Yim, S. S., Jun, S. J. and Moon, B. S., "The settling Density of quasi-spherical flocs", J. Korea Solid Wastes Engineering Society., 13(3), 357-366(1996).
추천자료
폐기물의 매립처리기술
유가공 폐수
폐기물처리개론
광촉매를이용한 수질정화
인천지역 오수처리시설 운영현황 진단
오염토양에 대한 비원위치 정화기술
[A+] [환경관계법규] 수질오염 공정실험 - 구제역 침출수에 대한 조사보고서, 철갑상어 양식...
쓰레기(폐기물)의 특성, 쓰레기(폐기물)의 일회용품, 쓰레기(폐기물)의 적환작업, 쓰레기(폐...
[쓰레기]쓰레기(폐기물)의 분류, 쓰레기(폐기물)의 봉투, 쓰레기(폐기물)의 수거작업, 쓰레기...
[환경공학과] COD 중크롬산 측정법 : COD(화학(化學)적 산소 소비량)은 물의 오염(汚染)도를 ...
토양및지하수-오염과 대책,우리나라 지하수 현황,지하수 관련법률,해외의 지하수 관리,지하수...
토목공사 검측계획 (측량, 토공사, 흙막이, 우, 오수공사, 정화조 공사, 옹벽 공사, 공동구 ...
환경파괴(환경악화)의 경제적 비용(환경정화 비용, 복구비용)
인류 문화 정화(精華)의 결집으로서의 근대 과학기술구조 -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