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증상 및 식이원칙
2. 허용식품 및 제한식품
3. 허용식품 및 제한식품의 조리법
4. 영양기준
5. 1일 식품교환단위 및 끼니별 배분
6. 식단작성
7. 식품구입량
8. 만드는 방법
9. 증상별 식단모음
10. 참고문헌
2. 허용식품 및 제한식품
3. 허용식품 및 제한식품의 조리법
4. 영양기준
5. 1일 식품교환단위 및 끼니별 배분
6. 식단작성
7. 식품구입량
8. 만드는 방법
9. 증상별 식단모음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레스테롤
포화
지방산
불포화지방산
곡류
채소
지방
우유
과일
저
중
쇠고기
무국
무
17.5
0.25
5
0.75
0.5
0.01
0.02
대파
17.5
0.25
5
0.75
0.5
0.03
0.05
참기름
2.5
0.5
22.5
2.5
0.35
1.98
국간장
4
다진파
0.25
다진마늘
0.25
후추
0.1
김
김
2
1
20
3
2
0.01
풋고추
멸치볶음
잔멸치
15
1
50
8
2
16.95
0.22
0.41
풋고추
35
0.5
10
1.5
1
0.03
0.09
저민마늘
10
간장
2
설탕
1
생강즙
2
고추가루
2
고추장
1
식용유
2.5
0.5
22.5
2.5
1.09
1.33
김치
배추김치
35
0.5
10
1.5
1
0.01
0.02
합계
2.5
1.5
2.5
1
420
65
23
8
28.95
2.72
5.08
간식
오렌지
오렌지
100
1
50
12
0.03
0.1
합계
1
50
12
0.03
0.1
총계
8
4.5
2
8
3
1
2
1695
243
91
40
143
12.34
24.177
7. 식품구입량
식품명
중량(g)
폐기율(%)
식품구입량
식품명
중량(g)
폐기율(%)
식품구입량
쌀
180
0
180
부추
23
0
23
8. 만드는 방법
1) 미역국
① 미역은 물에 담가 거품이 없을 때까지 깨끗하게 헹구어 건져 물기를 뺀 다음 3~4번 자른다.
② 조갯살은 깨끗이 씻어 놓는다.
③ ②의 조개살에 참기름과 후춧가루를 넣고 조물조물 무쳐 밑간해 놓는다.
④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조갯살을 넣고 달달 볶다가 미역을 함께 넣고 볶는다.
⑤ ④에 물을 붓고 센 불에서 끓인다. 팔팔 끓을 때 채썬 마늘을 넣고 국간장으로 간을 맞춘다. 미역국은 오래 끓일수록 맛있으므로 불을 줄여 약한 불에서 오래 끓인다
식품명
중량(g)
폐기율(%)
식품구입량
식품명
중량(g)
폐기율(%)
식품구입량
보리
15
0
15
무
17.5
4
18.2
현미
15
0
15
풋고추
10
5
10.5
찹쌀
15
0
15
배추김치
70
0
70
감자
65
7
69.55
깍두기
35
0
70
조개살
35
0
35
탈지우유
200
0
200
고등어
50
34
67
딸기
150
0
150
돼지고기
20
0
20
오렌지
100
27
127
닭가슴살
60
0
60
다진파
1
0
1
쇠고기
60
0
60
다진마늘
1.5
0
1.5
두부
80
0
80
참기름
5
0
5
잔멸치
15
0
15
국간장
10
0
10
김
2
0
2
간장
10
0
10
건미역
2
0
2
설탕
4
0
4
양상치
70
14
79.8
식용유
10
0
10
양배추
58
14
66.12
소금
1
0
1
피망
17.5
14
19.95
깨소금
0.5
0
0.5
대파
35
19
41.65
후추
0.1
0
0.1
시금치
50
14
57
생강즙
2
0
2
애호박
20
3
20.6
고추가루
2
0
2
당근
23
11
25.53
고추장
2
0
2
2) 돼지고기야채볶음
① 돼지고기는 도톰하게 한입 크기로 썰고 양배추는 깨끗히 손질해 큼직큼직하게 썬다.
② 파는 4cm 길이로 썰고 마늘은 저며 써세요.
③ 달궈진 팬에 기름을 두르고 파, 마늘 등 향신료를 볶으세요.
④ ③에 돼지고기를 섞고 색이 나도록 볶으세요.
⑤ 팬에 기름을 더 두르고 양배추도 살짝 볶으세요.
⑥ ⑤의 팬에 갖은양념을 넣고 맛이 어우러지도록 볶으면 됩니다.
3) 시금치된장국
① 시금치를 잘 다듬어서 끓는 물에 살짝 대친다음 건져서 체에 받쳐 물기를 뺀다.
② 물에 머리와 내장을 땐 멸치를 넣고 된장을 풀어 끓인다. 구수한 냄새가 나면서 국물이 끓어오르면 멸치를 건져낸다.
③ 된장국물에 데쳐두었던 시금치를 넣고 배추가 푹 무르도록 끓인다.
④ 풋고추, 붉은 고추, 대파를 어슷썰어 넣고 고춧가루, 다진 마늘, 소금을 넣어 간을 맞추어 완성한다.
4) 감자조림
① 감자는 껍질을 벗기고 큼직하게 썬 다음 모서리는 동그스름하게 깍는다. 녹말기가 빠지도록 찬물에 담갔다 건져 물기를 뺀다. 풋고추와 붉은고추는 어슷하게 썰어 씨를 털어낸다.
② 조림장 : 물 1컵에 분량의 간장, 소금, 깨소금, 파, 마늘을 넣어 고루 섞는다. 조림할 냄비에 담아 불에 올려 끓기 시작하면 물엿을 넣어 서서히 저어준다.
③ 조림장에 거품이 크게 생기면서 끓어 오르면 쇠고기를 곱게 다져서 넣고 썰어 놓은 감자를 넣어 조린다.
④ 조림장이 거의 졸아들면 풋고추와 붉은 고추를 넣고 나무주걱으로 살살 뒤적인다. 조림장이 다 졸아 감자에 간이 충분히 배면 불에서 내린다.
5) 쇠고기무국
① 무는 묵직하고 단단한 것을 골라 2cm 크기로 0.3cm 두께로 나박썰기를 한다.
② 쇠고기는 채썰어 다진 파ㆍ마늘, 후춧가루,참기름, 간장을 넣고 양념해 둔다.
③ 냄비에 참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무와 양념한 쇠고기를 넣고 달달 볶다가 물을 붓고 끓인다.
④ 국물이 팔팔 끓어올라 맛이 우러나면 국간장을 넣어 간을 맞춘다.
⑤ 무가 익어 떠오르면 대파를 4cm 길이로 채썰어 넣고 잠시 더 끓인다.
6) 풋고추멸치볶음
① 잔멸치는 체에 담아 가루를 털어내고 풋고추와 붉은 고우는 길고 어슷하게 썰어 씨를 털어낸다.
② 분량의 재료를 섞어 볶음 양념을 만든다.
③ 잔멸치에 볶음 양념으로 골고루 무친다.
④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저민 마늘을 볶는다.
⑤ ④에 잔멸치 무침과 풋고추와 붉은고추를 넣고 볶아 담고 잣가루를 뿌리면 된다.
9. 증상별 식단모음
식품명
재료
분량(g)
아침
팥밥
190
냉이국
냉이
50
참조기구이
참조기
50
마늘쫑무침
마늘쫑
25
해파리냉채
해파리, 오이
40, 10
백김치
100
간식
저지방우유
200
점심
보리밥
190
얼가리국
얼가리
50
제육볶음
돼지고기
50
연근조림
연근
50
상치쌈
상치, 고추장
70, 10
배추김치
70
간식
사과
100
두유
200
저녁
현미밥
190
육개장
고기, 무, 고사리
40, 20, 10
칼치구이
칼치
50
숙주나물
숙주
70
달래무침
달래
30
깍두기
50
간식
바나나
60
<1800kcal 고지혈증 식단>
10. 참고문헌
식이요법 김천호저 문운당
식이요법 이기렬저
한국인 영양 권장량(7차 개정)
임상영양식사지침서
http://www.empas.com 요리백과
포화
지방산
불포화지방산
곡류
채소
지방
우유
과일
저
중
쇠고기
무국
무
17.5
0.25
5
0.75
0.5
0.01
0.02
대파
17.5
0.25
5
0.75
0.5
0.03
0.05
참기름
2.5
0.5
22.5
2.5
0.35
1.98
국간장
4
다진파
0.25
다진마늘
0.25
후추
0.1
김
김
2
1
20
3
2
0.01
풋고추
멸치볶음
잔멸치
15
1
50
8
2
16.95
0.22
0.41
풋고추
35
0.5
10
1.5
1
0.03
0.09
저민마늘
10
간장
2
설탕
1
생강즙
2
고추가루
2
고추장
1
식용유
2.5
0.5
22.5
2.5
1.09
1.33
김치
배추김치
35
0.5
10
1.5
1
0.01
0.02
합계
2.5
1.5
2.5
1
420
65
23
8
28.95
2.72
5.08
간식
오렌지
오렌지
100
1
50
12
0.03
0.1
합계
1
50
12
0.03
0.1
총계
8
4.5
2
8
3
1
2
1695
243
91
40
143
12.34
24.177
7. 식품구입량
식품명
중량(g)
폐기율(%)
식품구입량
식품명
중량(g)
폐기율(%)
식품구입량
쌀
180
0
180
부추
23
0
23
8. 만드는 방법
1) 미역국
① 미역은 물에 담가 거품이 없을 때까지 깨끗하게 헹구어 건져 물기를 뺀 다음 3~4번 자른다.
② 조갯살은 깨끗이 씻어 놓는다.
③ ②의 조개살에 참기름과 후춧가루를 넣고 조물조물 무쳐 밑간해 놓는다.
④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조갯살을 넣고 달달 볶다가 미역을 함께 넣고 볶는다.
⑤ ④에 물을 붓고 센 불에서 끓인다. 팔팔 끓을 때 채썬 마늘을 넣고 국간장으로 간을 맞춘다. 미역국은 오래 끓일수록 맛있으므로 불을 줄여 약한 불에서 오래 끓인다
식품명
중량(g)
폐기율(%)
식품구입량
식품명
중량(g)
폐기율(%)
식품구입량
보리
15
0
15
무
17.5
4
18.2
현미
15
0
15
풋고추
10
5
10.5
찹쌀
15
0
15
배추김치
70
0
70
감자
65
7
69.55
깍두기
35
0
70
조개살
35
0
35
탈지우유
200
0
200
고등어
50
34
67
딸기
150
0
150
돼지고기
20
0
20
오렌지
100
27
127
닭가슴살
60
0
60
다진파
1
0
1
쇠고기
60
0
60
다진마늘
1.5
0
1.5
두부
80
0
80
참기름
5
0
5
잔멸치
15
0
15
국간장
10
0
10
김
2
0
2
간장
10
0
10
건미역
2
0
2
설탕
4
0
4
양상치
70
14
79.8
식용유
10
0
10
양배추
58
14
66.12
소금
1
0
1
피망
17.5
14
19.95
깨소금
0.5
0
0.5
대파
35
19
41.65
후추
0.1
0
0.1
시금치
50
14
57
생강즙
2
0
2
애호박
20
3
20.6
고추가루
2
0
2
당근
23
11
25.53
고추장
2
0
2
2) 돼지고기야채볶음
① 돼지고기는 도톰하게 한입 크기로 썰고 양배추는 깨끗히 손질해 큼직큼직하게 썬다.
② 파는 4cm 길이로 썰고 마늘은 저며 써세요.
③ 달궈진 팬에 기름을 두르고 파, 마늘 등 향신료를 볶으세요.
④ ③에 돼지고기를 섞고 색이 나도록 볶으세요.
⑤ 팬에 기름을 더 두르고 양배추도 살짝 볶으세요.
⑥ ⑤의 팬에 갖은양념을 넣고 맛이 어우러지도록 볶으면 됩니다.
3) 시금치된장국
① 시금치를 잘 다듬어서 끓는 물에 살짝 대친다음 건져서 체에 받쳐 물기를 뺀다.
② 물에 머리와 내장을 땐 멸치를 넣고 된장을 풀어 끓인다. 구수한 냄새가 나면서 국물이 끓어오르면 멸치를 건져낸다.
③ 된장국물에 데쳐두었던 시금치를 넣고 배추가 푹 무르도록 끓인다.
④ 풋고추, 붉은 고추, 대파를 어슷썰어 넣고 고춧가루, 다진 마늘, 소금을 넣어 간을 맞추어 완성한다.
4) 감자조림
① 감자는 껍질을 벗기고 큼직하게 썬 다음 모서리는 동그스름하게 깍는다. 녹말기가 빠지도록 찬물에 담갔다 건져 물기를 뺀다. 풋고추와 붉은고추는 어슷하게 썰어 씨를 털어낸다.
② 조림장 : 물 1컵에 분량의 간장, 소금, 깨소금, 파, 마늘을 넣어 고루 섞는다. 조림할 냄비에 담아 불에 올려 끓기 시작하면 물엿을 넣어 서서히 저어준다.
③ 조림장에 거품이 크게 생기면서 끓어 오르면 쇠고기를 곱게 다져서 넣고 썰어 놓은 감자를 넣어 조린다.
④ 조림장이 거의 졸아들면 풋고추와 붉은 고추를 넣고 나무주걱으로 살살 뒤적인다. 조림장이 다 졸아 감자에 간이 충분히 배면 불에서 내린다.
5) 쇠고기무국
① 무는 묵직하고 단단한 것을 골라 2cm 크기로 0.3cm 두께로 나박썰기를 한다.
② 쇠고기는 채썰어 다진 파ㆍ마늘, 후춧가루,참기름, 간장을 넣고 양념해 둔다.
③ 냄비에 참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무와 양념한 쇠고기를 넣고 달달 볶다가 물을 붓고 끓인다.
④ 국물이 팔팔 끓어올라 맛이 우러나면 국간장을 넣어 간을 맞춘다.
⑤ 무가 익어 떠오르면 대파를 4cm 길이로 채썰어 넣고 잠시 더 끓인다.
6) 풋고추멸치볶음
① 잔멸치는 체에 담아 가루를 털어내고 풋고추와 붉은 고우는 길고 어슷하게 썰어 씨를 털어낸다.
② 분량의 재료를 섞어 볶음 양념을 만든다.
③ 잔멸치에 볶음 양념으로 골고루 무친다.
④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저민 마늘을 볶는다.
⑤ ④에 잔멸치 무침과 풋고추와 붉은고추를 넣고 볶아 담고 잣가루를 뿌리면 된다.
9. 증상별 식단모음
식품명
재료
분량(g)
아침
팥밥
190
냉이국
냉이
50
참조기구이
참조기
50
마늘쫑무침
마늘쫑
25
해파리냉채
해파리, 오이
40, 10
백김치
100
간식
저지방우유
200
점심
보리밥
190
얼가리국
얼가리
50
제육볶음
돼지고기
50
연근조림
연근
50
상치쌈
상치, 고추장
70, 10
배추김치
70
간식
사과
100
두유
200
저녁
현미밥
190
육개장
고기, 무, 고사리
40, 20, 10
칼치구이
칼치
50
숙주나물
숙주
70
달래무침
달래
30
깍두기
50
간식
바나나
60
<1800kcal 고지혈증 식단>
10. 참고문헌
식이요법 김천호저 문운당
식이요법 이기렬저
한국인 영양 권장량(7차 개정)
임상영양식사지침서
http://www.empas.com 요리백과
추천자료
[담석증, 담낭염] 담석증과 담낭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식사요법(식이요법)
[위염] 위염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급성위염 및 만성위염의 식사요법-식이요법)
[소화성궤양] 소화성 궤양의 원인과 증상 및 임상검사, 소화성 궤양 치료를 위한 식사요법(식...
[고혈압] 고혈압의 원인과 증상 및 임상검사, 고혈압 영양대사장애, 고혈압 치료를 위한 식사...
[신장질환] 신장 질환의 임상검사 및 영양대사 장애, 신장질환 치료의 식사요법(식이요법)시 ...
[위하수] 위하수의 증상(특징)과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식사요법)
[급성신부전] 급성 신부전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이요법(식사요법)
[담도계 질환과 치료] 담석증과 담낭염의 증상과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식사요법)
[사구체신염] 급성 사구체신염과 만성 사구체신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식이요법(식사요법)
[신결석] 신결석의 원인과 종류 및 증상, 신결석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식사요법)
[식도질환] 식도질환의 종류와 원인 및 증상, 연하곤란의 원인과 배경 및 식이요법(식사요법)...
[만성신부전] 만성 신부전의 원인과 증상, 만성 신부전 치료방법과 식이요법(식사요법)
[울혈성 심부전] 울혈성 심장질환(울혈성심부전)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식이요법-식사요법)
[췌장염] 급성 췌장염 및 만성 췌장염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식이요법-식사요법), 췌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