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운동
2. 인체 지레
3. 운동과 안정
4. 신체에 작용하는 힘
2. 인체 지레
3. 운동과 안정
4. 신체에 작용하는 힘
본문내용
이루고 있는 특성 - 고무창으로 된 신발이 마루 바닥에서 마찰력이 좋다.
② 접촉면의 상태 - 울퉁불퉁하거나 습기가 없는 표면이 마찰력이 크다.
③ 마찰면에 대한 압력 - 무거운 물체가 가벼운 물체보다 마찰력이 크다
④ 물체의 운동 상태 - 정지하고 있는 물체보다 운동하고 있는 물체의 마찰력이 크다.
(2) 양력과 항력
1) 양력
① 유체 속을 이동하는 물체의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② 비행기의 상승력, 축구의 코너킥
③ 결정요인 - 물체의 모양과 회전, 표면의 단단한 정도, 물체 주위의 공기 흐름 패턴
★ 매그누스 효과
- 유체의 속도가 증가되면 유체에 의해 발휘되는 압력은 감소하게 되므로, 공의 상단부 에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이 하단부에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져 그 결과 양력이 공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스핀이 걸린 공은 정상적인 포물선 궤적보다 아래쪽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매그누스 효과라 한다.
2) 항력
① 유체 속에서 운동하는 물체에 운동 방향의 반대로 작용하는 저항력을 항력이라 한 다.
② 결정요인 - 물체의 모양과 속도, 물체 횡단면적의 크기
③ 항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 상체를 숙여 단면적을 줄인다.
- 공기의 흐름을 유선형으로 한다.
(3) 원심력과 구심력
1) 원심력
① 구심력에 대한 반작용력으로서 회전하는 물체가 회전 궤도를 이탈하고자 하는 가상 의 힘
② 회전반경이 작을수록 물체의 질량이 클수록, 물체의 속도가 빠를수록 원심력은 커 진다.
③ 원심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속도를 줄이거나 회전 반경을 크게 하면 된다.
④ 피겨 스케이팅의 회전 기술
2) 구심력
① 회전 운동에서 물체를 구속시켜 회전 중심으로 향해 되돌아오고자 하는 힘
② 물체의 질량이 무거울수록, 질주속도가 빠를수록 회전 반경이 작을수록 구심력은 커진다.
(4) 충격력
1) 개념
- 물체가 운동을 하도록 힘을 가할 때 순간적인 운동량의 변화
- 충격량은 속도와 질량에 비례하고 충격시간에 반비례한다.
※ 강한 충격이 유리한 운동 : 야구공 치기, 배구 스파이크, 축구의 킥
약한 충격이 유리한 운동 : 야구공 받기, 유도 낙법, 체조의 착지
2) 충격을 주는 원리
① 연속적으로 힘을 주는 운동 : 밀기, 끌기, 들어 올리기
② 힘을 가하다가 중지하는 형 : 던지기
③ 순간적으로 힘을 가하는 형 : 치기, 차기
★ 충격량을 높게 가할려면
① 충격 시 속도를 크게
② 운동 시 속도를 빠르게
③ 접촉면을 좁게
④ 접촉 시간을 짧게한다.
★ 충격량을 낮게 하려면
①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을 길게한다.
- 야구공 받기
- 멀리뛰기의 착지 자세에서 관절을 굴곡시킨다.
② 충격을 받는 면적의 넓이를 크게해서 압력을 줄인다.
- 미식축구 선수의 어깨 패드
- 태권도 보호대
- 복싱, 야구, 하키 등의 헤드기어, 장갑
- 유도의 낙법
- 슬라이딩 시 접촉면을 넓게한다.
③ 평형을 유지하여 안정성을 높인다.
- 중심고를 낮게, 기저면을 넓혀준다.
② 접촉면의 상태 - 울퉁불퉁하거나 습기가 없는 표면이 마찰력이 크다.
③ 마찰면에 대한 압력 - 무거운 물체가 가벼운 물체보다 마찰력이 크다
④ 물체의 운동 상태 - 정지하고 있는 물체보다 운동하고 있는 물체의 마찰력이 크다.
(2) 양력과 항력
1) 양력
① 유체 속을 이동하는 물체의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② 비행기의 상승력, 축구의 코너킥
③ 결정요인 - 물체의 모양과 회전, 표면의 단단한 정도, 물체 주위의 공기 흐름 패턴
★ 매그누스 효과
- 유체의 속도가 증가되면 유체에 의해 발휘되는 압력은 감소하게 되므로, 공의 상단부 에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이 하단부에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져 그 결과 양력이 공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스핀이 걸린 공은 정상적인 포물선 궤적보다 아래쪽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매그누스 효과라 한다.
2) 항력
① 유체 속에서 운동하는 물체에 운동 방향의 반대로 작용하는 저항력을 항력이라 한 다.
② 결정요인 - 물체의 모양과 속도, 물체 횡단면적의 크기
③ 항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 상체를 숙여 단면적을 줄인다.
- 공기의 흐름을 유선형으로 한다.
(3) 원심력과 구심력
1) 원심력
① 구심력에 대한 반작용력으로서 회전하는 물체가 회전 궤도를 이탈하고자 하는 가상 의 힘
② 회전반경이 작을수록 물체의 질량이 클수록, 물체의 속도가 빠를수록 원심력은 커 진다.
③ 원심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속도를 줄이거나 회전 반경을 크게 하면 된다.
④ 피겨 스케이팅의 회전 기술
2) 구심력
① 회전 운동에서 물체를 구속시켜 회전 중심으로 향해 되돌아오고자 하는 힘
② 물체의 질량이 무거울수록, 질주속도가 빠를수록 회전 반경이 작을수록 구심력은 커진다.
(4) 충격력
1) 개념
- 물체가 운동을 하도록 힘을 가할 때 순간적인 운동량의 변화
- 충격량은 속도와 질량에 비례하고 충격시간에 반비례한다.
※ 강한 충격이 유리한 운동 : 야구공 치기, 배구 스파이크, 축구의 킥
약한 충격이 유리한 운동 : 야구공 받기, 유도 낙법, 체조의 착지
2) 충격을 주는 원리
① 연속적으로 힘을 주는 운동 : 밀기, 끌기, 들어 올리기
② 힘을 가하다가 중지하는 형 : 던지기
③ 순간적으로 힘을 가하는 형 : 치기, 차기
★ 충격량을 높게 가할려면
① 충격 시 속도를 크게
② 운동 시 속도를 빠르게
③ 접촉면을 좁게
④ 접촉 시간을 짧게한다.
★ 충격량을 낮게 하려면
①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을 길게한다.
- 야구공 받기
- 멀리뛰기의 착지 자세에서 관절을 굴곡시킨다.
② 충격을 받는 면적의 넓이를 크게해서 압력을 줄인다.
- 미식축구 선수의 어깨 패드
- 태권도 보호대
- 복싱, 야구, 하키 등의 헤드기어, 장갑
- 유도의 낙법
- 슬라이딩 시 접촉면을 넓게한다.
③ 평형을 유지하여 안정성을 높인다.
- 중심고를 낮게, 기저면을 넓혀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