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정 환율제는 계속 진행 되었다.
미국은 자국의 경제회복을 위해 달러화 공급을 늘렸다. 이에 다른 나라들도 환율유지를 위해 통화 공급을 늘렸다. 이에 따라 Inflation이 확산 타국의 불만 고조, BW체제 붕괴 위험에 맞게 되었다. 71년 8월 태환정지. 71년 12월 스미소니언 체제, 조정후 BW체제로 복귀 , 73년 2월 환투기 재발, 결국 73년 3월 고정환율제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73년 10월 제1차 Oil Shock 발생 76년 Jamaica체제채택하게 되었다. 이것이 IMF에서 채택한 공식적인 변동환율제이다
경제학 전공자로서 한마디하자면..
경제용어중에서는 참.. 일반인들이 보기에 생소한 것들이 너무나 많지만.. 기본적인 지식 및 개념을 알고있으면.. 용어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그리 어렵지만은 않습니다.
우선, 역외시장차액결제선물환을 보면.. 역외/시장/차액결제/선물환 으로 나누어서 볼수가있습니다. 설명하자면..
역외 : 해외를 말합니다. 시장 : 여기에서는 외환거래시장을 말합니다. 주로 런던, 홍콩, 싱가폴등에 있으며.. 최근에는 서울에서도 외환시장을 가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차액결제 : 거래의 손실, 손익금만을 결제한다는 뜻입니다. 선물환 : 미래 일정시점에 물건을 교환하기로 하고, 대금의 결제는 현재시점에 하는것을 말합니다. 여기에서는 외환(달러화)을 말합니다. 결과적으로 해외외환거래시장에서 차액만을 결제하기로한 선물거래상품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NDF(Non-Deliverable Forward)라고도 합니다.
금융기관에서는 끊임없이 자금을 가지고 이윤을 창출해야합니다. 따라서, 여러가지 금융상품이 개발되기도 하는데.. 그중의 하나라고 보면 됩니다.
이 NDF의거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A라고하는 외국계은행이 B라고하는 국내은행으로 하여금 1천만달러를 3개월물로 1250원에 거래를 하자고 제의가 들어왔을때..(이 말은 현재 환율이 1200원이라고 가정을 한다했을때.. 3개월후에 1250원의 환율로 1천만달러를 팔겠다라는 의미입니다), B은행은 환율이 3개월후에 1250원보다 높아지면.. 높아진만큼 이득이 될것이고(이유는 3개월후에 1250원이 되었을때.. 1천만달러를 이미 1250원에 구매를 했으므로 50원만큼의 이득이 생기는것입니다), 만일 1250원보다 낮아지면.. 낮아진만큼 손실을 볼것입니다.(이유는 3개월후에 1200원이 되었을때.. 1천만달러를 1200원에 구매할수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3개월전에 1250원으로 구매를 하였으므로..)
따라서, B은행은 환율의 예측치를 추정하여 이와같은 거래에 매입을 할것이냐, 하지말것이냐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거래를 하게 된다면.. 이것이 NDF라는 상품의 거래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은행들은 이렇게 도박에 가까운 거래를 하느냐인데.. 은행들은 끊임없이 자금을 조달하여 금리가 높은곳으로 재투자를 하여 이윤을 창출해야합니다.
따라서, B은행이 1천만달러를 차입(A은행으로부터 매입)하여 그 1천만달러를 다시 다른곳으로 재투자할시의 비용을 산정해본다면.. 그 답은 나옵니다.
예로서, 국내의 금리가 18%라 가정을 하고, 환율은 1200원, 3개월후의 환율은 1250원으로 예측했을때..
1천만달러를 차입했을때의 비용은 1) 국내시장에서 차입한다면.. 1천만달러 x @1200원 x (15%/4)= 125.4억의 조달비용 발생 2) NDF 거래시 1천만달러 x @1250원 = 125억의 조달비용 발생.. 따라서, 이렇게 NDF 거래를 했을시의 자금조달비용이 더 낮아진다는 예를 보여줍니다. 물론 이것은 3개월후의 환율이 1250원이 되었을때에 그렇다는 것이며, 만약 환율이 더 낮아진다면.. 손실을(사실상의 손실이 아니라 비용조달측면에서 더 싸게 구입할수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싸게 들여온경우이므로.. 나중에 정산시 이윤금액의 감소로서 손실입니다)..
환율이 더 높아진다면.. 이득을 나타낼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은행들이 이렇게 거대자금을 차입하여 재투자를 하는경우도 있지만, 앞으로 3개월후의 막연한 환율로 손실, 손익이 나누어지는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손을 놓고 가만히 있는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러한 NDF 거래후 위험회피방법으로(흔히 헷징을 한다고 합니다. Hedge) 외환 스왑거래를 하게됩니다.
신문기사에서는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경제관련기사를 작성시 기자들 자신도 어떤 내용인지,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모르고 남발하는 용어들이 너무 많다고 생각을 합니다. 즉, 역외시장 차액결제선물환 규제조치를 단계적으로 완화한다는 것이 왜 시장의 불안정성을 반영한것인지의 여부가 설명이 안되어있는데.. 이것은 거의 100% 기자들도 모르기때문에 이렇게 남이 불러주는대로 적기에 요즘 정치판에서 말하는.. "아님 말구"식의 기사가 아니냐라는 생각입니다.
좀더 깊게 보자면.. (저도 여러 경제전문가의 기고를 인용합니다만..) 일반적인 은행들은 이렇게 NDF 거래를 하면서, 미래에 있을 환율의 변화로 인하여 생길지도 모르는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외화스왑거래를 합니다. 그러나 이번 한국은행에서는 (또는 한국은행에서 역외시장차액결제선물환을 대행하는 은행) 이러한 NDF 거래를 하면서 헷징을 전혀 안했다는 내용입니다. 이는 환율이 하락하는것을 막는데 급급했다는 것입니다.(즉, NDF를 매도만 했다는것임) 외환거래자들은 자신들이 외환이라는 상품을 가지고 돈을 벌고자할때.. 보다 낮은 가격에 사서 높은 가격에 팔고자할것입니다. 그렇다면.. 전체적인 분위기가 환율하락이 예상되어지면.. 외환거래자들은 좀더 환율하락이 일어날때.. 구매하고자하는 욕구가 생기고 시장에서 환율하락을 더 부채질하려할것입니다. 그런데.. 한국은행이 환율하락을 막기위하여 선물환을 매도를 하다가 이를 포기하자.. 외환거래자들은 앞으로 더이상의 낮은 가격대의 환율을 유지할경우.. 손실이 커질것으로 예상하여 달러를 이제부터 사모으기 시작한 관계로 환율이 상승을 하는것으로 판단을 한다는 것입니다(앞서 말했듯이, 미래의 환율보다 낮은 환율이 유지된다면.. 그만큼 선물환을 매입한측은 약정치의 환율과의 차액만큼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언급을 하였습니다.)
....
미국은 자국의 경제회복을 위해 달러화 공급을 늘렸다. 이에 다른 나라들도 환율유지를 위해 통화 공급을 늘렸다. 이에 따라 Inflation이 확산 타국의 불만 고조, BW체제 붕괴 위험에 맞게 되었다. 71년 8월 태환정지. 71년 12월 스미소니언 체제, 조정후 BW체제로 복귀 , 73년 2월 환투기 재발, 결국 73년 3월 고정환율제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73년 10월 제1차 Oil Shock 발생 76년 Jamaica체제채택하게 되었다. 이것이 IMF에서 채택한 공식적인 변동환율제이다
경제학 전공자로서 한마디하자면..
경제용어중에서는 참.. 일반인들이 보기에 생소한 것들이 너무나 많지만.. 기본적인 지식 및 개념을 알고있으면.. 용어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그리 어렵지만은 않습니다.
우선, 역외시장차액결제선물환을 보면.. 역외/시장/차액결제/선물환 으로 나누어서 볼수가있습니다. 설명하자면..
역외 : 해외를 말합니다. 시장 : 여기에서는 외환거래시장을 말합니다. 주로 런던, 홍콩, 싱가폴등에 있으며.. 최근에는 서울에서도 외환시장을 가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차액결제 : 거래의 손실, 손익금만을 결제한다는 뜻입니다. 선물환 : 미래 일정시점에 물건을 교환하기로 하고, 대금의 결제는 현재시점에 하는것을 말합니다. 여기에서는 외환(달러화)을 말합니다. 결과적으로 해외외환거래시장에서 차액만을 결제하기로한 선물거래상품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NDF(Non-Deliverable Forward)라고도 합니다.
금융기관에서는 끊임없이 자금을 가지고 이윤을 창출해야합니다. 따라서, 여러가지 금융상품이 개발되기도 하는데.. 그중의 하나라고 보면 됩니다.
이 NDF의거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A라고하는 외국계은행이 B라고하는 국내은행으로 하여금 1천만달러를 3개월물로 1250원에 거래를 하자고 제의가 들어왔을때..(이 말은 현재 환율이 1200원이라고 가정을 한다했을때.. 3개월후에 1250원의 환율로 1천만달러를 팔겠다라는 의미입니다), B은행은 환율이 3개월후에 1250원보다 높아지면.. 높아진만큼 이득이 될것이고(이유는 3개월후에 1250원이 되었을때.. 1천만달러를 이미 1250원에 구매를 했으므로 50원만큼의 이득이 생기는것입니다), 만일 1250원보다 낮아지면.. 낮아진만큼 손실을 볼것입니다.(이유는 3개월후에 1200원이 되었을때.. 1천만달러를 1200원에 구매할수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3개월전에 1250원으로 구매를 하였으므로..)
따라서, B은행은 환율의 예측치를 추정하여 이와같은 거래에 매입을 할것이냐, 하지말것이냐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거래를 하게 된다면.. 이것이 NDF라는 상품의 거래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은행들은 이렇게 도박에 가까운 거래를 하느냐인데.. 은행들은 끊임없이 자금을 조달하여 금리가 높은곳으로 재투자를 하여 이윤을 창출해야합니다.
따라서, B은행이 1천만달러를 차입(A은행으로부터 매입)하여 그 1천만달러를 다시 다른곳으로 재투자할시의 비용을 산정해본다면.. 그 답은 나옵니다.
예로서, 국내의 금리가 18%라 가정을 하고, 환율은 1200원, 3개월후의 환율은 1250원으로 예측했을때..
1천만달러를 차입했을때의 비용은 1) 국내시장에서 차입한다면.. 1천만달러 x @1200원 x (15%/4)= 125.4억의 조달비용 발생 2) NDF 거래시 1천만달러 x @1250원 = 125억의 조달비용 발생.. 따라서, 이렇게 NDF 거래를 했을시의 자금조달비용이 더 낮아진다는 예를 보여줍니다. 물론 이것은 3개월후의 환율이 1250원이 되었을때에 그렇다는 것이며, 만약 환율이 더 낮아진다면.. 손실을(사실상의 손실이 아니라 비용조달측면에서 더 싸게 구입할수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싸게 들여온경우이므로.. 나중에 정산시 이윤금액의 감소로서 손실입니다)..
환율이 더 높아진다면.. 이득을 나타낼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은행들이 이렇게 거대자금을 차입하여 재투자를 하는경우도 있지만, 앞으로 3개월후의 막연한 환율로 손실, 손익이 나누어지는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손을 놓고 가만히 있는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러한 NDF 거래후 위험회피방법으로(흔히 헷징을 한다고 합니다. Hedge) 외환 스왑거래를 하게됩니다.
신문기사에서는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경제관련기사를 작성시 기자들 자신도 어떤 내용인지,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모르고 남발하는 용어들이 너무 많다고 생각을 합니다. 즉, 역외시장 차액결제선물환 규제조치를 단계적으로 완화한다는 것이 왜 시장의 불안정성을 반영한것인지의 여부가 설명이 안되어있는데.. 이것은 거의 100% 기자들도 모르기때문에 이렇게 남이 불러주는대로 적기에 요즘 정치판에서 말하는.. "아님 말구"식의 기사가 아니냐라는 생각입니다.
좀더 깊게 보자면.. (저도 여러 경제전문가의 기고를 인용합니다만..) 일반적인 은행들은 이렇게 NDF 거래를 하면서, 미래에 있을 환율의 변화로 인하여 생길지도 모르는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외화스왑거래를 합니다. 그러나 이번 한국은행에서는 (또는 한국은행에서 역외시장차액결제선물환을 대행하는 은행) 이러한 NDF 거래를 하면서 헷징을 전혀 안했다는 내용입니다. 이는 환율이 하락하는것을 막는데 급급했다는 것입니다.(즉, NDF를 매도만 했다는것임) 외환거래자들은 자신들이 외환이라는 상품을 가지고 돈을 벌고자할때.. 보다 낮은 가격에 사서 높은 가격에 팔고자할것입니다. 그렇다면.. 전체적인 분위기가 환율하락이 예상되어지면.. 외환거래자들은 좀더 환율하락이 일어날때.. 구매하고자하는 욕구가 생기고 시장에서 환율하락을 더 부채질하려할것입니다. 그런데.. 한국은행이 환율하락을 막기위하여 선물환을 매도를 하다가 이를 포기하자.. 외환거래자들은 앞으로 더이상의 낮은 가격대의 환율을 유지할경우.. 손실이 커질것으로 예상하여 달러를 이제부터 사모으기 시작한 관계로 환율이 상승을 하는것으로 판단을 한다는 것입니다(앞서 말했듯이, 미래의 환율보다 낮은 환율이 유지된다면.. 그만큼 선물환을 매입한측은 약정치의 환율과의 차액만큼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언급을 하였습니다.)
....
키워드
추천자료
환율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국제유가]최근 고유가 상황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환율의 상승이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콜금리와 콜금리변동이 미치는 영향
고유가, 고금리, 고환율 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환율이 우리나라 기업 혹은 경제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전공 학사학위논문]자본시장 통합법 시행에 따른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우리나라 ...
지가변동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위안화 절상] 위안화 절상에 따른 중국 환율의 변화가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
환율이 여행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환율효과의 의미와 그에 따른 수입수출에 미치는 영향 조사분석
한미 FTA의 등장 배경 및 한미FTA에 대한 분석 _ 금융시장과 서비스시장의 개방이 경제에 미...
환율과 금리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원화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