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신탁통치란?
2.신탁통치의 배경 및 전개과정
- 한국의 신탁통치 발생배경
- 신탁통치의 전개과정
- 찬반탁 운동의 역사 전개과정의 오해
- 실제 신탁통치의 전개 과정
3.신탁통치의 결과
- 잘못된 왜곡보도
- 주의해서 살펴봐야 할 점
4.반탁운동을 한 진짜 이유는?
- 민족 대 반민족 좌익 대 우익으로 전환
- 임시정부 구성좌절->미소공동위원회 파괴
- 통일정부 수립 대신 분단정부 수립
5.결론
2.신탁통치의 배경 및 전개과정
- 한국의 신탁통치 발생배경
- 신탁통치의 전개과정
- 찬반탁 운동의 역사 전개과정의 오해
- 실제 신탁통치의 전개 과정
3.신탁통치의 결과
- 잘못된 왜곡보도
- 주의해서 살펴봐야 할 점
4.반탁운동을 한 진짜 이유는?
- 민족 대 반민족 좌익 대 우익으로 전환
- 임시정부 구성좌절->미소공동위원회 파괴
- 통일정부 수립 대신 분단정부 수립
5.결론
본문내용
그렇게 해도 분단은 막을 수 없었고 설령 통일이 된다 하더라도 그것은 적화통일이었을 것이라며 반탁이 옳았다고 주장한다. 신탁통치로 인한 미소 공동위원회의구성은 분단의 결정적 원인을 제공하였으므로 찬탁에 일리가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신탁통치의 발생전에 두가지(공산주의,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들어와있다는 사실은 분단을 미리 예고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탁의 의견도 부정할 수는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본 글에서 말하고자하는 것은 중요한 찬탁과 반탁의 타당성을 말하자는 것이 아니다. 당시의 언론 왜곡에 의해서 현재까지도 잘못된 역사를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이 대다수이다. 이뿐만 아니라 아직도 잘못알고 있는 역사는 무수히 많을 것이다. 이는 나에게 역사를 공부하되 곧바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 상황과 요구를 한번쯤 고려해 보게한다. 지금까지 “신탁통치”의 전개과정에 있어서 기정 사실과 왜곡된 부분을 알아보았고 결과적으로 우리 현대인들에겐 보이는 것만 바라보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바로 보는 눈, 즉 전시안 적인 안목을 키우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구대열 1989.5.31 “한반도 분단과 미국” 을유문화사>>
<<역사문제 연구소 1993.7.16 “바로잡아야할우리역사37장면” 역사비평사>>
<<송건호 2004.5.20 “해방전후사의인식 한길사>>
<<서중석, 1991, 한국현대민족운동론연구, 역사비평사 318-319p>>
<<검색 “네이버”“엠파스”“다움”>>
이승만과 한민당: 남한만의 단독선거, 신탁통치 반대가 아닌 일국 영구 신탁통치의 길을 감
결론적으로
신탁통치 이슈는 국내 정치세력의 분열과 단독정부 수립으로 연결되는 민족분단의 국내적 계기를 마련하였고, 친일분자 및 우익세력에게 도덕적 명분을 부여하는 전기가 되었다.
(서중석, 1991, 한국현대민족운동론연구, 역사비평사. 318-319p)
배경에 대한 설명도 없고
우리나라 국사학계에서
식민주의 역사관을 가진 자들을
하루 빨리 추방할 그 날을 위해
참고문헌:
윤해동, 1993 「신탁통치 반대 운동은 분단단정 노선」『바로잡아야할우리역사37장면』1
이완범, 「해방 3년사의 쟁점-5. 반탁이냐 모스크바 결정 지지냐」 『해방전후사의인식』 6
목차
1. 주제선정이유(모스크바삼상회의에 대한 기존의 잘못된 이해)
3. 신탁통치의 배경 및 전개과정
4. 신탁통치 왜곡 보도에 대한 각 세력들의 반응
5. 반탁운동을 한 ‘진짜’ 이유는
참고자료
<<구대열 1989.5.31 “한반도 분단과 미국” 을유문화사>>
<<역사문제 연구소 1993.7.16 “바로잡아야할우리역사37장면” 역사비평사>>
<<송건호 2004.5.20 “해방전후사의인식 한길사>>
<<서중석, 1991, 한국현대민족운동론연구, 역사비평사 318-319p>>
<<검색 “네이버”“엠파스”“다움”>>
이승만과 한민당: 남한만의 단독선거, 신탁통치 반대가 아닌 일국 영구 신탁통치의 길을 감
결론적으로
신탁통치 이슈는 국내 정치세력의 분열과 단독정부 수립으로 연결되는 민족분단의 국내적 계기를 마련하였고, 친일분자 및 우익세력에게 도덕적 명분을 부여하는 전기가 되었다.
(서중석, 1991, 한국현대민족운동론연구, 역사비평사. 318-319p)
배경에 대한 설명도 없고
우리나라 국사학계에서
식민주의 역사관을 가진 자들을
하루 빨리 추방할 그 날을 위해
참고문헌:
윤해동, 1993 「신탁통치 반대 운동은 분단단정 노선」『바로잡아야할우리역사37장면』1
이완범, 「해방 3년사의 쟁점-5. 반탁이냐 모스크바 결정 지지냐」 『해방전후사의인식』 6
목차
1. 주제선정이유(모스크바삼상회의에 대한 기존의 잘못된 이해)
3. 신탁통치의 배경 및 전개과정
4. 신탁통치 왜곡 보도에 대한 각 세력들의 반응
5. 반탁운동을 한 ‘진짜’ 이유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