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생성모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미생성모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 우리나라 외식문화에서 치킨산업이 차지하는 위치와 교촌치킨의 발전 가능성 제시

Ⅱ. 본 론
1. 교촌치킨의 일반적인 특징
① ‘교촌’이라는 말의 의미
② 교촌치킨만의 차별화 전략
2. 교촌치킨을 서사구조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① 표층구조 속의 시각기호와 채널
- 교촌치킨 웹 사이트의 로고, 카피, 심벌마크, 사이트의 메인 이미지 등
② 서사구조 속의 다양한 이야기(웹 문화콘텐츠의 스토리텔링)
- 표층구조를 통한 교촌의 스토리
-교촌치킨 광고를 통한 맛 스토리
③ 심층구조 속의 핵심 가치와 코드
- 한국적인 맛
3. 교촌치킨의 거시콘텐츠와 미시콘텐츠
① 교촌치킨의 거시콘텐츠와 미시콘텐츠
② 한국음식문화콘텐츠의 컨셉설계


Ⅲ. 결 론
- 전체적인 내용 요약과 한국 치킨 브랜드의 세계화 소망


Ⅳ. 참 고 자 료

본문내용

장 높다는 점과 그 중에서 교촌치킨의 증가율이 두드러진다는 점으로 볼 때, 교촌치킨이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문화콘텐츠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되어 문화콘텐츠를 <교촌치킨>으로 잡고 조사했다. 교촌치킨은 유사 콘텐츠와는 다른 차별화 전략을 세우고 있었는데, 첫째, 친환경 포장지 사용과 둘째, 고급스러운 매장 인테리어, 셋째, 업계 최초 부분육 도입과 넷째, 슬로우 마케팅 전략, 다섯째, 가맹점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마지막 여섯째, 맛의 차별화 전략을 세우고 있었다. 이러한 교촌치킨의 특징을 통해서 의미생성모델을 만들어 보고 표층구조와 서사구조, 심층구조로 나누어서 분석해보았다. 또한 거시콘텐츠와 미시콘텐츠를 통해서 교촌치킨이 세계화, 산업화, 대중화 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 보았다.
교촌치킨을 창업한 사장은 처음에는 “교촌통닭”이라는 간판을 내걸고 1991년 치킨집 문을 열었다. 치킨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었던 터라 개업 후 석 달 동안은 적자를 면치 못했으나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독특한 메뉴 개발을 통해서 점차 성장할 수 있었다. 브랜드가 점차 커지자 “교촌통닭”이었던 간판은 “교촌치킨”이라는 간판으로 바뀌면서, 토종적인 치킨 브랜드를 세계화시킬 준비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왜 꼭 치킨이어야 하는가. 물론, 세계로 뻗어나가기 위해서 ‘통닭’이라는 순우리말을 브랜드 이름에 쓰기가 조금 불편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 고유의 치킨 브랜드인 교촌치킨이 하루속히 외국으로 널리 퍼져서 다시 교촌통닭으로 거듭날 수 있길 바래본다. 우리가 KFC 나 파파이스라고 외국 발음을 하면서 치킨 브랜드 이름을 부르듯이, 외국사람들이 ‘교촌통닭’이라는 순우리말을 발음 하면서 치킨 브랜드 이름을 부르는 날이 꼭 있었으면 좋겠다.
Ⅳ. 참 고 자 료
백승국, 『문화기호학과 문화콘텐츠』, 다미디어, 2004
이인화, 고욱 외 6인,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2003
교촌치킨 사이트, www.kyochon.co.kr
프랜차이즈프라자, www.franchiseplaza.co.kr
수저포크, www.soogerfork.co.kr/main_target14_22.htm
창업 투데이
창업투데이, www.changuptoday.co.kr
조선일보 [사회] 2004.12.9(목)
한겨레21 [생활/문화, 매거진] 2004.11.19 (금)
한국일보 [경제] 2004.03.23 (화)
매일신문 [사회] 2004.07.14 (수)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04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