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까레이스키,고려족]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2

Ⅱ. 본론 ….2
1. 고려인의 정의ㆍ역사 ....2
2. 고려인과 문화 ....8
3. 재외동포법 ....12
4. 고려인의 현재상황 ....13
5. 고려인의 지원대책 ....16
6. 고려인의 변천과정....19
7. 고려인과 정치인....20
8. 고려인의 정체성ㆍ시각 ....22

Ⅲ. 결론
- 느낀점 ....23

§ 참고문헌 ....24

본문내용

을 돌보지 않고, 방치해 두는 것이 운명으로만 치부해 버린다면 너무 가혹한 처사가 아닌가 싶다.
650만 재외동포 중 고려인은 140년 동안 가장 골 깊은 수난의 시대를 살고 있는 민족이다. 중앙아시아와 러시아 각지에 모두 50여만 명의 동포들이 흩어져 오늘도 삶이 죽음인지, 죽음이 삶인지 구분되지 않는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더구나 이들의 고통은 구소련 붕괴 후 시작된 중앙아시아 독립 국가들의 민족차별 정책으로 더욱 깊어지고 있다. 난데없이 러시아어가 아닌 원어민의 언어를 사용하라 강요하고, 그들의 종교를 강제하고 있으며, 자기네들 땅에서 나가라는 협박에 하루하루 가슴을 쓸어내리는 생활이 이어지고 있다. 지금 이 시대에 아직도 유랑생활을 하고 있는 한민족이 있다는 것을 누가 믿을 수 있을까. 참 부끄럽고, 가슴 아픈 일이다. 물론 우리나라가 고려인의 모든 경제활동과 복지, 의료를 감당해야 한다는 주장은 아니다. 가난은 나라도 구제하지 못한다는 말도 있는데 한국이 고려인의 모든 생활을 감당할 수는 없다. 그러나 고려인들의 지금상황이 그들의 개인적인 선택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닌 만큼 아버지의 나라, 할아버지의 나라 그들 조상들의 모국인 우리나라에서도 어느 정도의 보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오늘날 '그 나라 사람이 해외에 얼마나 진출해 있느냐'는 한 나라의 국력을 평가하는 여러 가지 기준 가운데 그 어느 것보다 뚜렷한 기준이 될 수 도 있다는 말이 있다. 특히 부존자원이 부족할 뿐 아니라 인구에 비하여 국토 면적이 좁은 우리나라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다면 우리 한민족이 세계 여러 지역으로 진출하는 것은 국가와 민족의 발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있다. 사실 세계 여러 지역으로 진출한 우리 한민족이 본국에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 상당한 도움을 주고 있다는 사실에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그들이 국내에 거주하지 않고, 외국에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그들을 외부인 취급해서는 안 된다. 그들의 생활 편리를 위하여, 그들의 지위에 관하여 한국이 어느 정도 기여를 해야 한다. 지금의 고려인 3세, 4세는 한글을 모르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고 하고, 한국의 문화를 잘 알지 못하는 부류가 대다수라고 한다. 재외동포들이 외국에 거주하고 있다는 특성 때문에 이민초기 세대보다 현지에서 태어난 세대들은 더욱더 모국과 멀어질 수밖에 없다. 한국과는 무관한 듯 보이는 그들의 모습에서 거리를 두기 보다는 더욱더 고려인들에게 관심을 갖고, 그들과의 교류를 지속시켜 나가면서 한국인의 자손임을 잊지 않게 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단행본, 가나다순)
김승준ㆍ이재훈ㆍ이송호, 『연해주와 고려인』, 백산서당, 2004년.
김재영 『대지의 슬픈 유랑자들- 내 눈물에 당신이 흐릅니다』, 한얼미디어, 2006년
이광규, 『재외동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년.
임영상, 『고려인 사회의 변화와 한민족』,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5년.
정동주, 『까레이스끼 또 하나의 민족사』, 우리문학사, 1995년.
참고문헌(정기간행물, 가나다순)
국일민보 2006년 9월 27일자, “민족차별에 울고 …고국은 멀고”
내일신문 2006년 6월 29일자, “한국인 정체성 유지하기도 벅차”
동아일보 2005년 8월 20일자, “[광복 60년]러시아 고려인의 도전과 성취”
머니투데이 2006년 7월 11일자, “연해주 고려인 지원 캠페인본부 발족”
문화일보 2003년 9월 24일자, “정부수립前 해외이주자도 재외동포”
세계일보 2006년 9월 19일자, “고려인들 소련 해체 후 뿔뿔이 흩어져…'부평초' 신세”
연합뉴스 2004년 6월 24일자, “우리말과 글의 전도사 `고려일보' 폐간 위기”
연합뉴스 2005년 11월 19일자, “<광복 60주년 특별기획> 북방에 핀 고려인의 꽃”
연합뉴스 2006년 8월 24일자, “타계한 '아시아의 피카소' 신순남 화백”
연합뉴스 2006년 9월 25일자, “한명숙 총리, 고려인 동포 및 교민 초청 만찬 참석”
연합뉴스 2006년 10월 26일자, “임채정 의장 고려인들과 만찬”
오마이뉴스 2006년 2월 17일자, “지금도 계속되는 강제이주의 역사”
인천일보 2004년 9월 7일자, “고려인들의 유랑사 - 연해주 길마중”
인터넷 뉴스 2006년 10월 20일자, “고려인 돕기 운동본부 두 얼굴의 교훈”
조선일보 2006년 6월 21일자, “연해주 고려인 동포 돕기 최선”
프라임 경제 2006년 8월 24일자, “물건 사면 저절로 기부”
쿠키뉴스 2005년 12월 14일자, “정부, CIS동포 종합 지원 대책 마련”
한겨레 2004년 9월 20일자, “노대통령, 카자흐서 자원외교”
한겨레 2006년 9월 23일자, “고려인 1~3세, 연금생활‘극빈층’허덕”
한겨레 2006년 9월 24일자, “강제이주70년 중앙아시아의 한인들”
참고문헌(인터넷 웹 사이트)
고려인 돕기 운동 본부 - http://www.koreis.com 
동북아 소식지 - http://wekorean.or.kr/cgi-bin/zboard
러시아 추억 스케치 http://cafe.naver.com/russiasketch.cafe
사할린 사랑(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jso
“고려인 이야기”
연해주 한인재생기금 협회 http://koreis.com/
지구촌 영상 저널리즘 - http://worldnet.kbs.co.kr/geo_channel2/main.htm
재외 동포 재단 - http://www.okf.or.kr/
하늘색고향(무비스트) - http://www.movist.com/
해외 동포의 어제와 오늘 - http://www.chungdong.or.kr/highroom
행복을 나누어 드리는 해피타임즈 - http://cafe.naver.com/htimes
“한류열풍에도 고려인 문화 척박”
동영상
- SBS TV 2004년 4월 26일 “17만 고려인들의 애환을 담은 전시회”
- YTN TV 2006년 9월 30일 “고려인 지원 본격화”
- SBS TV 2004년 1월 21일 “연해주 고려인 정착마을 풍경”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8.05.28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5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