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론) 지자치단체 자원봉사센터 - 대구광역시종합자원봉사센터 견학 및 소감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원봉사론) 지자치단체 자원봉사센터 - 대구광역시종합자원봉사센터 견학 및 소감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ꊱ 기관소개
1. 일반현황
2. 주요연혁
3. 조직도 (99년 12월 기준)
4. 자원봉사활성화 자체계획수립

ꊲ 주요사업내용
1. 자원봉사 홍보사업
2. 자원봉사자 모집․관리사업
3. 교육 및 학술사업
4. 전문자원봉사단 육성 운영
5. 조사 및 연구사업
6. 지역단체 연대사업
7. 자원봉사진흥 및 격려사업

ꊳ 2003년 주요사업
1. 2003대구자원봉사박람회(Daegu Volunteer Expo 2003) 개최
2. 2003 청소년 자원봉사학교 개최
3. 2003 대구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Dream for Unity:하나되는 꿈`

ꊴ 문제점, 과제 및 발전방안
1. 문제점
2. 과제 및 발전방안

ꊵ 방문 후기
1. 소감 1
2. 소감 2
3. 소감 3
4. 소감 4
5. 소감 5
6. 소감 6
7. 소감 7

본문내용

2층이라 쉽게 찾기가 쉽지 않을 것 같았고 마음 편히 드나들면서 때론 휴식공간, 때론 다른사람과 기쁨을 나눌 수 있기에는 현실이 너무 힘든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앞으로 사회복지가 발전하여 모든 사람이 서로 돕고 살면서 모두가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5. 소감5
8시까지 성당못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하러 오라는 팀장의 말에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남자들만 필요하다고 해서 11시까지 센터에 도착을 했다. 센터위치를 잘 몰라서 헤매면서 찾아갔었다. 나무에 가려서 센터이름이 있는 팻말도 잘 보이지 않았다. 2층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작은 규모에 사무실이었고 직원들도 회의하시는 중이라 보이지 않으셨다. 20여분 기다리고 있으니깐 선생님께서 들어오셨다. 우선 개괄적으로 센터에 대해서 설명해 주셨다.
대구광역시와 계약을 맺어 위탁받아서 운영을 하고 있다고....여러 가지 사업에 대해서도 말씀해 주셨다. U대회, 자원봉사박람회, 골목문화 등 여러 가지 일들을 많이 하고 있던 것 같았다. 여러 가지 사업에 대해서도 여쭤보고 했는데, 복지관에서의 그런 활기찬 모습들을 볼 수가 없었다. 솔직히 조금의 실망이 되었다. 그저 대구광역시에서 위탁받아서 해라는 일만 하고, 적극적으로 어떤 사업을 해야 하겠다는 모습들을 볼 수가 없었다. 너무 소극적으로 보였다.
이 센터 역시 사회복지기관들의 공통적인 문제점인 열악한 환경, 제한된 예산, 부족한 인력의 문제점들이 가지고 있었다. 환경의 제약을 받고 프로그램을 진행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예산, 이끌어 나가는 인력부족 등...이러한 현실들이 소극적인 자세들을 만들어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루 빨리 자원봉사영역도 법이 제대로 만들어져서 지원금도 많이 받고 창조적인 프로그램들을 많이 만들어 활발할 활동을 하기를 기대한다.
개인적으로 자원봉사센터에서 해야 할 일에 대한 것을 생각해 보았는데...자원봉사자들에게 마인드를 심어주는 교육을 정말 중요하게 여겼으면 하는 것이다. 여러 복지관에서도 많이 하는 자원봉사자 교육은 저도 받아봤지만 정말 형식적인 것들뿐이라고 생각한다. 어릴 적부터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몇 십년 후에 자원봉사자들이 될 것을 생각한다면 정말 중요한 영역이라고 생각했다.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흥미 있고 재미있는 자원봉사마인드 교육에 대해 개발하는 것이 어떨까? 개인적으로 한번 생각해 보았다.
사회복지기관들이 한국에서는 아직 힘들게 운영되고 있고 현실과 이상의 차이가 얼마나 큰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된 것 같다. 그러나 자원봉사에 대한 새싹이 자라나는 것을 보니 기대도 되고 내가 해야 할 일에 대한 책임감도 느끼게 되었다.
6. 소감6
담당자의설명으로 여러 가지를 알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자원봉사센터가 하고 있는 일과 역할 그리고 현시점에서 자원봉사센터의 문제점등을 알 수 있었다. 별다르게 관심이 없었던 자원봉사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학부에서 배울 때. 그저 선택과목으로 취급하고 있어 별다른 중요성이 없다고 인식한 나로써 자원봉사의 체계성에 대해서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사회복지와 다른 학문으로 발전되고 있다는 것도 처음으로 알 수 있게 되었다.
좀 더 선진국으로 발전할 수 있기 위해서는 자원봉사가 활성화되어야 된다는 생각을 그러기 위해서는 좀 더 나은 지식을 익혀야 된다고 생각이 들었다.
담당자가 아직도 우리나라에 자원봉사에 관한 법이 없어서 활성화에 어려움이 있다고 했는데 빨리 법이 만들어지고 체계적으로 교육을 받은 사람이 자원봉사센터를 운영해야 좀 더 우리나라의 자원봉사가 더 활발해 질거라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법이 없어서 운영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자원봉사센터에 근무하는 사람들에게 법제정이 빨리 되어 좀 더 나은 운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번 방문이 나에게는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
7. 소감7
이번 대구시자원봉사센터 방문에 앞서, 기관에 직접 전화를 하여 기관방문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담당 선생님과 상의를 했다. 11월 15일(토요일) 오전 11시로 정해졌는데, 마침 토요일에 “알뜰장터”라는 프로그램이 있어서 아침 8시부터 자원봉사를 먼저 시작하였다. 대구시종합자원봉사센터를 비롯하여 대구 YWCA 등 4~5개 기관이 함께 진행하는 “알뜰장터”라는 프로그램은 대구문화예술회관 입구 앞 도로변에서 재활용 장터를 열어 물건을 저렴한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일종의 벼룩시장처럼 보였다. 전화로 “알뜰장터”에 대해서 설명을 들었을 때보다, 그 규모나 시민들의 참여도가 훨씬 크고 높았다. 그리고 자원봉사자가 많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자원봉사자수가 너무 적었다. 물론, 이른 시간부터 프로그램이 진행되다 보니 어쩔 수 없겠지만, 이후에도 이렇게 자원봉사자의 수가 적다면,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복지관이나 정신보건센터와 같은 곳은 기관방문을 몇 번 가봤지만, 자원봉사센터는 이번이 처음이었다. 대구시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지만, 대구광역시와 전석복지재단과 의 계약을 통한 “민간위탁”의 방법으로 운영이 되고 있었다. 여러 가지 많은 질문을 했지만, 개인적으로 궁금했던 것은, 대구가 자원봉사의 도시로 발전하게 된 배경과, 대구시자원봉사센터의 역할부분이었다. 이 부분에 대한 답변을 들으면서 담당선생님께서 자원봉사에 대한 자부심을 많이 가지고 계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올해 대구에는 참 많은 일들이 일었다. 지하철화재참사, 그리고 2003대구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2003년 자원봉사박람회 등이 그것이다. 그때마다 대구시민들은 자원봉사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전국에서 세 손가락 안에 드는 자원봉사도시로 통한다고 하셨다. 센터의 역할부분에서 시내의 각 구센터와는 수직관계가 아닌 수평관계로 각각의 센터와 연계체계를 확립유지하고, 통합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셨다.
센터를 비롯하여 자원봉사의 영역이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되려면, 앞의 문제점부분에서도 지적되었듯이 관련법규의 제정이다. 관련법규의 제정이 선행되어진다면, 예산확보나, 기타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고, 자원봉사가 더 활성화 될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06.05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