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자마케팅의 개념
2. 부자마케팅의 의의
3.부자마케팅과 일반마케팅 프로세스상의 차이
4. 부자 마케팅과 일반마케팅 결과상의 차이
5. 금융서비스와 주거시설에서 나타나는 부자마케팅의 사례
2. 부자마케팅의 의의
3.부자마케팅과 일반마케팅 프로세스상의 차이
4. 부자 마케팅과 일반마케팅 결과상의 차이
5. 금융서비스와 주거시설에서 나타나는 부자마케팅의 사례
본문내용
의 경우 고소득 전문가집단 3만 명 가량을 표적고객으로 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VIP클럽을 운영하며, 이들에게 고급문화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에쿠스 구매자에게는 3년 6만km의 무보수정비프로그램, 정비 주치의 등을 제공하며, 정비 후 세차까지 한 후 승용차를 고객에게 인도하는 등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고품질의 서비스는 정비서비스가 상대적으로 약한 수입 고급승용차들과의 차별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보다 고급스러움과 세심함을 나타내 보이기 위한 것이다. 대우자동차에서도 체어맨과 아카디아 고객들을 위한 고급생활정보 클럽인 체어맨 클럽을 열고, 회원들에게 골프, 여행, 패션, 법률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롯데나 갤러리아와 같이 고소득층 고객을 많이 확보한 고급 백화점에서는 최고급 수입의류, 디자이너 브랜드, 모피 등으로 꾸며진 명품관을 고액 구매자를 대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명품관은 백화점의 상대적인 품격을 나타내는 기준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고소득층의 가장 두드러진 소비행태 중의 하나가 주거시설이다. 고소득층의 이와 같은 특징을 파악한 건설업체들이 최근 뉴욕 맨하턴의 고급아파트를 본 뜬 초호화 아파트들을 고소득층 대상으로 짓고 있다. 이들 아파트들은 90평에서 125평 규모로 평당 천만 원 이상에 분양되고 있으며, 20억 원이 넘는 가격에 분양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들 아파트들은 초고급 인테리어로 장식될 뿐만 아니라 아파트 주변환경과 부대시설도 고급호텔 수준으로 구성된다고 한다. 이들 아파트들은 대단위인 경우를 제외하면 적극적인 마케팅노력 없이 구전으로 분양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롯데나 갤러리아와 같이 고소득층 고객을 많이 확보한 고급 백화점에서는 최고급 수입의류, 디자이너 브랜드, 모피 등으로 꾸며진 명품관을 고액 구매자를 대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명품관은 백화점의 상대적인 품격을 나타내는 기준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고소득층의 가장 두드러진 소비행태 중의 하나가 주거시설이다. 고소득층의 이와 같은 특징을 파악한 건설업체들이 최근 뉴욕 맨하턴의 고급아파트를 본 뜬 초호화 아파트들을 고소득층 대상으로 짓고 있다. 이들 아파트들은 90평에서 125평 규모로 평당 천만 원 이상에 분양되고 있으며, 20억 원이 넘는 가격에 분양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들 아파트들은 초고급 인테리어로 장식될 뿐만 아니라 아파트 주변환경과 부대시설도 고급호텔 수준으로 구성된다고 한다. 이들 아파트들은 대단위인 경우를 제외하면 적극적인 마케팅노력 없이 구전으로 분양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추천자료
생각의속도
기업의 사회 기여
CHAPTER 14 Social Classes on Consumer Behavior
[기업경영]The Faceshop의 기업 전략 및 문제점 분석
나의꿈 10억 만들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MANCHESTER UNITED 경영전략 분석보고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게 배워라
'코카콜라는 어떻게 산타에게 빨간 옷을 입혔는가' 감상문
현대카드 슈퍼매치시리즈
준거집단이 관광자 및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사례 분석[A+추천 레포트★★★★★]
한정판,한정판이란,한정판의예,일반판,한정판의장단점,Limited Edition
[상류층의 생활] 상류사회계층의 다양한 행위가 사회, 문화적, 정치적, 경제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