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록 (目 錄)
- 백과사전적 의미
목록의 어의(語意)
목록의 의의
목 록 학 (目錄學)
- 백과사전적 의미
목록학의 어의(語意)
목록학의 의의
목록(目錄)과 목록학(目錄學)의 차이점
- 백과사전적 의미
목록의 어의(語意)
목록의 의의
목 록 학 (目錄學)
- 백과사전적 의미
목록학의 어의(語意)
목록학의 의의
목록(目錄)과 목록학(目錄學)의 차이점
본문내용
작성하고 그 자료를 활용하여 한 시대 또는 몇 시대에 걸쳐서 학술 전승의 계통을 정확히 밝히려는 것이다.
목록(目錄)과 목록학(目錄學)의 차이점
목록(目錄)은 "책의 편차와 요목을 정열해서 그 책의 요지를 간추려 기술한 것" 또는 "정보 자료의 검색용 도구"이며
목록학(目錄學)은 중국의 한대 말기(西漢)에 출현한 학문의 명칭으로서 "여러 책을 분류하고 이동을 구분하며, 대의를 밝히고, 동류를 소통시키며 학술을 분석하고 원류를 탐구해서 사람들로 하여금 책을 용이하게 얻어 볼 수 있도록 연구하는 전문학문"이다.
다시 말해 목록학은 현대적인 관점에서 문헌정보학의 원류라고 볼 수 있으며 목록과 목록학은 여기에서 그 의미가 전혀 다른 것이 된다.
참 고 문 헌.
이흥용 편저.「목록학」. 서울: 훈민, 1998. 563 p.
이흥용 편저.「목록학」. 서울: 훈민, 1998. p.p. 5-8.
최정태 등저.「목록 조직의 이론과 실제」. 부산: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9. 327 p.
최정태 등저.「목록 조직의 이론과 실제」 .부산: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9. p.p. 8-12.
金炫稙. "목록,"「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1989. v12.
목록(目錄)과 목록학(目錄學)의 차이점
목록(目錄)은 "책의 편차와 요목을 정열해서 그 책의 요지를 간추려 기술한 것" 또는 "정보 자료의 검색용 도구"이며
목록학(目錄學)은 중국의 한대 말기(西漢)에 출현한 학문의 명칭으로서 "여러 책을 분류하고 이동을 구분하며, 대의를 밝히고, 동류를 소통시키며 학술을 분석하고 원류를 탐구해서 사람들로 하여금 책을 용이하게 얻어 볼 수 있도록 연구하는 전문학문"이다.
다시 말해 목록학은 현대적인 관점에서 문헌정보학의 원류라고 볼 수 있으며 목록과 목록학은 여기에서 그 의미가 전혀 다른 것이 된다.
참 고 문 헌.
이흥용 편저.「목록학」. 서울: 훈민, 1998. 563 p.
이흥용 편저.「목록학」. 서울: 훈민, 1998. p.p. 5-8.
최정태 등저.「목록 조직의 이론과 실제」. 부산: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9. 327 p.
최정태 등저.「목록 조직의 이론과 실제」 .부산: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9. p.p. 8-12.
金炫稙. "목록,"「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1989. v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