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빈도분석>
<t-test>
<oneway anva : 일원변량분석>
<t-test와 oneway anova 함께 제시하기>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요인분석해서 척도 제시하기>
<t-test>
<oneway anva : 일원변량분석>
<t-test와 oneway anova 함께 제시하기>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요인분석해서 척도 제시하기>
본문내용
표준편차는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으나, 문항간에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중공선성을 보이는 문항들을 제외하고, 1, 3, 4, 5, 6, 7, 8, 10, 11, 12, 14, 16, 17,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2, 36, 37, 38의 27개 문항을 선정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부양행동이 5개의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요인간 상관관계가 .34에서 .65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의 이론에 근거하여 요인을 3개로 지정하여 요인분석 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차원의 부양행동 2요인과 부정적 서비스 1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3개의 부양행동 요인이 약 57%정도의 설명력을 가진다. 이 과정에서 요인 부하량 값이 .4이하이거나, 다른 요인과 .4이상으로 걸리는 4문항과 타당성이 떨어지는 5개의 문항을 제외하여, 총 18문항이 최종적으로 선별되었다 (표 1)긍정적인 차원의 부양행동은 정서적 부양행동과 도구적 부양행동으로 나누어져, 사회적 지지의 두 요인이 부양행동에서도 확인되었다.
‘정서적 부양행동’ 요인에는 친밀감, 존중 등과 관련된 정서적 부양행동과 노인이 현실에 적응하고, 결단 내릴 수 있게 자극하는 정보적 부양행동이 포함되었다. 사회적 지지의 이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보적 지지가 정서적 지지에 포함되기 때문에, 정보적 부양행동이 정서적 부양행동에 포함되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도구적 부양행동’는 부양자로부터 받는 구체적이면서도 실제적인 보조들이다. 청소, 빨래, 집안 일 등을 대신해주거나, 식사나 세수 목욕 등을 도와주는 것으로, 노인이 기능 취약성으로 인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부양자로부터 과업중심적인 부양행동을 제공받는 것을 의미한다. ‘부정적 부양행동’는 노인이 부양자로 부터 부정적이면서 스트레스가 되는 부양행동을 제공받는 것을 의미한다. 각 요인들의 내적일치도를 보기 위해 Cronbach의 alpha 계수를 측정하였다. 정서적 부양행동은 .89, 도구적 부양행동은 .84, 부정적 부양행동은 .82 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하위 요인들의 독립성을 살펴보기 위해 요인간 상관관계 분석 (표 4) 을 한 결과, 정서적 부양행동과 도구적 부양행동, 부정적 부양행동간의 상관관계가 .34 에서 .47로 나타나서, 각 하위 요인이 상관이 있으면서 비교적 독립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위요인간에 중간정도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은 대부분 동거 (80%) 하는 한 가족원으로부터 부양행동을 제공받기 때문으로 한 차원의 부양행동에 다른 차원의 부양행동이 수반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정적 부양행동과 정서적 부양행동은 -.38, 부정적 부양행동과 도구적 부양행동은 -.34로 나타났는데, 긍정적인 차원의 사회적 지지와 부정적인 차원의 사회적 지지간에 상관관계가 높지 않다는 선행연구들 (참고, Rook, 1997) 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분석에서 부양행동을 3개의 하위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표 1> 노인이 지각하는 주부양자로부터 제공받는
긍정적 부정적차원의 부양행동 요인별 신뢰도
요 인
문 항 내 용
신뢰도
긍정적인 차원의 부양행동
정서적
부양행동
6. 내가 즐겁도록 바둑이나 장기 등 함께 오락 시간을 가졌다
11. 나와 외식을 해 주었다
5. 내가 어려운 일이나 괴로움이 생겼을 때 조언을 주거나
문제를 해결해 주었다
14. 함께 있으면 친밀감을 느끼게 해 주었다
4. 내가 외롭지 않게 방문하거나 이야기를 나눠 주었다
21. 내가 현실을 이해하고 사회생활에 적응할 수 있게끔
도와주었다
16. 내가 배울점이 많은 존경할 만한 사람이라고 느끼게 해
주었다
7. 내게 시사적인 얘기나 최근의 뉴스를 이야기해 주었다
12. 내가 친목회 등의 모임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배려해
주었다
.89
도구적
부양행동
25. 나의 식사, 세수나 용변, 취침 또는 집안에서의 거동을
도왔다
8. 내 식사준비, 청소, 빨래, 집안 일 등을 해 주었다
23. 내가 몸져 누웠을 때 나의 일을 대신해 주었다
26. 영수증 처리, 현금관리 등을 도왔다
22. 내가 필요로 하는 물건이 있으면 언제라도 빌려주었다
.84
부정적인 차원의 부양행동
부정적
부양행동
38. 다른 사람으로부터 도움을 받지 못하게 막았다
32. 마음에 상처가 되는 말이나 행동을 했다
28. 도와주겠다고 하고서는 도와주지 않았다
27. 밖에서 내 흉을 보았다
.82
요인 분석 결과 부양행동이 5개의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요인간 상관관계가 .34에서 .65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의 이론에 근거하여 요인을 3개로 지정하여 요인분석 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차원의 부양행동 2요인과 부정적 서비스 1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3개의 부양행동 요인이 약 57%정도의 설명력을 가진다. 이 과정에서 요인 부하량 값이 .4이하이거나, 다른 요인과 .4이상으로 걸리는 4문항과 타당성이 떨어지는 5개의 문항을 제외하여, 총 18문항이 최종적으로 선별되었다 (표 1)긍정적인 차원의 부양행동은 정서적 부양행동과 도구적 부양행동으로 나누어져, 사회적 지지의 두 요인이 부양행동에서도 확인되었다.
‘정서적 부양행동’ 요인에는 친밀감, 존중 등과 관련된 정서적 부양행동과 노인이 현실에 적응하고, 결단 내릴 수 있게 자극하는 정보적 부양행동이 포함되었다. 사회적 지지의 이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보적 지지가 정서적 지지에 포함되기 때문에, 정보적 부양행동이 정서적 부양행동에 포함되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도구적 부양행동’는 부양자로부터 받는 구체적이면서도 실제적인 보조들이다. 청소, 빨래, 집안 일 등을 대신해주거나, 식사나 세수 목욕 등을 도와주는 것으로, 노인이 기능 취약성으로 인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부양자로부터 과업중심적인 부양행동을 제공받는 것을 의미한다. ‘부정적 부양행동’는 노인이 부양자로 부터 부정적이면서 스트레스가 되는 부양행동을 제공받는 것을 의미한다. 각 요인들의 내적일치도를 보기 위해 Cronbach의 alpha 계수를 측정하였다. 정서적 부양행동은 .89, 도구적 부양행동은 .84, 부정적 부양행동은 .82 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하위 요인들의 독립성을 살펴보기 위해 요인간 상관관계 분석 (표 4) 을 한 결과, 정서적 부양행동과 도구적 부양행동, 부정적 부양행동간의 상관관계가 .34 에서 .47로 나타나서, 각 하위 요인이 상관이 있으면서 비교적 독립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위요인간에 중간정도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은 대부분 동거 (80%) 하는 한 가족원으로부터 부양행동을 제공받기 때문으로 한 차원의 부양행동에 다른 차원의 부양행동이 수반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정적 부양행동과 정서적 부양행동은 -.38, 부정적 부양행동과 도구적 부양행동은 -.34로 나타났는데, 긍정적인 차원의 사회적 지지와 부정적인 차원의 사회적 지지간에 상관관계가 높지 않다는 선행연구들 (참고, Rook, 1997) 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분석에서 부양행동을 3개의 하위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표 1> 노인이 지각하는 주부양자로부터 제공받는
긍정적 부정적차원의 부양행동 요인별 신뢰도
요 인
문 항 내 용
신뢰도
긍정적인 차원의 부양행동
정서적
부양행동
6. 내가 즐겁도록 바둑이나 장기 등 함께 오락 시간을 가졌다
11. 나와 외식을 해 주었다
5. 내가 어려운 일이나 괴로움이 생겼을 때 조언을 주거나
문제를 해결해 주었다
14. 함께 있으면 친밀감을 느끼게 해 주었다
4. 내가 외롭지 않게 방문하거나 이야기를 나눠 주었다
21. 내가 현실을 이해하고 사회생활에 적응할 수 있게끔
도와주었다
16. 내가 배울점이 많은 존경할 만한 사람이라고 느끼게 해
주었다
7. 내게 시사적인 얘기나 최근의 뉴스를 이야기해 주었다
12. 내가 친목회 등의 모임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배려해
주었다
.89
도구적
부양행동
25. 나의 식사, 세수나 용변, 취침 또는 집안에서의 거동을
도왔다
8. 내 식사준비, 청소, 빨래, 집안 일 등을 해 주었다
23. 내가 몸져 누웠을 때 나의 일을 대신해 주었다
26. 영수증 처리, 현금관리 등을 도왔다
22. 내가 필요로 하는 물건이 있으면 언제라도 빌려주었다
.84
부정적인 차원의 부양행동
부정적
부양행동
38. 다른 사람으로부터 도움을 받지 못하게 막았다
32. 마음에 상처가 되는 말이나 행동을 했다
28. 도와주겠다고 하고서는 도와주지 않았다
27. 밖에서 내 흉을 보았다
.82
추천자료
사회적 행위에 대한 이해 : 해석하고 이해하는 사회학(리케르트, 막스베버의 해석학에 관하여)
김동인의 「무지개」를 역사주의 비평과 형식주의 비평으로 해석하고 어느 하나로는 해석이 ...
[법학/헌법판례A+] 변형결정과 합헌적 법률해석과의 관계와 합헌적 법률해석으로서의 한정위...
ANSYS 명령어 - 하중해석을 위한 명령어 해석
[문학의 재 해석] 흥부와 놀부의 재탄생 : 흥부전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자본주의 관점에서 ...
[작품 및 해석] 피드닥터 감독의 작품 3D애니메이션 UP의 정보 및 해석
기계공학 실험 - 성형해석과 성형실험, 다른 하중하의 성형해석 비교 실험
[미술치료] LMT의 실시와 해석(풍경구성법LMT의 진단과 이해).PPT자료 - 검사장소, 도구, 지...
만다라[mandala 曼茶羅] 연구 - 문자적 해석(방황하는 불교), 종교적 해석(불교와 사회 의식)
[문학교육]해석에 개입하는 허구성-이문열의 \'황제를 위하여\'를 대상으로 (양식 측면의 의...
[기초회로실험] 신호모델 및 해석 : 시스템과 입출력 신호와의 이론적 관계 이해 & RC, R...
[기독교와 심리학] 정통적인 성격 해석 방법을 떠받치는 해석학적 기본 원리
[간호학] Dr order 해석 및 이론적 근거 통합검사 결과 해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