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변형되는 시기이다. 이는 서기전 2000년에서 1000년가지의 대략 1,000년간이다. 후기에 속하는 것으로, 서해안지역에 있어서는 기복부,저부문 생략형 토기가 출토되는 궁산리, 지탑리 상층 및 도서지방의 패총유적, 동해안지역에서는 굴포리 후기층, 그리고 남해안지역에서는 이중구연토기와 구연부에만 국한하여 시문하는 퇴화된 빗살무늬토기가 주류를 이루는 영도기이다.
*연구사와 전망*
빗살무늬토기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일본인 학자 토리이가1916년 황해도 용반리유적, 경기도 시도패총 등을 조사함으로써 한반도 서해안지역에서 개시되었다. 그 뒤 후지타*요코야마*아리미쓰 등에 의하여, 1925년 암사동, 1930년 부산 동삼동패총, 1932년 동북지역의 유판패총 등이 조사됨으로 써, 한반도 전체의 빗살무늬토기에 관한 윤곽이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1945년까지의 고고학 발굴조사는 주로 역사시대의 고분발굴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신석기시대에 관한 것은 수적으로나 내용면에서 빈약함을 면하지 못하였다. 이때의 주된 관심은 한국의 선사시대 토기 중 주로 빗살무늬토기와 무문토기와의 관계규명에 그 초점이 놓여 있었다. 이 두 종류의 토기문화 중 전자가 주로 해안이나 강가 그리고 도서지방에 널리분포되어 있고, 후자는 주로 내륙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동일인종의 같은 시대에 있어서 생활양식상의 차이에 기인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하고, 빗살무늬토기가 남한지역에 편재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지역적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해석하려 하기도 하였다. 한편, 이와같은 양종의 토기문화를 같은 시대의 것으ㅡ로 보려는견해와는 달리, 양자가 시간적 선후관계를 가지고 성립되었던 것으로 보려는 견해도 있었다. 그 중에서 후지타는 1930년에 한반도의 빗살무늬토기가 북유럽을 중심으로 성행하였던 캄케라믹이 동쪽으로 전파되어 시베리아를 거쳐 유입된 것이라는 내용의 전파설을 제창하였다. 요코야마도 같은 견해에서, 한국 빗살무늬토기는 시베리아의 연해주지역>한국 동북지역>남해안지역>서해안지역의 방향으로 전파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이상과 같이, 종전의 연구는 단지 빗살무늬토기와 무문토기양종의 토기형식만을 설정한 뒤 , 설정된 내용의 범위 안에서 논의가 이루어 졌으며, 빗살무늬토기에 관하여도 개개의 유적이나 지역을 하나의 독립된 단위로 하여 그 상호 간의 선후관계 구명에 노력을 기울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하여 결국 이와같은 연구양상은 빗살무늬토기 자체의 선후관계 진전을 가져오지 못한 큰 원인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광복 후, 우리나라 학자에 의하여 유적 발굴조사가 개시되면서, 남한과 북한에서는 각각 신석기유적에 대한 대규모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서해안지역에 있어서는 궁산리*지탑리*암사동이, 남해안지역에서는 동삼동*수가리, 그리고 동해안지역에서는 굴포리 서포항*양양 오산리 등이 발굴 조사되었다. 특히, 암사동*동삼동*서포항*오산리유적의 발굴에서는 빗살무늬토기 자체의 상호간 선후관계를 보여주는 층위적 증거가 제시되어 신석기시대의 문화변천양상 구명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연구사와 전망*
빗살무늬토기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일본인 학자 토리이가1916년 황해도 용반리유적, 경기도 시도패총 등을 조사함으로써 한반도 서해안지역에서 개시되었다. 그 뒤 후지타*요코야마*아리미쓰 등에 의하여, 1925년 암사동, 1930년 부산 동삼동패총, 1932년 동북지역의 유판패총 등이 조사됨으로 써, 한반도 전체의 빗살무늬토기에 관한 윤곽이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1945년까지의 고고학 발굴조사는 주로 역사시대의 고분발굴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신석기시대에 관한 것은 수적으로나 내용면에서 빈약함을 면하지 못하였다. 이때의 주된 관심은 한국의 선사시대 토기 중 주로 빗살무늬토기와 무문토기와의 관계규명에 그 초점이 놓여 있었다. 이 두 종류의 토기문화 중 전자가 주로 해안이나 강가 그리고 도서지방에 널리분포되어 있고, 후자는 주로 내륙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동일인종의 같은 시대에 있어서 생활양식상의 차이에 기인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하고, 빗살무늬토기가 남한지역에 편재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지역적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해석하려 하기도 하였다. 한편, 이와같은 양종의 토기문화를 같은 시대의 것으ㅡ로 보려는견해와는 달리, 양자가 시간적 선후관계를 가지고 성립되었던 것으로 보려는 견해도 있었다. 그 중에서 후지타는 1930년에 한반도의 빗살무늬토기가 북유럽을 중심으로 성행하였던 캄케라믹이 동쪽으로 전파되어 시베리아를 거쳐 유입된 것이라는 내용의 전파설을 제창하였다. 요코야마도 같은 견해에서, 한국 빗살무늬토기는 시베리아의 연해주지역>한국 동북지역>남해안지역>서해안지역의 방향으로 전파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이상과 같이, 종전의 연구는 단지 빗살무늬토기와 무문토기양종의 토기형식만을 설정한 뒤 , 설정된 내용의 범위 안에서 논의가 이루어 졌으며, 빗살무늬토기에 관하여도 개개의 유적이나 지역을 하나의 독립된 단위로 하여 그 상호 간의 선후관계 구명에 노력을 기울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하여 결국 이와같은 연구양상은 빗살무늬토기 자체의 선후관계 진전을 가져오지 못한 큰 원인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광복 후, 우리나라 학자에 의하여 유적 발굴조사가 개시되면서, 남한과 북한에서는 각각 신석기유적에 대한 대규모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서해안지역에 있어서는 궁산리*지탑리*암사동이, 남해안지역에서는 동삼동*수가리, 그리고 동해안지역에서는 굴포리 서포항*양양 오산리 등이 발굴 조사되었다. 특히, 암사동*동삼동*서포항*오산리유적의 발굴에서는 빗살무늬토기 자체의 상호간 선후관계를 보여주는 층위적 증거가 제시되어 신석기시대의 문화변천양상 구명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