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첨부자료
<차트 1> 국제원유 현물가격 변동 추이
Ⅱ 본론
1. 현 고유가의 원인
첨부자료
<표 1> 1, 2차 오일쇼크 요약
<차트 2> 세계 석유 수요 증가량
<차트 3> 중국의 원유수요 증가분 비중
<차트 4> 세계 석유 수요공급 현황 및 전망
2. 고유가가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
첨부자료
<표 2> 1, 2차 오일쇼크 당시 주요국 성장률 및 물가상승률
<표 3> 고유가 지속시 세계경제 전망
3. 고유가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첨부자료
<표 4> 1인당 에너지 소비량
<표 5> 유가변동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차트 5> 고유가가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표 6> 유가인상의 산업별 파급효과 단위 : %)
Ⅲ 결론
첨부자료
<차트 1> 국제원유 현물가격 변동 추이
Ⅱ 본론
1. 현 고유가의 원인
첨부자료
<표 1> 1, 2차 오일쇼크 요약
<차트 2> 세계 석유 수요 증가량
<차트 3> 중국의 원유수요 증가분 비중
<차트 4> 세계 석유 수요공급 현황 및 전망
2. 고유가가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
첨부자료
<표 2> 1, 2차 오일쇼크 당시 주요국 성장률 및 물가상승률
<표 3> 고유가 지속시 세계경제 전망
3. 고유가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첨부자료
<표 4> 1인당 에너지 소비량
<표 5> 유가변동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차트 5> 고유가가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표 6> 유가인상의 산업별 파급효과 단위 : %)
Ⅲ 결론
본문내용
욱 커질 것이다.
그러나 유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할 때에는 경제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상승할 때 성장둔화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현재의 고유가가 경제에 얼마나 악영향을 미칠 것인지는 고유가 상황이 일시적인 것으로 끝날 것인지, 아니면 장기간 지속될 것인지 여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3. 고유가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의 경제규모는 세계 13위이다. 그러나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0위이고, 소비증가율은 세계 1위이다. 또한 에너지 소비증가율 9.3%, 경제 성자률 10.2%로 적정 에너지 소비증가율 겅제성장률의 1/2 수준
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국민소득 대비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을 보면 미국의 2배, 일본의 4배 수준에 달한다. 이처럼 한국은 세계 최고의 에너지 다소비 국가이다.
<표 4> 1인당 에너지 소비량
(단위 : US달러)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프랑스
영 국
독 일
대 만
TOE TOE (Tone of Equivalence)는 원유 1톤이 갖고 있는 열량으로 107㎉
/인
3.57
7.94
3.96
4.25
3.87
4.11
3.53
1인당 GDP
12,649
32,380
30,235
24,745
23,884
26,291
12,242
1인당 에너지소비 (GDP 1만달러)
5.22
2.45
1.31
1.72
1.62
1.56
2.89
에너지 경제연구원
1) 고유가 지속시 물가상승, 성장률 둔화, 경상수지 적자의 3중고
유가가 오르면 기업들이 제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생산비가 증가한다. 특히 석유제품의 생산비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제품의 가격 또한 동반 상승하게 되고, 전반적인 물가수준이 상승한다. 이러한 가격 인상에 따른 수요의 감수로 성장률이 둔화된다.
<표 5> 유가변동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기관
유가 변동
수비자물가
상승
경제성장률
하락
경상수지 악화
삼성 경제연구소
1달러 상승시
0.2%
0.12%
7.5억달러
에너지 경제연구원
25% 상승시
1.62%
0.44%
38.8억달러
산업자원부
1달러 상승시
0.1~0.17%
-
10억달러
삼성경제연구소, 에너지 경제연구원, 산업자원부
도매 물가는 1차 오일쇼크시 44.6% 상승하였고, 2차 오일쇼크시 44.2% 상승하였었다.
또한 Cost Push형 인플레이션 비용의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물가상승
과 더불어 경기침체와 고실업을 야기한다. 1차 오일쇼크때는 성장률이 4.7% 감소하였고, 실업률 4.1%를 기록하였다. 2차 오일쇼크때는 성장률 9.8%감소하고, 실업률이 5.2%에 달했다.
<차트 5> 고유가가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삼성경제연구소, 고유가시대의 도래와 국내 산업의 대응, 2000
2) 산업별 파급정도
파급정도는 산업특성에 따라 차별적이다. 고유가의 산업별 파급 정도는 비용인상분의 가격전가 가능성, 석유제품의 투입비중, 소득탄력성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중 정유, 석유화학, 전력 등은 석유제품의 투입비중이 높아 1차적인 영향을 받는다. 운수 및 보관, 음식점 및 숙박, 도소매 등의 서비스업은 유류 투입비중이 높고 소득탄력성이 높아 수요가 급감하는 경향을 띈다.
자동차, 전기전자, 섬유 등도 매출감소가 예상된다. 원유가격이 오르고 그에 따라 휘발유가격이 인상되면 차량유지비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인플레이션의 실질소득 감소도 자동차 내수시장을 축소시키는데 한몫할 것이다. 1, 2차 오일쇼크 당시 유가 인상에 따라 승용차의 신규수요가 급감하였었다. 경유 및 LPG가격 또한 인상되어 SUV 자동차의 내수가 침체된다. 세계경기 침체로 인해 수요감소로 인해 국내업계의 수출감소가 불가피하다. 2차오일 쇼크 당시 국내업계의 자동차 수술츤 20.6% 감수하였다.
가전 및 컴퓨터는 최종소비재의 특성상 유가의 직접적인 영향은 적게 받지만, 물가인상, 금리상승, 경기침체 등이 구매력 감소를 유발한다. 가전 업계는 고유가보다는 소비, 환율, 물가 등 복합적인 경기둔화 요인을 더 우려하고 있다.
섬유의 경우 유가상승으로 인해 합섬원료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어 합섬 및 직물업계의 원가부담이 가중되게 된다. 그러나 공급과잉, 직물시장 악화 등의 영향으로 제품가 인상도 어려월 것이다.
조선, 일반기계, 건설의 경우는 경기변동 및 수급상황이 변수로 작용하는데, 조선의 경우에는 LNG선의 수요 증가, 원유시추선 건조 등의 효과로 오히려 호기를 맞을 수 있다.
<표 6> 유가인상의 산업별 파급효과 단위 : %)
석유제품투입비중
소득탄력성
가격전가가능성
비 고
제 1그룹
(소재에너지)
석유석탄제품
5.9
낮음
높음
단기적으로는 유가인상에 대한 가격전가로 큰 충격은 없음
장기적으로는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감소
화학제품
7.5
낮음
높음
전기가스수도
18.2
낮음
높음
철강
1.4
낮음
높음
제 2그룹
(서비스)
운수보관
24.1
높음
낮음
단기적으로 유가인상으로 인한 수익성 저하
장기적으로는 소득감소로 인한 수요감소가 큼
음식점숙박
9.9
높음
낮음
도소매
5.4
높음
낮음
제 3그룹
(최종재)
자동차
0.6
높음
높음
석유제품의 중간투입비중은 낮아 직접적인 영향은 낮음
소득탄력성이 높아 소득감소로 인한 수요감소가 큼
전기전자
0.4
높음
높음
섬유가죽
1.4
높음
낮음
제 4그룹
(자본재)
조선
0.6
낮음
낮음
석유제품 투입비중 및 소득탄력성이 낮아 영향이 적음
건설 및 일반기계는 경기침체시 큰 영향이 우려
일반기계
1.0
낮음
낮음
조선
1.0
낮음
낮음
고유가시대의 도래와 국내산업의 대응, CEO Infomation, 삼성경제연구소, 김정호, 2000.10
Ⅲ 결론
고유가 시대를 맞아, 에너지 절약형 산업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에너지 효율성은 단순한 비용이 아닌 산업의 경쟁력과 환경친화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공정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산업구조 자체를 고부가화하는 것이 궁극적인 해결책이다. 이를 위해 에너지 절약형 기술개발과 설비투자를 확대하고 가전제품과 자동차 뿐만아니라 건축물에도 에너지 등급제를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적극적으로 해외 에너지원과 대체 에너지원을 개발 및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유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할 때에는 경제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상승할 때 성장둔화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현재의 고유가가 경제에 얼마나 악영향을 미칠 것인지는 고유가 상황이 일시적인 것으로 끝날 것인지, 아니면 장기간 지속될 것인지 여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3. 고유가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의 경제규모는 세계 13위이다. 그러나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0위이고, 소비증가율은 세계 1위이다. 또한 에너지 소비증가율 9.3%, 경제 성자률 10.2%로 적정 에너지 소비증가율 겅제성장률의 1/2 수준
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국민소득 대비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을 보면 미국의 2배, 일본의 4배 수준에 달한다. 이처럼 한국은 세계 최고의 에너지 다소비 국가이다.
<표 4> 1인당 에너지 소비량
(단위 : US달러)
구 분
한 국
미 국
일 본
프랑스
영 국
독 일
대 만
TOE TOE (Tone of Equivalence)는 원유 1톤이 갖고 있는 열량으로 107㎉
/인
3.57
7.94
3.96
4.25
3.87
4.11
3.53
1인당 GDP
12,649
32,380
30,235
24,745
23,884
26,291
12,242
1인당 에너지소비 (GDP 1만달러)
5.22
2.45
1.31
1.72
1.62
1.56
2.89
에너지 경제연구원
1) 고유가 지속시 물가상승, 성장률 둔화, 경상수지 적자의 3중고
유가가 오르면 기업들이 제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생산비가 증가한다. 특히 석유제품의 생산비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제품의 가격 또한 동반 상승하게 되고, 전반적인 물가수준이 상승한다. 이러한 가격 인상에 따른 수요의 감수로 성장률이 둔화된다.
<표 5> 유가변동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기관
유가 변동
수비자물가
상승
경제성장률
하락
경상수지 악화
삼성 경제연구소
1달러 상승시
0.2%
0.12%
7.5억달러
에너지 경제연구원
25% 상승시
1.62%
0.44%
38.8억달러
산업자원부
1달러 상승시
0.1~0.17%
-
10억달러
삼성경제연구소, 에너지 경제연구원, 산업자원부
도매 물가는 1차 오일쇼크시 44.6% 상승하였고, 2차 오일쇼크시 44.2% 상승하였었다.
또한 Cost Push형 인플레이션 비용의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물가상승
과 더불어 경기침체와 고실업을 야기한다. 1차 오일쇼크때는 성장률이 4.7% 감소하였고, 실업률 4.1%를 기록하였다. 2차 오일쇼크때는 성장률 9.8%감소하고, 실업률이 5.2%에 달했다.
<차트 5> 고유가가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삼성경제연구소, 고유가시대의 도래와 국내 산업의 대응, 2000
2) 산업별 파급정도
파급정도는 산업특성에 따라 차별적이다. 고유가의 산업별 파급 정도는 비용인상분의 가격전가 가능성, 석유제품의 투입비중, 소득탄력성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중 정유, 석유화학, 전력 등은 석유제품의 투입비중이 높아 1차적인 영향을 받는다. 운수 및 보관, 음식점 및 숙박, 도소매 등의 서비스업은 유류 투입비중이 높고 소득탄력성이 높아 수요가 급감하는 경향을 띈다.
자동차, 전기전자, 섬유 등도 매출감소가 예상된다. 원유가격이 오르고 그에 따라 휘발유가격이 인상되면 차량유지비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인플레이션의 실질소득 감소도 자동차 내수시장을 축소시키는데 한몫할 것이다. 1, 2차 오일쇼크 당시 유가 인상에 따라 승용차의 신규수요가 급감하였었다. 경유 및 LPG가격 또한 인상되어 SUV 자동차의 내수가 침체된다. 세계경기 침체로 인해 수요감소로 인해 국내업계의 수출감소가 불가피하다. 2차오일 쇼크 당시 국내업계의 자동차 수술츤 20.6% 감수하였다.
가전 및 컴퓨터는 최종소비재의 특성상 유가의 직접적인 영향은 적게 받지만, 물가인상, 금리상승, 경기침체 등이 구매력 감소를 유발한다. 가전 업계는 고유가보다는 소비, 환율, 물가 등 복합적인 경기둔화 요인을 더 우려하고 있다.
섬유의 경우 유가상승으로 인해 합섬원료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어 합섬 및 직물업계의 원가부담이 가중되게 된다. 그러나 공급과잉, 직물시장 악화 등의 영향으로 제품가 인상도 어려월 것이다.
조선, 일반기계, 건설의 경우는 경기변동 및 수급상황이 변수로 작용하는데, 조선의 경우에는 LNG선의 수요 증가, 원유시추선 건조 등의 효과로 오히려 호기를 맞을 수 있다.
<표 6> 유가인상의 산업별 파급효과 단위 : %)
석유제품투입비중
소득탄력성
가격전가가능성
비 고
제 1그룹
(소재에너지)
석유석탄제품
5.9
낮음
높음
단기적으로는 유가인상에 대한 가격전가로 큰 충격은 없음
장기적으로는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감소
화학제품
7.5
낮음
높음
전기가스수도
18.2
낮음
높음
철강
1.4
낮음
높음
제 2그룹
(서비스)
운수보관
24.1
높음
낮음
단기적으로 유가인상으로 인한 수익성 저하
장기적으로는 소득감소로 인한 수요감소가 큼
음식점숙박
9.9
높음
낮음
도소매
5.4
높음
낮음
제 3그룹
(최종재)
자동차
0.6
높음
높음
석유제품의 중간투입비중은 낮아 직접적인 영향은 낮음
소득탄력성이 높아 소득감소로 인한 수요감소가 큼
전기전자
0.4
높음
높음
섬유가죽
1.4
높음
낮음
제 4그룹
(자본재)
조선
0.6
낮음
낮음
석유제품 투입비중 및 소득탄력성이 낮아 영향이 적음
건설 및 일반기계는 경기침체시 큰 영향이 우려
일반기계
1.0
낮음
낮음
조선
1.0
낮음
낮음
고유가시대의 도래와 국내산업의 대응, CEO Infomation, 삼성경제연구소, 김정호, 2000.10
Ⅲ 결론
고유가 시대를 맞아, 에너지 절약형 산업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에너지 효율성은 단순한 비용이 아닌 산업의 경쟁력과 환경친화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공정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산업구조 자체를 고부가화하는 것이 궁극적인 해결책이다. 이를 위해 에너지 절약형 기술개발과 설비투자를 확대하고 가전제품과 자동차 뿐만아니라 건축물에도 에너지 등급제를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적극적으로 해외 에너지원과 대체 에너지원을 개발 및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삼성 홈플러스의 경영전략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이라크 전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WTO가입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국 위안화 평가절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위엔화(위안화)절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국 위안화 평가절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및 대안
[이라크]이라크전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경제학개론(서브프라임 모기지가 한국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미 fta 체결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환율의 불안정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
일본 대지진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 기업의 해외 이전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