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경성 식욕부진증
1.역학
2.원인
3.임상양상
4.신체적증상
5.진단
6.감별진단
7.경과 및 예후
8.치료
*신경성 대식증
1.역학
2.원인
3.임상양상
4.신체적증상
5.진단
6.감별진단
7.경과 및 예후
8.치료
1.역학
2.원인
3.임상양상
4.신체적증상
5.진단
6.감별진단
7.경과 및 예후
8.치료
*신경성 대식증
1.역학
2.원인
3.임상양상
4.신체적증상
5.진단
6.감별진단
7.경과 및 예후
8.치료
본문내용
도 증가,
5.진단
DSM-4의 진단기준
A. 폭식의 삽화가 반복된다
(1)일정한 시간 동안, 일반인들이 유사한 상황에서 같은 시간에 AJRSAMS 것보다 분명하게 많은 양의 음식을 먹는다.
(2)삽화 동안 섭식에 대한 조절 능력의 상실감이 있다.
B. 체중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부적절한 보상 행동(스스로 유도한 구토, 하제/이뇨 제/관장약/기타 약물의 남용, 금식이나 과도한 운동)을 반복한다.
C. 폭식과 부적절한 보상 행동 모두 평균적으로 적어도 1주 2회씩 3개월 동안 일 어난다.
D. 체형과 체중이 자아 평가에 과도한 영향을 미친다.
F. 이 장애가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삽화 동안에만 발생되는 것은 아니다.
6.감별진단
-신경성 식욕부진증
-경계성 인격장애
-폭식을 보이는 신경학적 질환 : 경련성 장애, 중추신경계 종양
7.경과 및 예후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경과를 밟는다.
저절로 없어지기도 하지만 재발이 흔하다.
예후 : 하제사용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이 있거나, 알코올 중독이나 경계성 인 격장애가 동반된 경우 예후가 나쁘다.
8.치료
입원치료까지 필요한 경우는 드물다.
약물치료(항우울제)와 인지행동 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
집단치료.
5.진단
DSM-4의 진단기준
A. 폭식의 삽화가 반복된다
(1)일정한 시간 동안, 일반인들이 유사한 상황에서 같은 시간에 AJRSAMS 것보다 분명하게 많은 양의 음식을 먹는다.
(2)삽화 동안 섭식에 대한 조절 능력의 상실감이 있다.
B. 체중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부적절한 보상 행동(스스로 유도한 구토, 하제/이뇨 제/관장약/기타 약물의 남용, 금식이나 과도한 운동)을 반복한다.
C. 폭식과 부적절한 보상 행동 모두 평균적으로 적어도 1주 2회씩 3개월 동안 일 어난다.
D. 체형과 체중이 자아 평가에 과도한 영향을 미친다.
F. 이 장애가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삽화 동안에만 발생되는 것은 아니다.
6.감별진단
-신경성 식욕부진증
-경계성 인격장애
-폭식을 보이는 신경학적 질환 : 경련성 장애, 중추신경계 종양
7.경과 및 예후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경과를 밟는다.
저절로 없어지기도 하지만 재발이 흔하다.
예후 : 하제사용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이 있거나, 알코올 중독이나 경계성 인 격장애가 동반된 경우 예후가 나쁘다.
8.치료
입원치료까지 필요한 경우는 드물다.
약물치료(항우울제)와 인지행동 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
집단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