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릿말
Ⅱ.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개관 및 특징
1.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기본이념
2.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주요내용
Ⅲ.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운영실태
1. 가입자의 실태
Ⅳ.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실적평가와 향후대책
1. 개호보험제도 실시이후 고령자개호의 실태
2. 향후과제
Ⅴ. 맺는말
Ⅱ.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개관 및 특징
1.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기본이념
2.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주요내용
Ⅲ.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운영실태
1. 가입자의 실태
Ⅳ.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실적평가와 향후대책
1. 개호보험제도 실시이후 고령자개호의 실태
2. 향후과제
Ⅴ. 맺는말
본문내용
냐가 향후 검토과제의 중심이다.
3) 치매성고령자의 케어모델 확립
일반적으로 개호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여도 치매성 고령자가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써 생활을 지내는 것은 다음 2가지 요인 때문에 쉽지만은 않은데, 그 하나는 개호보험, 특히 케어 매니지먼트의 도입으로 신체기능의 장애에 대한 케어는 이동, 식사, 목욕 등과 같은 신체적 개호가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체제가 마련되어 있으나, 치매에 대해서는 연계적이고 조직적인 케어가 그룹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고 있을 뿐이고 아직은 보편화되어 있지 못하다. 두 번째는 대상자본인이 주변상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으로 해서 발생되는 불안, 혼란, 인간관계의 부조화 등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가 갖추어져 있지 못하다. 이러한 실태를 감안하여 우선적으로 치매성고령자 케어를 보편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즉, 대화가 어렵고 환경의 영향을 받기 쉬운 치매성고령자를 케어하는 데에 환경을 중시하면서 철저하게 본인위주의 접근방법을 추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개호서비스를 담당하는 모든 사업자나 종사자에 대해서 연수 등을 통하여 치매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이해를 습득하고 전문성과 자질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치매성 고령자는 스스로 의료기관에 가서 진단 및 검진을 받는 경우가 거의 희박하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고서야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어 사전적인 조기발견과 치료를 통한 효과적 서비스제공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주치의 등 전문직이 치매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진단과 서비스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4) 개호서비스 질의 확보 및 향상
개호보험제도의 도입으로 개호서비스의 이용은 당사자와의 계약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는데, 이는 사업자간의 경쟁을 통해서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기자신의 상태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를 이용자 본인이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지역에서의 개호서비스 내용에 관한 객관적이고 적절한 정보가 이용자본인에게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서비스의 질은 정보가 부재하거나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개호서비스에 의한 자립지원 효과의 평가방법을 확립하고, 평가결과를 이용자에게 제시할 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호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사람의 손에 의해서 제공되는 서비스인 만큼 개호서비스를 담당하는 양질의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 되고 있다. 따라서 재가서비스나 시설서비스를 불문하고 개호서비스 제공을 담당하는 직원에 대해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육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이를 위해서 개호현장에 매력을 느끼게 할 수 있는 방법, 적시에 적절한 교육연수를 체계화하고 이를 받아 들이는 기회를 확보하며, 기술향상, 종사자로써의 기본조건의 확보 등이 필요하다.
Ⅴ. 맺는말
이상과 같이 일본이 2000년도에 개호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5년마다 제도의 내용을 재검토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2004년도인 금년도에 후생노동성에서는 개호제도개혁본부를 설치하였으며, 제도의 재검토를 통하여 2006년도에 실시할 목적으로 있다. 기본적인 검토방향은 크게 보험징수대상의 확대, 장애자복지와의 통합, 서비스급여의 효율화를 들고 있다. 먼저 보험료징수대상의 경우에는 의료보험과 같이 0세부터 적용하는 방안, 18세부터 징수하는 방안, 20세부터 징수하는 방안을 놓고 검토할 예정이다. 그리고 서비스급여의 효율화측면에서는 요지원 및 요개호도 1등급에 해당하는 고령자는 기존의 재택서비스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별도의 개호예방서비스를 신설하여 제공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개호예방서비스에는 근력강화훈련, 식생활 개선, 구강케어 등으로 심신상태의 악화를 방지하고 재활서비스 등으로 유효한 가사지원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해 놓고 있다. 우리 나라는 이러한 일본의 제도개선을 지켜보면서 개호보험이 지니고 있는 제도적 장단점과 이용자의 행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제도를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 2001
2. 전경희외,"전국노인생활실태및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3.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재가노인복지연구"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2001
4.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02
5. 황경성외, " 일본의 고령자 보건복지", 학지사, 2001
6. 허정무,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협신사, 2000
7. 최혜경외, "노인과 실버산업", 동인,2001
8. 이혜영, "케어 복지론", 양서원, 2000
9. 현외성외, " 한국노인복지학강론" 유풍출판사, 1998
10. 박재간외,"고령화 사회의 위기와 도전",나남출판,1995.
11. 한국노인문제연구소, "재가노인복지 서비스의 현황과 과제",한국노인문제연구소, 1998.
12. 고양곤, "노인 주간보호의 이론과 실제 ", 홍익제, 1997
13. 윤동성외, "가정봉사원 활동과 실제",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1999
14. 윤동성외, "사회복지학", 양서원, 2000.
15. 이가옥(편저), "노인복지의 현황과 과제", 나남출판,1999
16. 이인수, "현대노인복지론", 양서원, 1999
17. 이혜원, "노인복지론", 유풍출판사, 1999
18. 최일섭,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9. 한국노인복지회, " 현대재가복지사업", 홍익제, 1999
20. 한국재가복지협회, "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한국재가복지협회, 1999.
21. 한국재가노인협회, "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운영과 실천",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1997
□ 외국문헌
1. 鬼崎信好, 增田雅 , 伊奈川秀和, 平田直之(編著), 介護保險キワド事典, 中央
法規, 2001年
2. 厚生勞動省, 2015年の高齡者介護, 2003年
3. 厚生勞動省, 厚生勞動白書, 1999∼2003年
4. 厚生勞動省, 介護保險事業狀況年報, 2001∼2003年
5. 厚生勞動省, 社會保障統計年報, 2002年
3) 치매성고령자의 케어모델 확립
일반적으로 개호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여도 치매성 고령자가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써 생활을 지내는 것은 다음 2가지 요인 때문에 쉽지만은 않은데, 그 하나는 개호보험, 특히 케어 매니지먼트의 도입으로 신체기능의 장애에 대한 케어는 이동, 식사, 목욕 등과 같은 신체적 개호가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체제가 마련되어 있으나, 치매에 대해서는 연계적이고 조직적인 케어가 그룹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고 있을 뿐이고 아직은 보편화되어 있지 못하다. 두 번째는 대상자본인이 주변상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으로 해서 발생되는 불안, 혼란, 인간관계의 부조화 등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가 갖추어져 있지 못하다. 이러한 실태를 감안하여 우선적으로 치매성고령자 케어를 보편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즉, 대화가 어렵고 환경의 영향을 받기 쉬운 치매성고령자를 케어하는 데에 환경을 중시하면서 철저하게 본인위주의 접근방법을 추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개호서비스를 담당하는 모든 사업자나 종사자에 대해서 연수 등을 통하여 치매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이해를 습득하고 전문성과 자질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치매성 고령자는 스스로 의료기관에 가서 진단 및 검진을 받는 경우가 거의 희박하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고서야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어 사전적인 조기발견과 치료를 통한 효과적 서비스제공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주치의 등 전문직이 치매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진단과 서비스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4) 개호서비스 질의 확보 및 향상
개호보험제도의 도입으로 개호서비스의 이용은 당사자와의 계약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는데, 이는 사업자간의 경쟁을 통해서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기자신의 상태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를 이용자 본인이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지역에서의 개호서비스 내용에 관한 객관적이고 적절한 정보가 이용자본인에게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서비스의 질은 정보가 부재하거나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개호서비스에 의한 자립지원 효과의 평가방법을 확립하고, 평가결과를 이용자에게 제시할 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호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사람의 손에 의해서 제공되는 서비스인 만큼 개호서비스를 담당하는 양질의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 되고 있다. 따라서 재가서비스나 시설서비스를 불문하고 개호서비스 제공을 담당하는 직원에 대해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육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이를 위해서 개호현장에 매력을 느끼게 할 수 있는 방법, 적시에 적절한 교육연수를 체계화하고 이를 받아 들이는 기회를 확보하며, 기술향상, 종사자로써의 기본조건의 확보 등이 필요하다.
Ⅴ. 맺는말
이상과 같이 일본이 2000년도에 개호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5년마다 제도의 내용을 재검토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2004년도인 금년도에 후생노동성에서는 개호제도개혁본부를 설치하였으며, 제도의 재검토를 통하여 2006년도에 실시할 목적으로 있다. 기본적인 검토방향은 크게 보험징수대상의 확대, 장애자복지와의 통합, 서비스급여의 효율화를 들고 있다. 먼저 보험료징수대상의 경우에는 의료보험과 같이 0세부터 적용하는 방안, 18세부터 징수하는 방안, 20세부터 징수하는 방안을 놓고 검토할 예정이다. 그리고 서비스급여의 효율화측면에서는 요지원 및 요개호도 1등급에 해당하는 고령자는 기존의 재택서비스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별도의 개호예방서비스를 신설하여 제공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개호예방서비스에는 근력강화훈련, 식생활 개선, 구강케어 등으로 심신상태의 악화를 방지하고 재활서비스 등으로 유효한 가사지원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해 놓고 있다. 우리 나라는 이러한 일본의 제도개선을 지켜보면서 개호보험이 지니고 있는 제도적 장단점과 이용자의 행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제도를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 2001
2. 전경희외,"전국노인생활실태및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3.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재가노인복지연구"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2001
4.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02
5. 황경성외, " 일본의 고령자 보건복지", 학지사, 2001
6. 허정무,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협신사, 2000
7. 최혜경외, "노인과 실버산업", 동인,2001
8. 이혜영, "케어 복지론", 양서원, 2000
9. 현외성외, " 한국노인복지학강론" 유풍출판사, 1998
10. 박재간외,"고령화 사회의 위기와 도전",나남출판,1995.
11. 한국노인문제연구소, "재가노인복지 서비스의 현황과 과제",한국노인문제연구소, 1998.
12. 고양곤, "노인 주간보호의 이론과 실제 ", 홍익제, 1997
13. 윤동성외, "가정봉사원 활동과 실제",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1999
14. 윤동성외, "사회복지학", 양서원, 2000.
15. 이가옥(편저), "노인복지의 현황과 과제", 나남출판,1999
16. 이인수, "현대노인복지론", 양서원, 1999
17. 이혜원, "노인복지론", 유풍출판사, 1999
18. 최일섭,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9. 한국노인복지회, " 현대재가복지사업", 홍익제, 1999
20. 한국재가복지협회, "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한국재가복지협회, 1999.
21. 한국재가노인협회, "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운영과 실천",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1997
□ 외국문헌
1. 鬼崎信好, 增田雅 , 伊奈川秀和, 平田直之(編著), 介護保險キワド事典, 中央
法規, 2001年
2. 厚生勞動省, 2015年の高齡者介護, 2003年
3. 厚生勞動省, 厚生勞動白書, 1999∼2003年
4. 厚生勞動省, 介護保險事業狀況年報, 2001∼2003年
5. 厚生勞動省, 社會保障統計年報, 2002年
추천자료
[노인요양보장제도][노인요양보장정책][노인복지]노인요양보장제도(노인요양보장정책)의 방향...
(노인간호학)노인의료복지시설(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 공동생활 가정)의 입소대상, 시설규모...
노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 정부에서 추진하는 노인복지 정책들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
[노인복지론] 노인복지정책(노인복지제도)의 목표와 현황 및 과제 심층 분석
노인, 노인복지, 노인복지개선방향
[사회복지] 아동복지시설의 개선 방안, 노인복지 시설 운영에 따른 문제점 개선방안, 장애인 ...
[노인복지정책] 현 노인복지정책 중 1가지를 설정하여, 정책의 문제점을 2~3가지 정도 기술...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사회문제, 빈곤노인, 노인복지, 독거노인, 장애노인)
황혼자살에 대한 사회복지적대안(노인자살, 노인자살예방, 노인복지)
노인일자리사업 보고서(근로노인, 노인인력활용방안, 노인경제활동, 노인복지서비스, 노인고...
[노인건강문제관리] 노인복지정책, 노인을 위한 보건의료 복지정책
[노인복지론] 노인복지의 전달체계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문제점과 개선방안, 의견을 ...
[지역사회복지론] 노인복지생활시설의 종류를 정리하고 노인공동생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과 함께 우리나라 노인복지시설의 변화에 대해서 긍정적, 부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