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의 체가름 시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골재의 체가름 시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및 원리

3> 시험용 기계기구 및 재료

4> 시험 방법

5> 시험 결과

6>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 { m } over { m + n } M sub s + { n } over { m + n } M sub g
#
#& = r M sub s + LEFT ( 1- r RIGHT ) M sub g
여기서,
r = { m } over { m + n }
㉢ 골재 입자가 큰 것이 많을수록 조립율이 크다.
⑤ 결과를 도시하려면 [그림.2]와 같이 횡축에 체치수(체번호), 종축에 통과율(잔류율)을 점으로 찍어 나타낸다.
그림 .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결과의 예
6) 고 찰
그림> 체가름 곡선 ( 실선: 시험 결과, 파선: 입도 기준 )
왼쪽 : 잔골재 오른쪽 : 굵은 골재
1)굵은 골재
① 체가름 결과가 표준입도곡선 내에 들게 된면 입도가 고르다고 말한다. 만약 벗어나면 그 벗어난 점의 체에서는 양이 모자라든지 아니면 많은 것 이다.
- 그림에서 알수 있듯이 체눈크기 15mm, 20mm, 25mm에서 그 양이 많다.
②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면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이 크고 시멘트풀이 절약되고 밀도가 높은 콘
크리트를 얻게 되어 경제적이다.
- 하지만, 시험결과 이 골재는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지 않아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③ 굵은 골재의 입도영향은 적고 최대치수가 일정하면 그 입도가 상당히 한쪽에 치우쳐 있어도 잔골재율의 조정에 따라 단위수량을 증가하지 않고 소요품질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 이 골재는 입도가 고르지 않지만 잔골재율의 조정으로 단위수량의 증가 없이 소요품질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④ 일반적으로 굵은 골재의 조립률은 6-8 정도가 좋다.(KS F 2526)
- 이 골재의 조립률은 3.39로 그 규정에 상당히 모자란다.
2) 잔골재
① 체가름 결과가 표준입도곡선 내에 들게 된면 입도가 고르다고 말한다. 만약 벗어나면 그 벗어난 점의 체에서는 양이 모자라든지 아니면 많은 것 이다.
- 그림에서 알수 있듯이 체눈크기 0.3mm에선 양이 모자라고 1.2mm에선 양이 많다.
②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면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이 크고 시멘트풀이 절약되고 밀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얻게 되어 경제적이다.
- 하지만, 시험결과 이 골재는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지 않아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③ 일반적으로 잔골재의 조립률은 2.3-3.1 정도가 좋다.(KS F 2526)
- 이 골재의 조립률은 2.70으로 적당하다.
7) 참고문헌
1) 정일영,한천구,정상진, "건축재료실험", 형설출판사, 1999. 8.
2) 김무한, "구조재료실험", 문운당, 2000. 1.
3) 김무한,신현식,김문한, "건축재료학", 문운당, 2000. 1.
4) 한국산업규격, "시험용 체(KS F 5101)", 1999. 11.
5) 한국산업규격, "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KS F 2502)", 1997. 4.
6) 한국산업규격, "골재에 관한 용어의 정의(KS F 2523)", 2002. 7.
7) 한국건설정보시스템 http://www.cn.co.kr
8) 한국산업규격 http://standard.ksa.or.kr

키워드

골재,   체가름,   시험,   보고서,   실험,   입도,   골재 체가름,   원리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8.0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8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