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및 원리
3> 시험용 기계기구 및 재료
4> 시험 방법
5> 시험 결과
6> 고 찰
7> 참고문헌
2> 이론 및 원리
3> 시험용 기계기구 및 재료
4> 시험 방법
5> 시험 결과
6> 고 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체는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 표시된 표준입도를 고려하여 아래와 같이 사용하며, 체눈이 가는 것을 밑에 놓는다.
- 잔골재용 : [No.100, No.50, No.30, No.16, No.8(2.5㎜), No.4(5㎜)]를 1조
- 굵은골재용 : [2.5㎜, 5㎜, 10㎜, 15㎜, 20㎜, 25㎜, 40㎜, 50㎜]를 1조로 사용한다.
2) 체가름은 체에 상하 운동 및 수평 운동을 주고 시료를 흔들어 시료가 끊임없이 체면을 균등하게 운동하도록 하며, 1분 동안에 각 체에 걸리는 시료량의 1% 이상이 그 체를 통과하지 않게 될 때까지 작업을 한다. 기계를 사용하여 체가름한 경우는 다시 손으로 체가름하여 1분 동안의 각 체 통과량이 위의 값보다 작아진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3) 체가름이 끝난 후 각체에 남는 시료의 무게를 0.1%까지 정확히 측정한다.
① 체눈에 끼인 입자는 분쇄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다시 빼고 체에 걸린 시료로 간주한다.
② 체눈에 남아 있는 중량을 재고 거기에 다른 체눈에 남아 있는 것을 가하여 중량을 잰다. 그 후 이렇게 해서 각 중량의 차에서 각 체에 남아 있는 중량을 계산하는 것이 적당하다.
4) 주의사항
① 시료의 무게는 건조시 감량된다는 것을 고려하여 완전 건조한 상태에서 시험한다.
② 체가름 중에 분쇄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골재는 기계로 체가름하여야 한다.
③ 체가름할 때 어떤 경우든지 시료편을 손으로 눌러서 통과시켜서는 안 된다.
④ 체가름시 1분간의 통과율이 그 체에 남아있는 시료무게의 1%이하가 될 때까지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는 곤란하므로 통과율이 없을 때까지 체가름한다.
⑤ 어떤 경우라도 체가름 작업이 끝났을 때에 체면적 1㎠당 0.6g이하 시료가 남아서 는 안 된다.
⑥ 시험은 2회 이상으로 하고 그 평균치를 취한다.
⑦ 잔골재에 있어서는 No.200 체를 통과하는 량은 KS F 2511(골재씻기 시험방법)에 의하여 정한다.
5) 시험결과
1) 잔골재의 체가름 곡선
2) 굵은 골재의 체가름 곡선
♣ 결과 계산시 주의사항
1) 체가름 계량 결과는 시료 전체 무게에 대한 백분율로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 계산한다.
) "KS A 0021"는 2002년 9월20일 폐지.
2) 결과 표시는 다음과 같이 한다.
① 각 체를 통과하는 시료의 전중량에 대한 백분율(%) : 통과율
② 각 체에 잔류하는 시료의 전중량에 대한 백분율(%) : 각체잔류율
③ 용도에 따라 규정된 한 벌의 잔류하는 시료의 중량 백분율(%) : 누가잔류율
④ 최대치수 및 조립률(F.M)을 구한다.
㉠ 조립률은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 의해 40, 20, 10㎜ 및 No.4, No.8, No.16, No.30, No.50,No.100 체에 남는 골재의 전 골재에 대한 중량백분율의 누계 합계를 100으로 나눈 값.
F.M = { 누가잔류율(%) ~합계} over { 100 }
㉡ 잔골재, 굵은골재의 조립률이 각각 Ms, Mg인 골재를 중량비 m:n의 비율로 혼합한 경우 조립율(Ma)은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M sub a & = { m } over { m + n } M sub s + { n } over { m + n } M sub g
#
#& = r M sub s + LEFT ( 1- r RIGHT ) M sub g
여기서,
r = { m } over { m + n }
㉢ 골재 입자가 큰 것이 많을수록 조립율이 크다.
⑤ 결과를 도시하려면 [그림.2]와 같이 횡축에 체치수(체번호), 종축에 통과율(잔류율)을 점으로 찍어 나타낸다.
그림 .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결과의 예
6) 고 찰
그림> 체가름 곡선 ( 실선: 시험 결과, 파선: 입도 기준 )
왼쪽 : 잔골재 오른쪽 : 굵은 골재
1)굵은 골재
① 체가름 결과가 표준입도곡선 내에 들게 된면 입도가 고르다고 말한다. 만약 벗어나면
그 벗어난 점의 체에서는 양이 모자라든지 아니면 많은 것 이다.
- 그림에서 알수 있듯이 체눈크기 15mm, 20mm, 25mm에서 그 양이 많다.
②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면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이 크고 시멘트풀이 절약되고 밀도가 높은 콘
크리트를 얻게 되어 경제적이다.
- 하지만, 시험결과 이 골재는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지 않아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③ 굵은 골재의 입도영향은 적고 최대치수가 일정하면 그 입도가 상당히 한쪽에 치우쳐 있어도
잔골재율의 조정에 따라 단위수량을 증가하지 않고 소요품질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 이 골재는 입도가 고르지 않지만 잔골재율의 조정으로 단위수량의 증가 없이 소요품질의 콘
크리트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④ 일반적으로 굵은 골재의 조립률은 6-8 정도가 좋다.(KS F 2526)
- 이 골재의 조립률은 3.39로 그 규정에 상당히 모자란다.
2) 잔골재
① 체가름 결과가 표준입도곡선 내에 들게 된면 입도가 고르다고 말한다. 만약 벗어나면 그 벗
어난 점의 체에서는 양이 모자라든지 아니면 많은 것 이다.
- 그림에서 알수 있듯이 체눈크기 0.3mm에선 양이 모자라고 1.2mm에선 양이 많다.
②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면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이 크고 시멘트풀이 절약되고 밀도가 높은 콘
크리트를 얻게 되어 경제적이다.
- 하지만, 시험결과 이 골재는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지 않아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
다.
③ 일반적으로 잔골재의 조립률은 2.3-3.1 정도가 좋다.(KS F 2526)
- 이 골재의 조립률은 2.70으로 적당하다.
7) 참고문헌
1) 정일영,한천구,정상진, "건축재료실험", 형설출판사, 1999. 8.
2) 김무한, "구조재료실험", 문운당, 2000. 1.
3) 김무한,신현식,김문한, "건축재료학", 문운당, 2000. 1.
4) 한국산업규격, "시험용 체(KS F 5101)", 1999. 11.
5) 한국산업규격, "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KS F 2502)", 1997. 4.
6) 한국산업규격, "골재에 관한 용어의 정의(KS F 2523)", 2002. 7.
7) 한국건설정보시스템 http://www.cn.co.kr
8) 한국산업규격 http://standard.ksa.or.kr
- 잔골재용 : [No.100, No.50, No.30, No.16, No.8(2.5㎜), No.4(5㎜)]를 1조
- 굵은골재용 : [2.5㎜, 5㎜, 10㎜, 15㎜, 20㎜, 25㎜, 40㎜, 50㎜]를 1조로 사용한다.
2) 체가름은 체에 상하 운동 및 수평 운동을 주고 시료를 흔들어 시료가 끊임없이 체면을 균등하게 운동하도록 하며, 1분 동안에 각 체에 걸리는 시료량의 1% 이상이 그 체를 통과하지 않게 될 때까지 작업을 한다. 기계를 사용하여 체가름한 경우는 다시 손으로 체가름하여 1분 동안의 각 체 통과량이 위의 값보다 작아진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3) 체가름이 끝난 후 각체에 남는 시료의 무게를 0.1%까지 정확히 측정한다.
① 체눈에 끼인 입자는 분쇄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다시 빼고 체에 걸린 시료로 간주한다.
② 체눈에 남아 있는 중량을 재고 거기에 다른 체눈에 남아 있는 것을 가하여 중량을 잰다. 그 후 이렇게 해서 각 중량의 차에서 각 체에 남아 있는 중량을 계산하는 것이 적당하다.
4) 주의사항
① 시료의 무게는 건조시 감량된다는 것을 고려하여 완전 건조한 상태에서 시험한다.
② 체가름 중에 분쇄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골재는 기계로 체가름하여야 한다.
③ 체가름할 때 어떤 경우든지 시료편을 손으로 눌러서 통과시켜서는 안 된다.
④ 체가름시 1분간의 통과율이 그 체에 남아있는 시료무게의 1%이하가 될 때까지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는 곤란하므로 통과율이 없을 때까지 체가름한다.
⑤ 어떤 경우라도 체가름 작업이 끝났을 때에 체면적 1㎠당 0.6g이하 시료가 남아서 는 안 된다.
⑥ 시험은 2회 이상으로 하고 그 평균치를 취한다.
⑦ 잔골재에 있어서는 No.200 체를 통과하는 량은 KS F 2511(골재씻기 시험방법)에 의하여 정한다.
5) 시험결과
1) 잔골재의 체가름 곡선
2) 굵은 골재의 체가름 곡선
♣ 결과 계산시 주의사항
1) 체가름 계량 결과는 시료 전체 무게에 대한 백분율로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 계산한다.
) "KS A 0021"는 2002년 9월20일 폐지.
2) 결과 표시는 다음과 같이 한다.
① 각 체를 통과하는 시료의 전중량에 대한 백분율(%) : 통과율
② 각 체에 잔류하는 시료의 전중량에 대한 백분율(%) : 각체잔류율
③ 용도에 따라 규정된 한 벌의 잔류하는 시료의 중량 백분율(%) : 누가잔류율
④ 최대치수 및 조립률(F.M)을 구한다.
㉠ 조립률은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 의해 40, 20, 10㎜ 및 No.4, No.8, No.16, No.30, No.50,No.100 체에 남는 골재의 전 골재에 대한 중량백분율의 누계 합계를 100으로 나눈 값.
F.M = { 누가잔류율(%) ~합계} over { 100 }
㉡ 잔골재, 굵은골재의 조립률이 각각 Ms, Mg인 골재를 중량비 m:n의 비율로 혼합한 경우 조립율(Ma)은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M sub a & = { m } over { m + n } M sub s + { n } over { m + n } M sub g
#
#& = r M sub s + LEFT ( 1- r RIGHT ) M sub g
여기서,
r = { m } over { m + n }
㉢ 골재 입자가 큰 것이 많을수록 조립율이 크다.
⑤ 결과를 도시하려면 [그림.2]와 같이 횡축에 체치수(체번호), 종축에 통과율(잔류율)을 점으로 찍어 나타낸다.
그림 .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결과의 예
6) 고 찰
그림> 체가름 곡선 ( 실선: 시험 결과, 파선: 입도 기준 )
왼쪽 : 잔골재 오른쪽 : 굵은 골재
1)굵은 골재
① 체가름 결과가 표준입도곡선 내에 들게 된면 입도가 고르다고 말한다. 만약 벗어나면
그 벗어난 점의 체에서는 양이 모자라든지 아니면 많은 것 이다.
- 그림에서 알수 있듯이 체눈크기 15mm, 20mm, 25mm에서 그 양이 많다.
②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면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이 크고 시멘트풀이 절약되고 밀도가 높은 콘
크리트를 얻게 되어 경제적이다.
- 하지만, 시험결과 이 골재는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지 않아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③ 굵은 골재의 입도영향은 적고 최대치수가 일정하면 그 입도가 상당히 한쪽에 치우쳐 있어도
잔골재율의 조정에 따라 단위수량을 증가하지 않고 소요품질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 이 골재는 입도가 고르지 않지만 잔골재율의 조정으로 단위수량의 증가 없이 소요품질의 콘
크리트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④ 일반적으로 굵은 골재의 조립률은 6-8 정도가 좋다.(KS F 2526)
- 이 골재의 조립률은 3.39로 그 규정에 상당히 모자란다.
2) 잔골재
① 체가름 결과가 표준입도곡선 내에 들게 된면 입도가 고르다고 말한다. 만약 벗어나면 그 벗
어난 점의 체에서는 양이 모자라든지 아니면 많은 것 이다.
- 그림에서 알수 있듯이 체눈크기 0.3mm에선 양이 모자라고 1.2mm에선 양이 많다.
②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면 골재의 단위용적중량이 크고 시멘트풀이 절약되고 밀도가 높은 콘
크리트를 얻게 되어 경제적이다.
- 하지만, 시험결과 이 골재는 골재의 입도가 적당하지 않아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
다.
③ 일반적으로 잔골재의 조립률은 2.3-3.1 정도가 좋다.(KS F 2526)
- 이 골재의 조립률은 2.70으로 적당하다.
7) 참고문헌
1) 정일영,한천구,정상진, "건축재료실험", 형설출판사, 1999. 8.
2) 김무한, "구조재료실험", 문운당, 2000. 1.
3) 김무한,신현식,김문한, "건축재료학", 문운당, 2000. 1.
4) 한국산업규격, "시험용 체(KS F 5101)", 1999. 11.
5) 한국산업규격, "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KS F 2502)", 1997. 4.
6) 한국산업규격, "골재에 관한 용어의 정의(KS F 2523)", 2002. 7.
7) 한국건설정보시스템 http://www.cn.co.kr
8) 한국산업규격 http://standard.ksa.or.kr
추천자료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 시험 결과보고서
굳지 않는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함유량 시험방법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시험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
ksf2421 공기 함유량 시험
콘크리트 공기량 시험
잔골재 비중 및 흡수량 시험
철근콘크리트 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5.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시험
[건축공학과] 5장 철큰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시험
토질역학 - 함수비 시험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와 콘크리트 공사의 품질관리 및 품질검사 시험
콘크리트 재료 및 콘크리트 기본 실험 결과 정리
건축공학 실험 - 콘크리트 성질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