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화학적 산소요구량(CODMn) & factor
- 중온성 일반세균(Mesophilic Bacteria)
- 대장균군(Total Coliforms)수 시험
- 약품교반시험(Jar-test)
- 중온성 일반세균(Mesophilic Bacteria)
- 대장균군(Total Coliforms)수 시험
- 약품교반시험(Jar-test)
본문내용
도당
포도당
트립톤
트립톤
④배양
1) 분리 배양 → 인큐베이터(일정 온도 유지)
2) 순수배양 및 이식조작법
※ 천자 배양 : 접종침을 고형배지에 찔러 넣어서 세균을 배양하는 방법
*도말
- 백금이를 이용하여 도말(고체 배지에서만-특정 세균 배양 시 사용)한다.
- 대장균은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그대로 배양한다.
실험 원리
멸균시켜 45±0.5℃로 유지시킨 표준 한천배지 또는 트립톤 포도당엑스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손에 있는 일반세균을 배양(35±0.5℃에서 48±2시간 배양)하여 형성된 집락의 수를 계산한다.
실험 기구
및 시약
실험 기구
시 약
고압 멸균기, 피펫 10ml 1개, petri dish, 면전, 메스플라스크 100ml 1개
nutrient Agar, Trytone, Glucose, Beef extract
실험 방법
[ 배지 제조 ]
①표준 한천 배지 ②트립톤 포도당엑스 한천 배지
한천 15g 한천 15g → 1.5g
트립톤 5g 트립톤 5g → 0.5g
포도당 1g 포도당 1g → 0.1g
효모엑스 2.5g 소고기 엑스 3g/l → 0.3g/100ml
[ 실험 방법 ]
한천 1.5g, 트립톤 0.5g, 포도당 0.1g, 소고기 엑스 0.3g을
넣고 증류수와 혼합하여 100ml를 채운다.
↓
피펫으로 약 10~12ml
정도를 취한 후 시험관에 넣는다.
↓
면전한다 (면전 후 은박으로 싼다)
↓
면전 후 시험관을 Autoclave에 120℃, 30분간 멸균한다.
↓
시험관이 따뜻해 질 때 petri dish에 붓는다.
↓
약 2~3분후 손가락으로 살짝 찍어 뒤집는다.
↓
35℃±0.5에서 48h±2동안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다.
실험 계산
및 결과
[ 결 과 ]
손가락으로 살짝 찍었던 부분주위로 일반세균이 배양한 것이 관찰되었다.
[ 세균집락수의 계산 ]
①배양 후 즉시 집락계산기를 이용하여 확산집락이 없고 1평판당 30∼300개의 집락을 형성한 평판을 택하여 집락수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평판마다 300개 이상의 집락이 형성되었을 때에는 가장 대표적인 평판을 택하여 밀집평판측정법에 따라 집락수를 계산한다. 계산방법은 안지름 9㎝의 유리페트리접시를 사용한 경우에는 1㎠내의 집락수를 13군데에서 계수하여 평균한 집락 수에 65를 곱하고 1회용 플라스틱 페트리접시를 사용한 경우에는 57을 곱한다.
③평판마다 30개 이하의 집락이 형성되었을 때에는 원액을 접종한 평판의 집락을 계수하여 평균하며 기재는 반드시 ㎖중 몇 CFU라고 한다.
④30∼300개의 집락을 가지는 평판이 없고 300개 이상의 집락을 가지는 평판이 1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300개에 가장 가까운 평판의 집락을 계수한다.
⑤계산방법은 해당 희석배수에 사용된 각 평판내의 집락수를 측정하여 합한 다음 사용한 평판수로 나누어 평판 당 평균집락수를 구하여 여기에 해당 희석배수를 곱한 수치를 일반세균수가 100이상일 때에는 높은 단위숫자로 부터 3단계이하는 사사오입하여 유효숫자를 2단계로 끊어 그 이하를 0으로 한 수치를 1㎖중의 일반세균수로 하고, 일반세균수가 100미만일 때에는 소수점 이하는 버린 수치를 1㎖중의 일반세균수로 기재한다.
실험 고찰
완벽하게 통제되고 멸균된 곳에서의 실험이 아니라서 손가락의 일반세균 외의 세균도 관찰되어 아쉬운 점이 없진 않았지만, 손가락에 있는 일반세균을 다른 친구들의 실험결과와 비교를 통해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이론과 부합하여 결과를 알게 되니 굉장히 흥미로웠다.
참고 문헌
인터넷 사이트(http://www.labbank.co.kr외 다수)
실험 날짜
2005년 4월 27일, 5월 4일 수요일 (11:00 ~ 13:00)
실험 제목
대장균군(Total Coliforms)수 시험
실험 목적
대장균군의 정량시험은 시료수의 동일 희석도의 것을 5개씩 LB 배지에 이식하여 배양하는 추정시험을 하고, 그 위에 BGLB 배지, 계속해서 EMB 또는 원등배지에 순차 이식하여 배양하는 확정시험 및 완전시험을 하여, 대장균군의 수를 산출하며, 최확수(MPN)로써 표시한다.
실험 이론
1. 일반사항
대장균군은 [Gram음성, 무아포성 간균의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발생하는 모든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균]을 말한다.
대장균군은 온혈동물의 장과 내장에서 생식하고 있으므로 그것이 수중에 존재하는 것이 많은 경우는 그 물이 온혈동물의 분뇨로 오염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 물은 소화기계의 병원세균에 의하여 오염되거나 또는 그 가능성을 나타낸다. 또 수중의 대장균군의 검출은 비교적 용이하므로 분변에 의한 오염의 유무를 직접 알 수 있고 또 그 오염도를 추정하는 데 유효하다.
2. 대장균군의 종류
①Escherichia Coli :대체적으로 사람, 가축, 온혈동물의 배설물에서 발견되므로 Fecol Pollution Indicator로 사용된다. 이것이 발견되면 물이 분뇨로 오염된 것을 알 수 있다.
②Inter mediate Aerobater Aerogens : 이 균은 자연계의 초원이나 흙속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분염의 오염과는 상관없다.
③IAC(Intermedoate-Aerogenes-Cloacae) : 동물의 배설물, 오수 등에서 발견된다. E.Coli보다는 그 수가 적다.
예)Bacillus lactis cloacae 분뇨에 의한 오염의 여부를 정확히 알려면 E.Coli과 A.Aerogenes를 감별해야 하나 이 감별은 쉽지 않고 일관하여 대장균군으로 취급한다.
3. 대장균군의 계수법
①MPN법 : 완전시험까지 하면 대장균군에 속한 세균을 확인할 수 있어 정확도가 높다.
②데속시클리이트 배지에 의한 평판 배지법 : 최고로 간편하지만 대장균군만을 계수할 수 없다.
③멤브레인 필터법 : 대장균군수가 조금 있을 때 대단히 유효하다.
4. 검체의 채취와 조제
검체의 채취는 무균적으로 하고 멸균된 용기에 넣어 한 시간내로 실험실에 운반 시험하여야 하며 그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경우에는 0~10℃에서 냉장하여 운반하고 6시간 이내로 실험실에 도착하여 2시간 이내로 시험을 완료하여야 한다. 만약 상기 시간 내에 시험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현지 실험기구
포도당
트립톤
트립톤
④배양
1) 분리 배양 → 인큐베이터(일정 온도 유지)
2) 순수배양 및 이식조작법
※ 천자 배양 : 접종침을 고형배지에 찔러 넣어서 세균을 배양하는 방법
*도말
- 백금이를 이용하여 도말(고체 배지에서만-특정 세균 배양 시 사용)한다.
- 대장균은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그대로 배양한다.
실험 원리
멸균시켜 45±0.5℃로 유지시킨 표준 한천배지 또는 트립톤 포도당엑스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손에 있는 일반세균을 배양(35±0.5℃에서 48±2시간 배양)하여 형성된 집락의 수를 계산한다.
실험 기구
및 시약
실험 기구
시 약
고압 멸균기, 피펫 10ml 1개, petri dish, 면전, 메스플라스크 100ml 1개
nutrient Agar, Trytone, Glucose, Beef extract
실험 방법
[ 배지 제조 ]
①표준 한천 배지 ②트립톤 포도당엑스 한천 배지
한천 15g 한천 15g → 1.5g
트립톤 5g 트립톤 5g → 0.5g
포도당 1g 포도당 1g → 0.1g
효모엑스 2.5g 소고기 엑스 3g/l → 0.3g/100ml
[ 실험 방법 ]
한천 1.5g, 트립톤 0.5g, 포도당 0.1g, 소고기 엑스 0.3g을
넣고 증류수와 혼합하여 100ml를 채운다.
↓
피펫으로 약 10~12ml
정도를 취한 후 시험관에 넣는다.
↓
면전한다 (면전 후 은박으로 싼다)
↓
면전 후 시험관을 Autoclave에 120℃, 30분간 멸균한다.
↓
시험관이 따뜻해 질 때 petri dish에 붓는다.
↓
약 2~3분후 손가락으로 살짝 찍어 뒤집는다.
↓
35℃±0.5에서 48h±2동안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다.
실험 계산
및 결과
[ 결 과 ]
손가락으로 살짝 찍었던 부분주위로 일반세균이 배양한 것이 관찰되었다.
[ 세균집락수의 계산 ]
①배양 후 즉시 집락계산기를 이용하여 확산집락이 없고 1평판당 30∼300개의 집락을 형성한 평판을 택하여 집락수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평판마다 300개 이상의 집락이 형성되었을 때에는 가장 대표적인 평판을 택하여 밀집평판측정법에 따라 집락수를 계산한다. 계산방법은 안지름 9㎝의 유리페트리접시를 사용한 경우에는 1㎠내의 집락수를 13군데에서 계수하여 평균한 집락 수에 65를 곱하고 1회용 플라스틱 페트리접시를 사용한 경우에는 57을 곱한다.
③평판마다 30개 이하의 집락이 형성되었을 때에는 원액을 접종한 평판의 집락을 계수하여 평균하며 기재는 반드시 ㎖중 몇 CFU라고 한다.
④30∼300개의 집락을 가지는 평판이 없고 300개 이상의 집락을 가지는 평판이 1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300개에 가장 가까운 평판의 집락을 계수한다.
⑤계산방법은 해당 희석배수에 사용된 각 평판내의 집락수를 측정하여 합한 다음 사용한 평판수로 나누어 평판 당 평균집락수를 구하여 여기에 해당 희석배수를 곱한 수치를 일반세균수가 100이상일 때에는 높은 단위숫자로 부터 3단계이하는 사사오입하여 유효숫자를 2단계로 끊어 그 이하를 0으로 한 수치를 1㎖중의 일반세균수로 하고, 일반세균수가 100미만일 때에는 소수점 이하는 버린 수치를 1㎖중의 일반세균수로 기재한다.
실험 고찰
완벽하게 통제되고 멸균된 곳에서의 실험이 아니라서 손가락의 일반세균 외의 세균도 관찰되어 아쉬운 점이 없진 않았지만, 손가락에 있는 일반세균을 다른 친구들의 실험결과와 비교를 통해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이론과 부합하여 결과를 알게 되니 굉장히 흥미로웠다.
참고 문헌
인터넷 사이트(http://www.labbank.co.kr외 다수)
실험 날짜
2005년 4월 27일, 5월 4일 수요일 (11:00 ~ 13:00)
실험 제목
대장균군(Total Coliforms)수 시험
실험 목적
대장균군의 정량시험은 시료수의 동일 희석도의 것을 5개씩 LB 배지에 이식하여 배양하는 추정시험을 하고, 그 위에 BGLB 배지, 계속해서 EMB 또는 원등배지에 순차 이식하여 배양하는 확정시험 및 완전시험을 하여, 대장균군의 수를 산출하며, 최확수(MPN)로써 표시한다.
실험 이론
1. 일반사항
대장균군은 [Gram음성, 무아포성 간균의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발생하는 모든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균]을 말한다.
대장균군은 온혈동물의 장과 내장에서 생식하고 있으므로 그것이 수중에 존재하는 것이 많은 경우는 그 물이 온혈동물의 분뇨로 오염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 물은 소화기계의 병원세균에 의하여 오염되거나 또는 그 가능성을 나타낸다. 또 수중의 대장균군의 검출은 비교적 용이하므로 분변에 의한 오염의 유무를 직접 알 수 있고 또 그 오염도를 추정하는 데 유효하다.
2. 대장균군의 종류
①Escherichia Coli :대체적으로 사람, 가축, 온혈동물의 배설물에서 발견되므로 Fecol Pollution Indicator로 사용된다. 이것이 발견되면 물이 분뇨로 오염된 것을 알 수 있다.
②Inter mediate Aerobater Aerogens : 이 균은 자연계의 초원이나 흙속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분염의 오염과는 상관없다.
③IAC(Intermedoate-Aerogenes-Cloacae) : 동물의 배설물, 오수 등에서 발견된다. E.Coli보다는 그 수가 적다.
예)Bacillus lactis cloacae 분뇨에 의한 오염의 여부를 정확히 알려면 E.Coli과 A.Aerogenes를 감별해야 하나 이 감별은 쉽지 않고 일관하여 대장균군으로 취급한다.
3. 대장균군의 계수법
①MPN법 : 완전시험까지 하면 대장균군에 속한 세균을 확인할 수 있어 정확도가 높다.
②데속시클리이트 배지에 의한 평판 배지법 : 최고로 간편하지만 대장균군만을 계수할 수 없다.
③멤브레인 필터법 : 대장균군수가 조금 있을 때 대단히 유효하다.
4. 검체의 채취와 조제
검체의 채취는 무균적으로 하고 멸균된 용기에 넣어 한 시간내로 실험실에 운반 시험하여야 하며 그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경우에는 0~10℃에서 냉장하여 운반하고 6시간 이내로 실험실에 도착하여 2시간 이내로 시험을 완료하여야 한다. 만약 상기 시간 내에 시험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현지 실험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