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의 과거와 현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0. 시작하는 말

1. 내부구조의 변화

2. 외부구조의 변화
① 외형의 변화
②주차장
③출입구

3. 그 밖의 변화
①문고리
②초인종
③장애우 시설
④실내공간의 고급화
⑤발코니

4. 결론

본문내용

을 존중하기 위한 설계다. 욕실도 한 개가 아닌 두개로 나누어어져 있다. 드레스룸이 있거나 사진2처럼 방마다 발코니가 있기도 하다.
2. 외부구조의 변화
① 외형의 변화
◀초기에는 성냥갑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고, 더욱이 오래된 아파트는 시각적으로 청결해 보이지 않은뿐더러 붕괴의 위험이..
◀ 현대의 아파트는 아파트의 기능뿐아니라 외형까지도 색과 그 모양이 깔끔해지고 청결해졌다.
② 주자창
▲ 도로에 빽빽이 들어선 차들. 주차하기 위하여 고생을 하는 모습도 눈에 자주 띄었고, 이미 주차된 곳으로는 차들이 다니기 불편했다. 미관상으로도 썩 보기좋진 않다.
◀ 그러나 최근의 아파트 주차장들은 지하로 통하게 되어있다.
이편이 아파트의 미관을 해지지 않을뿐더러 주차공간을 지상에 따로 두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현대아파트들의 주차장은 이런방식을 택하고 있다. 하지만 예전의 아파트들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을 택하지 못했다.
③ 출입구
◀ 출입구란 집 현관문으로 들어가는 문이라는 인식만 같게 되는 출입구.
미관이라고는 찾을 수가 없었다.
◀ 최근 아파트는 현관문으로 들어가는 이유뿐이 아니라 아파트의 표정이라는 의미를 부여, 더욱 아름다워지고 깔끔해졌다.
3. 그 밖의 변화
① 문고리
◀ 손으로 돌려서 열어야 했던 문고리. 잘 미끄러지고 양손에 짐을 들고 있을 때는 열기 불편했다.
◀ 누르기만 해도 열릴 수 있는 유니버셜 디자인이 고려된 문으로 바뀌었다.
② 초인종
◀ 누가 왔는지 문을 열어야만 했던 구조.
아니면 조그만한 구멍으로 봤어야 했다.
◀ 기술의 발전으로 집 안에서도 손쉽게 확인하고
바로 문을 열 수 있는 형태로 바뀌었다.
③ 장애우시설
◀ 장애인들을 위한 버튼을 엘리베이터
안에 설치하여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또한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해 계단으로 되어 오르고 내리기 힘들었던 입구에 경사로를 설치하여 움직이는 것을 도와준다.
④ 실내공간의 고급화
◀ ▲ 시스템 주방가구, 빌트인 식기세척기, 빌트인 가스오븐렌지, 빌트인 김치냉장고, 시스템 렌지 후드, 개별 정수기, 고급세제 서스펜스를 설치하여 고급화하였다.
⑤ 확장형 발코니/ 발코니 간이화단 설치/ 발코니 진입형
발코니의 면적을 전용면적으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해 줌으로써 이전에는 작은 방으로 취급되어 인기가 없었던 것이 발코니와 일체화하여 사용함으로써 방의 면적이 확장된 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졌다. 발코니에 조경을 함으로써 마당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한 형태 (일명 마당형 발코니)의 도입으로 평면형을 변화하게 한 요인이 되었다.
4. 결론
이처럼 아파트는 시간을 거쳐 발젼하고 변화했다. 양적인 아닌 질적인 발전이다.
급속한 변화에 자연적으로, 환경변화에 따라, 기술에 따라, 문화에 따라 아파트의 모습은 외부적으로 내부적으로 변했고 앞으로도 무궁무진하게 변할 것이다.
자연환경을 파괴하고 생겨났고 생겨나는 아파트들이었지만 그러므로 더 친환경적인 모습으로 새로이 태어나는 모습이기를 바란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6.1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