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구조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구조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대륙의 이동
1) 대륙이동설의 발달
2) 해저의 확장
(1) 맨틀 대류설
(2) 해저 확장설

2. 판의 구조와 경계
1) 판이란 무엇인가??
2) 판의 경계

본문내용

지각이 솟아올라 히말라야 산맥과 같은 조산대를 형성한다. 경계부에서는 지층이 휘어져 거대한 습곡 산맥이 만들 어지며, 지진이 발생한다.
화산활동의 특징: 대륙판은 맨틀에 비해 밀도가 매우 작으므로 두 대륙판이 충돌하는 곳 에서는 대륙판이 지하 깊은 곳까지 침강하지 못하기 때문에 화산 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지진의 특징: 판의 경계를 따라 지진이 발생하며 깊이 약 300km이내에서 지진이 빈번하 게 발생한다.
② 발산형 경계 : 맨틀 대류의 상승으로 해저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맨틀 대류의 방향으로 판이 이동함에 따라 해서가 확장된다.
발산형 경계의 종류
대서양 중앙 해령과 같이 해양판과 해양판이 발산하거나 동아프리카 열곡대와 같이 대 륙판과 대륙판이 발산하는 경우가 있다.
해양판과 대륙판이 발산하는 예는 관찰되지 않는다.
발산형 경계와 지각변동
특징적인 지형: 해령의 정상부에는 V자 모양의 열곡이 발달한다.
화산 활동의 특징 : 고온의 현무암질 마그마가 해령 정상부의 열곡을 따라 분출하여 새로운 해양 지각이 만들어진다.
지진의 특징 : 해저 확장을 일으키는 장력에 의해 정단층이 발달하며, 진원의 깊이가 얕은 천발 지진이 주로 발생한다.
③ 보존형 경계 : 두 판이 접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평형하게 미끄러지는 경계이며, 판의 형태가 보존된다.
보존형 경계와 지각 변동
특징적인 지형 : 해령축을 지각으로 절단하는 변환단층이 발달하며, 해령은 변환 단층 에 의해 어긋나 있는 곳이 많다.
화산 활동의 특징 : 보존형 경계는 판이 생성되거나 소멸되는 장소가 아니므로 화산 활 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지진의 특징: 해령을 중심으로 해저가 확장하므로 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해령과 해령 사이 구간에서는 천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판의 경계와 특징적인 형태
판의 종류
특징적인 형태
판의 경계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해양판과 해양판
지형
해령, V자 열곡
해구
변환 단층
지진
천발 지진
천발지진, 심발지진
천발 지진
화산 활동
해령의 열곡에서 활발함
호상 열도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해양판과 대륙판
지형
-
해구
산안드레아스 단층
지진
-
천발 지진, 심발지진
천발지진
화산 활동
-
호상열도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대륙판과 대륙판
지형
열곡
습곡 산맥
-
지진
천발지진
천발 지진, 심발지진
-
화산 활동
열곡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
3) 판운동의 원동력
판에 작용하는 직접적인 힘에는 세가지가 있다.
첫째, 해령 아래에서 마그마가 상승하면서 판을 양쪽으로 미는 힘이다.
둘째, 해구를 따라 내려가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이다.
셋째, 해령에서 해구까지 점점 깊어지면서 생긴 기울기 때문에 판 자체가 미끄러 지는 힘이다.
이중 어느 힘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지는 알기 어렵지만, 각각의 힘이 어떤 형태로든지 판 이동에 관여하리라 여겨진다. 아직도 판을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풀어야 할 숙제가 많이 남아 있다.
출처 : 지형학 (김주환, 동국대학교 출판부)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출판)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6.16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8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