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대륙의 이동
1) 대륙이동설의 발달
2) 해저의 확장
(1) 맨틀 대류설
(2) 해저 확장설
2. 판의 구조와 경계
1) 판이란 무엇인가??
2) 판의 경계
1) 대륙이동설의 발달
2) 해저의 확장
(1) 맨틀 대류설
(2) 해저 확장설
2. 판의 구조와 경계
1) 판이란 무엇인가??
2) 판의 경계
본문내용
지각이 솟아올라 히말라야 산맥과 같은 조산대를 형성한다. 경계부에서는 지층이 휘어져 거대한 습곡 산맥이 만들 어지며, 지진이 발생한다.
화산활동의 특징: 대륙판은 맨틀에 비해 밀도가 매우 작으므로 두 대륙판이 충돌하는 곳 에서는 대륙판이 지하 깊은 곳까지 침강하지 못하기 때문에 화산 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지진의 특징: 판의 경계를 따라 지진이 발생하며 깊이 약 300km이내에서 지진이 빈번하 게 발생한다.
② 발산형 경계 : 맨틀 대류의 상승으로 해저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맨틀 대류의 방향으로 판이 이동함에 따라 해서가 확장된다.
발산형 경계의 종류
대서양 중앙 해령과 같이 해양판과 해양판이 발산하거나 동아프리카 열곡대와 같이 대 륙판과 대륙판이 발산하는 경우가 있다.
해양판과 대륙판이 발산하는 예는 관찰되지 않는다.
발산형 경계와 지각변동
특징적인 지형: 해령의 정상부에는 V자 모양의 열곡이 발달한다.
화산 활동의 특징 : 고온의 현무암질 마그마가 해령 정상부의 열곡을 따라 분출하여 새로운 해양 지각이 만들어진다.
지진의 특징 : 해저 확장을 일으키는 장력에 의해 정단층이 발달하며, 진원의 깊이가 얕은 천발 지진이 주로 발생한다.
③ 보존형 경계 : 두 판이 접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평형하게 미끄러지는 경계이며, 판의 형태가 보존된다.
보존형 경계와 지각 변동
특징적인 지형 : 해령축을 지각으로 절단하는 변환단층이 발달하며, 해령은 변환 단층 에 의해 어긋나 있는 곳이 많다.
화산 활동의 특징 : 보존형 경계는 판이 생성되거나 소멸되는 장소가 아니므로 화산 활 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지진의 특징: 해령을 중심으로 해저가 확장하므로 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해령과 해령 사이 구간에서는 천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판의 경계와 특징적인 형태
판의 종류
특징적인 형태
판의 경계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해양판과 해양판
지형
해령, V자 열곡
해구
변환 단층
지진
천발 지진
천발지진, 심발지진
천발 지진
화산 활동
해령의 열곡에서 활발함
호상 열도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해양판과 대륙판
지형
-
해구
산안드레아스 단층
지진
-
천발 지진, 심발지진
천발지진
화산 활동
-
호상열도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대륙판과 대륙판
지형
열곡
습곡 산맥
-
지진
천발지진
천발 지진, 심발지진
-
화산 활동
열곡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
3) 판운동의 원동력
판에 작용하는 직접적인 힘에는 세가지가 있다.
첫째, 해령 아래에서 마그마가 상승하면서 판을 양쪽으로 미는 힘이다.
둘째, 해구를 따라 내려가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이다.
셋째, 해령에서 해구까지 점점 깊어지면서 생긴 기울기 때문에 판 자체가 미끄러 지는 힘이다.
이중 어느 힘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지는 알기 어렵지만, 각각의 힘이 어떤 형태로든지 판 이동에 관여하리라 여겨진다. 아직도 판을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풀어야 할 숙제가 많이 남아 있다.
출처 : 지형학 (김주환, 동국대학교 출판부)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출판)
화산활동의 특징: 대륙판은 맨틀에 비해 밀도가 매우 작으므로 두 대륙판이 충돌하는 곳 에서는 대륙판이 지하 깊은 곳까지 침강하지 못하기 때문에 화산 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지진의 특징: 판의 경계를 따라 지진이 발생하며 깊이 약 300km이내에서 지진이 빈번하 게 발생한다.
② 발산형 경계 : 맨틀 대류의 상승으로 해저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맨틀 대류의 방향으로 판이 이동함에 따라 해서가 확장된다.
발산형 경계의 종류
대서양 중앙 해령과 같이 해양판과 해양판이 발산하거나 동아프리카 열곡대와 같이 대 륙판과 대륙판이 발산하는 경우가 있다.
해양판과 대륙판이 발산하는 예는 관찰되지 않는다.
발산형 경계와 지각변동
특징적인 지형: 해령의 정상부에는 V자 모양의 열곡이 발달한다.
화산 활동의 특징 : 고온의 현무암질 마그마가 해령 정상부의 열곡을 따라 분출하여 새로운 해양 지각이 만들어진다.
지진의 특징 : 해저 확장을 일으키는 장력에 의해 정단층이 발달하며, 진원의 깊이가 얕은 천발 지진이 주로 발생한다.
③ 보존형 경계 : 두 판이 접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평형하게 미끄러지는 경계이며, 판의 형태가 보존된다.
보존형 경계와 지각 변동
특징적인 지형 : 해령축을 지각으로 절단하는 변환단층이 발달하며, 해령은 변환 단층 에 의해 어긋나 있는 곳이 많다.
화산 활동의 특징 : 보존형 경계는 판이 생성되거나 소멸되는 장소가 아니므로 화산 활 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지진의 특징: 해령을 중심으로 해저가 확장하므로 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해령과 해령 사이 구간에서는 천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판의 경계와 특징적인 형태
판의 종류
특징적인 형태
판의 경계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해양판과 해양판
지형
해령, V자 열곡
해구
변환 단층
지진
천발 지진
천발지진, 심발지진
천발 지진
화산 활동
해령의 열곡에서 활발함
호상 열도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해양판과 대륙판
지형
-
해구
산안드레아스 단층
지진
-
천발 지진, 심발지진
천발지진
화산 활동
-
호상열도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대륙판과 대륙판
지형
열곡
습곡 산맥
-
지진
천발지진
천발 지진, 심발지진
-
화산 활동
열곡에서 활발함
화산 활동 없음
-
3) 판운동의 원동력
판에 작용하는 직접적인 힘에는 세가지가 있다.
첫째, 해령 아래에서 마그마가 상승하면서 판을 양쪽으로 미는 힘이다.
둘째, 해구를 따라 내려가는 판이 잡아당기는 힘이다.
셋째, 해령에서 해구까지 점점 깊어지면서 생긴 기울기 때문에 판 자체가 미끄러 지는 힘이다.
이중 어느 힘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지는 알기 어렵지만, 각각의 힘이 어떤 형태로든지 판 이동에 관여하리라 여겨진다. 아직도 판을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풀어야 할 숙제가 많이 남아 있다.
출처 : 지형학 (김주환, 동국대학교 출판부)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출판)
추천자료
[전산기구조론] 사칙연산을 수행하는 6bit 컴퓨터의 설계
(조직구조론) '조직규모, 수명주기와 쇠퇴'를 요약한 발표 파워포인트
조직 구조론 조직이론
컴퓨터 구조론 프로젝트 CPU 시뮬레이터
2008년 1학기 영어문장구조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연습문제풀이)
2008년 1학기 영어문장구조론 중간시험과제물 C형(연습문제풀이)
2008년 1학기 영어문장구조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연습문제)
2008년 1학기 영어문장구조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교재연습문제풀이)
2008년 1학기 영어문장구조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교재연습문제풀이)
2007년 1학기 영어문장구조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제1장,2장 연습문제풀이)
2007년 1학기 영어문장구조론 중간시험과제물 C형(제1장,2장 연습문제풀이)
2007년 1학기 영어문장구조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제1장,2장 연습문제풀이)
[조직구조론] 농협 발표ppt
<컴퓨터 구조론> - 디지털 논리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