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신조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IMF 관련 된 중국신조어

○ 컴퓨터와 핸드폰과 관련 된 중국 신조어

○ 한류와 핸드폰과 관련 된 중국 신조어

○ 월드컵과 축구와 관련된 중국 신조어

○ 노인문제와 핸드폰과 관련 된 중국 신조어

○ 기타 등등

본문내용

급 가구가 새로운 산다젠으로 떠올랐다. 중국은 본래 주택이나 승용차 등을 국가에서 분배해 주었기 때문에 개인이 소유할 수 없었지만, 경제 개방을 하면서 개인의 소유를 인정하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자가용은 이전의 '공적인 일에 쓰는 차'라는 개념과 반대되는 뜻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차'라는 뜻으로 '쓰런처'라고 부른다. 또 고급 주택은 좀 여유 있는 사람들이 돈을 주고 산다는 의미가 포함된 '쌍핀팡'또는 '비에수'라고 부르며, 고급가구는 가격이 비싸다는 뜻으로 '까오쟈쟈쥐'라고 부른다.
) "중국신조어 최전선". 강춘화 지음. 바다 출판사. 2003. 246, 264쪽
高消費(고소비) - 가오샤오페이 : 과소비 현상
최근 중국에서도 경제 발전 수준을 무시한 과소비 현상인 '가오샤오페이'라는 신조어가 출현하였다. 중국이 개혁개방을 실시한 뒤 일부 부자들은 일방적 과소비로 나아갔고 결국 호화 사치성 소비를 일삼게 되었다. 세계 유명 메이커가 아니면 사지 않고 외제품이 아니면 소비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 "중국신조어 최전선". 강춘화 지음. 바다 출판사. 2003. 263쪽
지우바 : 술아, 나의 고통의 지워봐
개혁개방과 경제 성장으로 말미암아 중국인도 이제 여가를 즐기는 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또 세계화 추세에 따라 여가 생활에 관한 외래어가 끊임없이 들어오고 있다. 이러한 여가 생활 관련 외래에 대해서도 새로운 단어들이 만들어지고 있는데, 주로 음을 따서 만드는 음차 신조어와 뜻에 근거해 만드는 의역 신조어, 그리고 음과 뜻을 함께 고려하여 만드는 음차 의역 신조어 등 세 가지 신조어가 있다. 그 주 바가 들어가는 신조어를 살펴보자.
'바'는 외래어로 영어 'bar'의 음역이다. 서양식 레스토랑이나 호텔에서 술을 파는 매대를 일컫는 말이다. 중국에 서양의 바가 들어왔을 때, 중국인들은 이것을 '지우바' 라고 불렀다.
이와 동시에 '지우바'로부터 수많은 신조어들이 파생되고 있다. 요즈음 상하이, 광저우, 베이징 등 대도시는 물론 중소도시에서도 이런저런 바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기고 있다. 이를테면 '왕바 - 피시방' '타오바 - 본차이나 집, 도자기 집' '보리바 - 유리집' '푸바 - 옷감집' '화바 - 갤러리' '완쥐바 - 놀이방' '수바 - 책방' '친바 - 피아노가게' '챠오커리바 - 초콜릿 가게' '빙치린바 - 아이스크림가게' 등이 있다.
그리고, '바' 가 들어가는 신조어가 매우 많다. '찬바 - 종합 음식점
) 특색 있는 스탠드 바, 커피숍 등을 갖추고 있는 종합적인 형태의 음식점
' '바타이 - 술집의 카운터' '바냥 - 술집마담 ' '바디 - 술집을 자주 출입하는 젊은 남성' '바슝 - 나이든 남성' '바잉 - 매일 밤 술집이나 디스코텍 등 각종 오락장소를 전진하는 사람 : 바의 똥파리'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와 같이 바를 이용한 신조어들이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동시에 '바'를 사용하지 않고 만들어지는 신조어들도 있다. 커피는 엄연히 외국에서 전래된 음료지만 '커피숍'을 지칭할 때는 '카페이바'라고 하지 않고 '카페이관'이라고 부른다. 소규모의 분위기 좋은 찻집을 '차바' 라고 하는 곳도 있지만 대부분은 중국식 구식 '차팡' 이라고 부른다.
요즘은 시가지 골목마다 '홍차팡 - 홍차다방' 이나 '차이관 - 예술 다방'과 같은 것들이 부쩍 늘어나는 추세다. 상하이만 하더라도 최근 몇 년 간 새로 개업한 ' 파오모홍차팡 - 커품 낸 홍차를 파는 다방' 이 170여 개나 된다. 이런 파오모홍차팡은 타이완에서 온 것이다.
'바'를 쓰는 신조어들을 살펴보면, 모국어와 외국어가 합성된 형태이지만 자신의 언어와 함께 고유의 문화를 잃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외국어가 범람하는 한국어의 현실을 돌아볼 계기로 삼을 만하다.
) "중국신조어 최전선". 강춘화 지음. 바다 출판사. 2003. 266쪽
다리바이 : 5일 근무제
'솽시우르'라고도 하는 '다리바이'는 5일 일하고 2일 쉬는 새로운 휴무 제도를 가리키는 신조어다. 일찍이 1970년대에 선진국은 서서히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했는데, 중국은 1995년부터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했다.
'다리바이' 제도 덕분에 하루 종일 직장 일로 바쁜 사람들이 직장을 벗어나 가족과 함께 유쾌한 휴가를 보내며 여유로운 인생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다리바이'를 어떻게 보낼까 하는 문제는 순식간에 사람들의 화젯거리가 되었다. 이러한 주 5일 근무제의 도입은 개혁개방과 함께 여유로워지고 있는 중국 사람들의 여가 생활의 단면을 보여준다.
) "중국신조어 최전선". 강춘화 지음. 바다 출판사. 2003. 273쪽
追星族(추성족) - 주이싱주 : 오빠 부대
스타를 쫓아다니는 사람들, 즉 오빠 부대를 '주이싱주'라고 한다. 중국에서 오빠부대가 등장한 것은 1992 쯤의 일이다. 넓은 의미로 오빠 부대는 연예인들을 지나치게 좋아해서 스타가 가는 곳이면 어디든지 따라가는 집단을 말한다.
대부분의 오빠 부대는 중국에서도 청소년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중국의 주이싱주 청소년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의 공연의 보기 위해 학교를 결석하기도 하고 스타의 사인을 받기 위해 몇 시간씩이나 집 앞에서 기다리기도 한다.
) "중국신조어 최전선". 강춘화 지음. 바다 출판사. 2003. 288쪽
퉈푸 : 복을 부탁한다
WTO까지 가입한 이상, 중국도 결코 영어를 소홀히 여길 수 없다. 세계화의 추세에 따라 외국 기업에 취업하려는 젊은이들뿐만 아니라 노점상, 택시 기사까지도 영어를 공부하느라 정신이 없다.
이러한 영어 열풍 속에 영어 시험의 대표격인 토플 시험을 보는 것이 학생들 사이에 유행하고 있다. 이 TOEFL을 '퉈 - 부탁 한다' 와 '푸 - 복' 라는 두 글자로 조합해 '퉈푸'라고 옮겼다. 영어를 잘하면 외국에 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취직도 잘 되고 돈도 많이 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토플 시험에 '복을 부탁 한다'는 중국인들의 간절한 염원과 믿음이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퉈푸'라고 하니 발음도 비슷하다. 그런데 우리와는 좀 다르게 아직 TOEIC 시험을 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6.16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8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